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4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ark of the root and stem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o treat inflammatory disorders. This plant reportedly shows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ethanolic extract (UDE) on UVB irradiation-induced wrinkle in hairless mice. We evaluated for their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the anti-elastase activities, and for their anti-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ctivity in human skin fibroblast cells. In the wrinkle measurement and image analysis of skin replicas, the results showed that UDE significantly inhibited wrinkle formation caused by chronic UVB irrad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DE has anti-wrinkle activity.
        4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과 시술 후 피부 상태는 정상인과는 다른 피부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시술과정에서 레이저와 같은 빛이 피부를 통과함에 따라 피부 홍반과 관계되는 화학적인 인자들이 활성화될 것이다. 이로 인해 피부에 건조함, 가려움, 벗겨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비비크림의 본래의 목적은 메이크업 제품이라기보다는 민감한 피부에 스킨케어 기능을 제공해주는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비크림은 모든 피부 타입에 적합하며 특히 민감하고 여드름이 발생하기 쉬운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그것은 피부상태를 개선해주는 스킨케어의 기능과 홍반이나 결점들을 효과적으로 커버해주는 메이크업 기능을 동시에 구현해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민감한 피부를 효과적으로 진정 및 홍반 개선을 해주는 스킨케어 기능과 홍반을 컬러적인 측면에서 자연스럽게 커버해주는 메이크업 기능을 갖는 제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피부과 시술 후 진정 및 홍반 개선 효과를 갖는 메이크업 제품을 개발하였다.
        43.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네랄은 이온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카보머나 아크릴레이트 계 점증 시스템의 저점도 가용화 제형에서는 고농도로 안정화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젤 에센스 제형 내 고농도의 미네랄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염류에 안정한 실리콘 코폴리올을 이용한 네트워크 필름을 만들고, 네트워크 내에 미네랄을 고농도로 포집하여 피부에 오랜 시간 동안 고농도의 미네랄이 천천히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제형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최적의 제형을 시료로 이용하여 6주간의 임상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피부 각질층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고, 아미노산이 증가함으로써 각질층의 수분량이 증가하여 피부 투명도가 증가하였고 묵은 각질이 탈락하고 각질층이 정돈되어 피부 칙칙함과 피부 밝기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44.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콜라겐은 포유동물의 가장 풍부한 동물성 단백질로, 전체 단백질의 약 30 %를 차지하며, 결합 조직에 존재하며 대부분의 장기의 구조적 지지에 기여한다. Tripeptide (glycine-proline-hydroxyproline; INCI name Tripeptide-29)는 collagen type I의 주성분이며, palmitoyl tripeptide (palmitoyl-glycine-proline-hydroxyproline; INCI name Palmitoyl Tripeptide-29)는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항노화 물질로서 디자인된 합성소재이다. 합성된 펩타이드 유도체는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in vitro test를 통하여 콜라겐합성과 섬유아세포 증식 효능을 확인하였고, 비침습적 기기를 사용하여 피검자에 대한 8주간의 적용결과 피부주름과 탄력의 상당한 개선을 확인하였다. Palmitoyl tripeptide는 우수한 항노화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 사료된다.
        45.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는 인간의 피부에 유용한 녹차 카테킨 중에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팀은 용매, 온도, 압력 등 다양한 조건을 변화시키며, 멸균과정(autoclaving) 중에 발생하는 이성질체화(epimerization) 과정을 연구하여, gallocatechin-3-gallate (GCG) 함량이 크게 증가된 열전환-EGCG-복합체(heat-epimerzied-EGCG-mixture, HE-EGCG-mix)를 순수한 EGCG로부터 조제 하였다. 이러한 열전환-EGCG-복합체는 무모쥐 SKH-1을 이용한 실험에서,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시에 인보루크린 7 (involucrin 7) 단백질의 발현량을 EGCG 처리 시보다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GCG는 PPAR-α에 대한 전이활성(transactivation) 효과가 EGCG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열전환-EGCG-복합체에 함유된 고함량의 GCG 성분에 의해서, 피부 장벽 손상 회복 시 PPAR에 의해 매개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가 더욱 촉진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EGCG의 C-2 에피머(epimer)인 GCG는 녹차 카테킨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용도의 화장품과 건강식품 개발 시 주요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46.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사람섬유아세포에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MMP-1 발현에 대한 영향 및 피부탄력 개선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DPPH radical과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효과는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1 mg/mL에서 87.47 %와 61.71 %로 DPPH radical과 superoxide anion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100 g/mL 농도에서 95.54 %의 지질과산화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증가되는 MMP-1의 단백질 발현은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100 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4.69 % 감소하였다. 피부의 탄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500 g/mL 함유한 O/W 에멀젼을 이용한 임상실험에서 피부의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려엉겅퀴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자외선으로부터 생성되는 MMP-1의 발현을 저해하고 피부의 탄력을 개선함으로써 항노화 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