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41.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나무로부터 캘러스의 형성과 shoot의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연구한 결과 캘러스의 형성은 2,4-D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효과적이었으나 shoot의 형성에는 억제효과를 보였다. Shoot의 형성은 0.1mg/L IAA + 0.1mg/L BA의 배지에서 형성률과 절편당 형성 개체수가 가장 높은 분화율을 보였다. 절편체의 부위에 극성에 다른 캘러스의 형성과 shoot의 재분화에 있어서는 자엽의 기부와 말단부를 20% 절제한 절편의 기부의 절단면에서는 shoot의 형성이, 하부의 절단면에서는 캘러스의 형성이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부에서도 shoot의 형성이 보였다. 재분화식물은 1/3 MS 배지에서 뿌리가 양호하게 발달하였으며 토양 순화과정에서도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개화가 이루어졌다.
        4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genetic pattern of self-sterility, using a self-fertile variety Cheongyangnative 1 and nine self-sterile cultivars in cultivated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2n=24). The inheritance of self-fertility (SF)wa
        43.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품종의 혹응애에 대한 저항성 반응 및 저항성 유전양식 을 검정하기 위하여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을 인공교배 하여 얻은F1집단의 포장자연 발생율에 의하여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기자혹응애 저항성 품종인 일본 1호,중국 1호를 감수성인 CL42-56과 교배한 F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이 3 ; 1로 분리되었으며, 일본 1호와 중국 1호를 교배한 F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이 15 : 1로 분리 되었다. 2. 일본 1호와 중국 1호의 혹응애 저항성은 hetero 인 두 개의 우성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며, 저항성 유전자를 E1e1E2e2로 명명하였다. 3. 청양구기자를 CL42-56에 교배한 F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의 분리비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변이 의 폭이 크므로 청양구기자의 혹응애 저항성은 주동유전자와 polygenes에 의해 지배되었다. 4. 일본 1호와 중국 1호는 혹응애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모본으로 우수하였으며, 청양구기자도 저항성 모본으로서 가치가 인정되었다.
        45.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병충(耐病蟲), 다수성(多收性) 구기자(拘杞子) 신품종(新品種)을 육성(育成)하기 위한 자료(資料)를 얻기 위하여 국내재내종(國內在來種) 5종(種), 육성종(育成種) 2종(種), 도입종(導入種) 4종(種)에 대하여 생육(生育) 특성(特性)과 수양성(收量性) 및 형질(形質) 과의 상관(相關), 경노계수(經路係數)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업종(蒐業種) 생육특성(生育特性)의 경장(經長)은 중국(中國) 수집종(蒐集種)이 119~133cm로 비교적(比較的) 큰 편이었고 분지수(分枝數)는 유성(儒城) 1호(號)가 많았으며 엽(葉)은 진도재내(珍島在來), 금산재내(錦山在來), 유성(儒城) 1호(號) 유성(儒減) 2호(號) 등(等) 이 광엽(廣葉)이었다. 2. 구기엽(枸杞葉)의 혹응애는 유성(儒城) 2호(號), 중국(中國) 1호(號), 일본(日本) 1호(號) 등(等)이 강(强)한 편이었으며, 과실(果實)분의 탄저병(炭疽病)은 일본(日木) 1호(號), 중국(中國) 1호(號) 등(等)이 10%미만(未滿)의 리병흑률(罹病黑率)을 보였다. 3. 개화기(開花期)는 청양재내(靑陽在來)가 빠른 편이었으며 1과당(果當) 종자수(種子數)는 중국(中國) 1호(號)가 30.5개(個)로 많았고 과육비률(果肉比率)은 영갱(寧更)가 높았다. 과실(果實) 크기 와 100과중(果重)은 금산재내(錦山在來), 유성(儒城) 2호(號)가 크고 무거웠다. 4. 1주당(株當) 과실(果實)의 착과수(着果數)는 유성(儒城) 2호(號)가 1,623개(個)로 수집종중(蒐集種中)에서 가장 많았으며 10a당(當) 건과(乾果) 수양(收量)은 청(靑) 양재내(陽在來)(152kg/10a)에 비하여 유성(儒城) 2호(號)가 86% 증수(增收)되 었다. 5. 과실(果實) 수량(收量)과 상관(相關)이 높았던 형질(形質)은 착과수(着果數), 분지수(分枝數), 엽(葉)크기였으며, 경노계수(經路係數) 분석(分析)에 의한 직접효과(直接效果)가 큰 것은 착과수(着果數)(Py=0.45) 였다.
        46.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olatile components were extracted from leaves of two Boxthorn (Lycium chinense M.) cultivars by using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eventy components were identified : 13 acids, 15 alcohols, 18 hydrocarbons, 13 carbonyls, three esters, three ionones, and five others. The principal volatile components (and their peak area percentage) were n-pentanol (11.2~30.2%), phytol (14.5~28.3%), hexadecanoic acid (13.5~17.1%) 2,3-dihydrobenzofuran (1.5~4.2%), benzyl alcohol (1.9-4.8%), phenylacetaldehyde (1.8~3.2%), and octadecadienoic acid (1.7~10.7%). Fresh leaves showed much higher peak area than that of dried leaf in n-pentanol, n-hexanol, cis-2-penten-l-ol, cis-3-hexen-l-ol, benzyl alcohol, and β -phenylethyl alcohol, while dried leaves showed much higher content than that of fresh leaves in 9-hydroxytheaspran A, octadecanoic acid and octadecadienic acid.
        47.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범자(枸杞子)의 주당(株當) 적정(適正) 줄기수와 번식방법(繁殖方法)을 구명(究明)하고자, 1993~1994년(年)까지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기자(拘杞子) 번식방법(繁殖方法)은 종자번식(種子繁殖)에 비해 개화기(開化期)가 15일 빠르고, 건과수량(乾果收量)이 91kg/10a로 30%가 증수(增收)된 지삽(枝揷) 20cm가 가장 좋았다. 2 삽수 굵기는 건과수량(乾果收量)이 227kg/10a로 방임구(放任區)에 비해 28% 증수(增收)된 0.9cm가 좋았다. 3. 주당 적정(適定) 줄기수는 줄기수 5본에서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고 100과중도 13.4g으로 가장 무거웠다. 4. 주당(株當) 착과수는 864개로 줄기수 5본에서 증가(增加)되었고 건과수량(乾果收量)도 줄기수 5본에서 104kg/10a로 방임구(放任區)에 비해 16% 증수(增收)되었다.
        48.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breed the Boxthorn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Anthracnose, good quality and high yielding potential in 1984 to 1986(3 years).The character of "Yu seong 1" with resistance to Anthracnose and "Yu seong 2"with good quality and high yielding potential are fellows;1, The plant type of "Yu seong 1" was semi-elect type but became to electtype after 60C" rediation and yield was decreased because of the number of flowers.2. The yield of "Yu seong 2" was the highest of all varieties.3. The quality(Extract and Betain contents) of "Yu seong 2" was the best ofall varieties and visible character was good.The results of this experinent showed that "Yu seong 1" should be promisinglines in south area because of resistance Anthracnose and "Yu seong 2" should bepromising lines in north area.hracnose and "Yu seong 2" should bepromising lines in north area.orth area.
        49.
        198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약식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구기의 육종자료를 얻고자 한국에 분포되어 있는 구기 지방종을 수집하여 품질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질에서는 남부 지방종들이 단백질, 조지방, Oleic acid, Linoleic acid, Vitamin A, Alcaloid 함량이 많아 우수하였다. 2. 무기성분인 Ca, P, Fe의 함량도 남부 지방종이 높은 경향이었다. 3. 구기엽의 분석에서 N,P2O5,K 의 함량은 경하부에 착생한 광엽이 경상부에 착생한 세엽에 비하여 낮은 반면에 Ca, Mg, Fe, SiO2 등은 광엽에서 높았다. 4. 구기엽의 엽색변화 시기에 따른 성분함량은 N,P2O5,K 는 제1차 광엽기에, Ca은 제1차 낙엽기에 Mn과 Cu은 각각 제2차 신엽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