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1.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methods and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Moench, cv. Pioneer 988) grown under application
        4,000원
        42.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가축분 시용조건에서 수수 × 수단그라스 교잡종중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는 장려품종 4종(988, Jumbo, TE-Haygrazer, NC+ 855)을 공시하여 생육 특성과 생산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였다. 가축분은 톱밥 발효분으로 ha당 우분 40톤, 돈분 및 계분은 30톤을 파종 보름전 시용하였으며, 파종은 ha당 30kg의 종자를 휴폭 50cm로 1995년 4월 21일에 실시하였다. 수수 ×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초장은 우분, 돈분, 계분의 가축분 종류와 품종에 관계없이 평균 219~234cm의 범위로 비슷하였으며, 출수 시작일을 기준할 때 NC+ 855가 7월 1일로 가장 빨랐으며, 다음이 TE-Haygrazer였고(7월 4일), 988은 늦었으며 (7월 12일), Jumbo는 계속하여 영양생장중에 있었다. 연간 건물수량은 우분 시 시용조건에서 11.27~13.92톤/ha, 돈분시용시 11.46~12.77톤, 계분시용시 9.70~13.52톤 이었으며, 품종별 평균수량은 988이 11.31톤, Jumbo 11.26톤, TE-Haygrazer 11.77톤, NC+ 855 13.40톤으로, NC+ 855에서 수량은 다소 높은 경향이나 품종별 유의적인 수량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1차와 2차 수확시 조사한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NFE, 조회분 등 사료가치는 품종별 차이가 작았으며, 조단백질 생산량은 품종별 유의적인 차이없이 988이 1,526, Jumbo 1,429, TE-Haygrazer 1,502, NC+855 1,659 kg/ha이었다. 결론적으로 가축분 시용조건에서 자란 수수 × 수단그라스 장려품종 4종간 조 만 생육 특성은 인정되었으나 사초의 수량이나 사료가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000원
        43.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산지초지(山地草地)에서 관리(管理)를 포기(抛棄)한 후 초지(草地)의 식생(植生), 생태적(生態的) 반응(反應), 초지(草地)의 사료가(飼料價) 및 현존량(現存量)의 변화를 조사하여 산지초지(山地草地) 관리(管理)에 이용코자 1993년부터 1996년까지 경기도 여주 야산지(野山地)에 조성(造成)한 초지(草地)에서 수행(遂行)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지(草地)의 식생구성(植生構成)은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모두 방치후(放置後) 야초(野草)와 관목류(灌木類)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목초(牧草)는 비교적 빨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초지(草地)의 수분가(水分價), 토양반응가(土壤反應價) 및 질소가(窒素價) 등 초지의 생태적(生態的) 반응(反應)은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 및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초지(草地)의 사료가(飼料價)는 방치전(放置前) 정지초지(整地草地)는 7.06에서 방치후(放置後) 3년차는 4.60으로 임간초지(林間草地)는 방치전(放置前) 6.81에서 방치후(放置後) 3년차에는 4.38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4. 초지(草地)의 현존식생(現存植生) 생초량(生草量)은 방치전(放置前) $1.63{\sim}1.48kg/m^2$ 수식 이미지에 비하여 방치후(放置後) 3년차에는 $0.84{\sim}0.68kg/m^2$ 수식 이미지으로 48.5~54.1% 감소되었다.
        4,000원
        44.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ultural method of triticale(Triticum Secalotriticum Saratoviense Meister) as a whole crop silage by evaluating the effect of seeding date and nitrogen fertilization rate on forage yields and feeding value. H
        4,000원
        45.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asture types and the leveling methods of winding slope land for seedbed on the runoff, soil loss, botanical composition, dry matter yield of forage and economical value at the Experimental Field
        4,000원
        4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influences of herbicide treatment on the forage valu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assland vegetations in the Rumex acetosella dominated pasture, this trial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trea
        4,000원
        47.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azing stage and intensity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in orchardgrass dominant pasture, 1989 and 1990. The grazing stages were 20- 25m, 30-35cm and 40-45cm of plant height,
        4,000원
        48.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elect the highest yield soiling type forage, the yield performance of selected sorghum-sudangrass hybrids imported in 1992 have been evaluated at Chonnam region. The soiling type hybrid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TE-haygrazer, FP-5 Sudan, Sweet sio
        4,000원
        4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reduce the problems from the presence of rye crop residues in maize establishment and yield, and also to improve the growth,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rye(Seca1e cereal L.). an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variety effec
        4,000원
        5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ariation of the esterase isozyme, germination rate,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of field bean(G1ycine soja S. and Z.) were estim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anding patterns of the esterase isozyme in field bean were varied wit
        4,000원
        51.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결과는 수원과 성환에서 3년간에 걸쳐 가을과 봄에 도입연맥품종을 대조품종인 Cayuse와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를 비교한 결과 얻어진 것이다. Speed oat와 G-sprinter는 대조품종인 Cayuse 보다 조생종이었으나 Taiho, Zenshin 및 Almighty는 만생종이었고, 비가 많을 때 Taiho, Hay oat 및 Swallow 품종은 도복이 많았으며 Taiho, Zenshin 및 Hay oat는 누른오갈병이 더 많이
        4,300원
        52.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reduce the problems from overlapping between rye harvest and maize seeding dates, and also to improve the growth,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rye (Secale cereale L.),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variety effect of rye
        4,000원
        53.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봄 연맥(Avena sativa L.)에 대한 파종량및 질소시비수준이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사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87년 9월부터 11월 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솔은 파종량이 ha당 120,160 및 200kg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93.4, 71.4 및 70.6%로 낮아졌다(P<0.01) 2. 분벽솔 발생은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여 유의적인 감소가인정되어(P<0.0
        4,000원
        55.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본과(禾本科) 및 두과사료작물(荳科飼料作物)의 단파(單播)와 혼파(混播)에서 중질소(重窒素)를 시용(施用)하여 시비질소(施肥窒素)의 작물별(作物別) 건물수량(乾物收量), 총질소함량(總窒素含量), 비료유내질소율(肥料由來窒素率), 토양중(土壤中) 유효질소량 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수량(乾物收量)에 대(對)한 질소시비효과는 orchardgrass에서만 높이 인정(認定)되었고 alfalfa와 birdsfoot treoil은
        4,000원
        56.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ittle culm벼의 예취높이를 구명하여 조사요로서의 수량 및 영양가를 평가하고자 섬진벼 및 Brittle culm인 KL501 품종을 공시하고 예취높이를 지상 0, 5, 10 및 20cm 달리하여 1996년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생초장, 경직경 및 재생경율은 예취높이를 높게 할수록 크고 높았으며 분얼경수는 품종 및 예취높이간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조단백질, 조지방 및 NFE 함량은 1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나 조섬유 및 조회분함량은 이와 반대의 경향이며 2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조단백질 및 조지방함량은 감소하고 조섬유 및 조회분함량은 증가하였으나 NFE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3. 청예수량 예취높이 10cm가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는데 섬진벼는 4.45ton /ha, KL501은 4.71ton /ha이며 건물수량은 섬진벼가 1.16 ton /ha, KL501이 1.14 ton /ha이었다. 4. TDN함량은 1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을수록 증가하나 2차 예취시는 이와 반대의 경향이며 TDN수량은 예취높이 10cm, 예취시 섬진벼는 0.63ton /ha, KL501은 0.61ton /ha로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57.
        199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시 수량, 일반사료성분과 에너지 함량 및 수량을 질소시비량 및 예취시기에 따른 반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은 질소시비량이 30kg/10a까지 많을수록 청예 및 건물수량이 증가하고 건물률은 감소하였으며 식물체의 엽신과 엽초의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줄기와 이삭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2. 호밀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 무기물 및 에너지 함량과 수량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ADF(acid detergent fiber) 와 NDF(neutral detergent fiber)의 함량은 감소하고 상대적사료가치가 높아졌다. 3. 질소시비량이 많아지면 예취시기가 늦더라도 전체 조단백질 함량 중에서 가급태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낮아지지 않았다. 4. 호밀의 수확적기는 관행사료가치의 관점에서 는 대체로 유숙기 무렵으로 판단되었으나 사료의 에너지 관점에서는 이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증체에너지(NEG)와 유지에너지(NEM) 면에서 본 수확적기는 개화후기에 높고 관행사료가치보다 10일정도 빨랐으며 에너지추정값(ENE)과 필유에너지(NEL)는 유숙기 무렵으로 같았다.
        58.
        199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남 예산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때 파종량과 예취기간가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이 많아질수록 호밀의 초장과 단위면 적당 경수는 증가하였으며 건물률은 감소하였다. 2. 청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예산에서 청예수량이 가장 높았던 예취기는 5월 15일,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던 예취기는 5월 25일 이었다. 3. 파종량이 많을 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조단백질, 가급태단백질 및 가소화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조섬유함량(ADF와 NDF)은 증가하였다. 4. 파종량이 많을 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총가소화영양분(TDN) 함량과 상대적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TDN 수량은 파종량 18-28kg/10a, 5월 15-25일 수확시 가장 높았다. 5. 호밀의 에너지 함량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나, 단위면적당 에너지 생산량은 ENE와 NEL은 23kg/10a 파종-5월 15일 수확할때, NEM은 18kg/10a 파종-5월 15일 수확할때 가장 높았다. NEG는 18-28kg/10a 파종-5월 5일 수확할 때 가장 높았다.
        59.
        198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주조가 우리나라 자연환경조건에서 재배될 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조, 기장, 옥수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1985∼86년에 수원 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 파종, 시험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종합, 요약하여 보고한다. 1. 진주조는 26품종 평균 청취수량이 10.7∼12.8t/10a 생산되어 조, 기장, 옥수수에 비하여 월등히 다수확되었다. 옥수수는 조와 기장에 비하여 증수되었고 기장은 조에 비하여 청취 및 건물수량이 높았다. 2. 진주조 우량교잡종 수원 001는 3회 예취한 청예수량이 14.9t/10a로 옥수수 6.6t/ 10a,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9.5t/10a에 비하여 월등히 증수되었다. 엽면적지수도 3회 예취시 합계 32.4로 옥수수 5.8, 수수/수단그라스 20.8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조단백질함량에서도 진주조의 종실에서는 16.3%로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에 비하여 6∼5% 높았다. 청예용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도 진주조 1회 11.8%, 4회 예취에서 평균 16.1 %로 월등히 높았다. 조지방함량도 진주조 종실 3.8%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청예용 식물체에서는 1.3∼1.4%로 옥수수와 비슷하였고 수수/수단그라스보다는 약간 낮았다. 종실의 조섬유함량은 진주조가 1.9%로 옥수수 2.6%, 수수/수단그라스 4.3%에 비하여 월등히 낮았다. 청예용 식물체의 조섬유함량은 진주조 24.4∼26.8%로 옥수수보다 낮았으나 수수/수단그라스와는 비슷하였다. 조회분은 진주조 종실에 2.4%, 청예용 식물체에 10.8∼11.6% 함유되어 있었으며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와 큰 차이가 없었다. 소비율도 진주조가 57.6∼63.4%로 옥수수 46.3%, 수수/수단그라스 47.3∼57.6%에 비하여 높았다. 3. 질소증시에 따라 진주조 자식계통 T 186의 청예수량이 증가되었다.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은 N0∼10kg/10a구에서 5.2∼5.0%, N 20∼40kg/10a구에서 8.9∼8.4%. N 60kg/10a구에서 12.4%로 증가되었으나 조지방함량은 질소증시에 따라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조섬유함량은 27.7∼30.5%로 질소증시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조회분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소화율은 N0∼10kg/10a구의 49.4∼49.7%에 비하여 N20∼30kg/10a구에서는 56.6∼60.9 %로 증가하였으며 N40∼60kg/10a구는 50.2∼55.0%로 약간 낮아졌다.
        60.
        197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ompare the forage value and to promote the growth without the hindrance of rice transplanting period for several forage crops as prior crops of paddy fie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ree kinds of foliar application, such solution as Urea, Gibb. and Gibb. +Urea were applied to promote the growth. The results g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forage crops, there were large difference of yields. The rankings of yield were shown as follows; Fresh weightㆍDry weight : Oats. Italian rye grass. White clover. Corn. Soybean. Crude protein content: Soybean. White clover. Corn. Italian rye grass. Oats. Crude protein Yield: White clover. Italian rye grass. Oats. Corn. Soybean. 2. The ranking of suitable forage crops as prior crops of paddy field were Oats, Italian rye grass, White clover, but Corn and Soybean were unsuited. 3. In general, length of stem,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enlarged such rank as foliar application of Urea, Gibb. and Gibb. + Urea solution. There were apt to be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 by growth of stem length, these trend were shown among all crops and between foliar applications of same crops. 4. All crops were shown not only promoted growth but also increased yield by every treatments. The order of application effects were as follows; Fresh weigthㆍDry weigth: Gibb., Gibb. +Urea, Urea. Crude protein content and yield: Urea, Gibb, Gibb. + Urea. 5. In Oats, heading date was more accelerated 1, 2 and 3 days than control by foliar application of Urea, Gibb. and Gibb. + Urea respectively.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