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are medium-sized carnivorous mammals in Korea. To determine their dietary habits, feces of leopard cats and yellow-throated martens were collected from Jirisan Mountain and hairs from the feces were analyzed in a non-invasive manner. Results showed that both species mainly preyed on Rodentia, with yellow-throated martens also consuming fruits and insects. Notably, they hunted wild boars and roe deer/water deer. Their ability to prey on animals larger than themselves suggests they can serve as ecosystem regulators in the absence of large carnivores such as tigers and leopar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ir dietary habits through non-invasive hair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baseline data for habitat identification and conservation research.
본 연구는 생성형 AI의 일종인 GPTs를 활용하여 중국어 회화 교육의 혁신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실시간 피드백과 개별화된 학습 환경을 통해 학습자의 자 기주도적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탐구하였다. GPTs의 음성 분석 및 피 드백 기능은 발음, 성조, 억양과 같은 음성학적 요소의 교정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였 으며, 학습자들은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오류를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수정할 수 있었다. 교재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반영한 GPTs 기 반 학습 시스템은 교실 수업과 자기주도학습의 효과적인 통합을 이끌어냈으며, 이를 통해 교수자의 역할이 지식 전달자에서 학습 촉진자로 변화하면서 중국어 회화 교육 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richoloma matsutake, one of the most famous edible mushroom in Asia, has been cultivated in red pine forest. Because of its difficulty in artificial cultivation, T. matsutake cultivation has relied on foraging in the forest. Under certain environmental conditions, T. matsutake form the Shiro, the condensed mycelium, and develop into fruiting bodies. Among the certain environmental conditions, fungal communities play a major role in the mushroom development. Therefore, fungal community investigations for Bonghwa and Yangyang have been conducted on soil with fairy rings in the past, soil with existing fairy rings, and soil with presumptive fairy rings developing in the future. From the six soil samples, total 163 genera of fungi were detected and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abundance of each sample were also analyzed. In result, the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abundance of the fairy rings in Yangyang were lower than those in Bonghwa. In comparison with the fairy rings in Yangyang and Bonghwa, the dominance of the genus Tricholoma was higher and that of the genus Motilella was lower in Yangyang.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establishment of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to promote the T. matsutake cultivation is highly expected.
Despite their historical use, studies on the genetic functions of mushrooms and varietal improvement via biomolecular techniques are limited compared to other organisms. Recent advancements in CRISPR/Cas9 have enabled precise genetic modifications in mushrooms, with RNP-based systems offering high editing efficiency without foreign gene insertion. In this study, we optimized gene-editing conditions for Ganoderma lucidum (Yongji 2) by utilizing RNP/nanoparticle complexes to enhance efficiency. The optimal conditions included a 0.2 M sorbitol buffer (pH 7.0) and a protoplast-to-complex ratio of 10:1. Among eight gRNAs designed for the catA gene, three were identified with high activity, and PEG-mediated transformation resulted in successful gene edits, primarily involving 1 bp deletions. The editing efficiency reached 7–8%, demonstrating that nanoparticle-supported RNP systems are effective for marker-free gene editing in mushrooms. These findings highlight a promising approach for advancing genetic research and varietal improvement in G. lucidum and other mushroom species.
In order to develop a stable production and delicious unique cultivar of beech mushrooms, we generated hybrids using wild resources collected domestically, and we developed excellent strains by identifying the mycelial cultivability of the hybrid strains. The developed strains were cultiv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pawn and incubation time, and strains with excellent yield and shape were first selected, and second strains with less bitterness and excellent taste were selected through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This was verified in farms, and ‘HM6-6’, which had a good reputation in the field, was directly developed cultivars as ‘Maruking’. In addition, the yield was high overall in the 90-day culture of the growth substrate inoculated with solid spawn, and the ‘Maruking’ cultivar, was also best in the 90-day culture. The yield was high overall in the 75-day culture of the liquid spawn, but ‘Maruking’ showed excellent yield when cultured for 70 days.
The Grifola frondosa cultivar KMCC03118 was used to isolate monokaryotic strains via spore separation, resulting in the successful crossbreeding of strains KMCC03118-11 and KMCC03118-23, which produced F1 hybrids. These F1 hybrids were then further crossed with various monokaryotic strains to generate F2 progeny.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different medium compositions on fruit body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a substrate consisting of wheat bran and dried sawdust, with a carbon-to-nitrogen (C/N) ratio of 66-68, provided the most favor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Among the strains tested, KMCC03137 and GF-18-50 demonstrated superior characteristics, including a larger fruit body diameter, thicker pileus, and greater stipe thickness, with the highest productivity observed at 143.6 ± 13.3 g and 144.7 ± 15.2 g,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color of the caps (L: 29.7 ± 7.1, a: 2.6 ± 0.7, b: 8.2 ± 1.8) remained consistent, indicating stable high-quality produ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al substrate composition for enhancing both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fruit bodies was determined to be 42% Quercus sp. sawdust, 42% Quercus sp. fermented sawdust, 6% wheat bran, and 10% dried tofu residue. This study provides a crucial foundation for the commercial cultivation and breeding improvement of Grifola frondosa,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its genetic enhancement, and providing essential data for future research aimed at increasing the species' genetic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this study, Pleurotus ostreatus were grown in bottles at temperatures set to 15°C, 20°C, and 25°C inside the cultivation room. Changes in temperature, CO2 concentration, and humidity inside the bottles were measured,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evaluated. CO2 concentration increased overall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was particularly stable at 20°C, suggesting that 20°C is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physiological respiration of P. ostreatus . While humidity was relatively constant at 15°C, it decreased over time at 20°C and was maintained at a stable level at 25°C, suggesting that water retention capacity may occur at high temperatures. As a result of the growth investigation, the yield per bottle and individual weight were the highest at 20°C, confirming that 20°C is the most suitable temperature condition for the growth of oyster mushrooms. At 25°C, the yield per bottle was maintained but the individual weight decreased and the color tended to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CO2 concentration, humidity, and temperat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yster mushrooms, and that it is effective to control the cultivation room temperature to 20°C for optimal growth.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내 전통 천연염색소재인 감(persimmon)과 쪽(indigo)으로 염색한 면직물로 구성된 동일색조 2-배색 직물의 색채감성 요인을 규명하고 색채감성 요인 및 색채 선호도와 물리적 색채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색채감성 요인의 예측모델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감과 쪽으로 염색하여 동일색조 2개 유형(soft와 dull)과 배색 면적비(감:쪽) 3 수준(1:1, 2:1, 1:2)을 조합한 총 6종의 직물 자극물을 준비하여, 20대 여대생 38명을 대상으로 IRI 색채이미지스케일의 13개 색채감성 형용사와 선호도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안락감’, ‘경량감’, ‘역동성’, ‘고상함’의 4개 색채감성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요인 ‘경량감’은 동일색조 유형인 soft에 서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경향이었으며, 요인 ‘안락감’은 배색 면적비 2:1에서, ‘고상함’은 배색면적비 1:2에서 유의하 게 더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물리적 배색변인들은 요인 ‘안락감’, ‘경량감’, ‘고상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색채감성 요인 ‘안락감’과 ‘경량감’, ‘고상함’의 예측 회귀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색채선호도는 유의한 예측식이 수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감과 쪽의 천연염색 섬유제품의 배색을 활용하여 섬유⋅패션제품 의 감성 이미지를 설계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은 조직의 성과를 위한 개인의 이타적 행동으로 여 겨져 왔고 개인이 처한 조직 환경 맥락에 의해 유발되거나 지속되는 행동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개인 은 행동에 대한 인지적 해석 과정을 통해 행동의 구조적 환경을 유지하거나 변경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직시민행동은 또한 개인이 목적과 의지를 가지고 내외부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 다. 따라서 조직시민행동이라는 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찰을 통해 환경을 재구성 해나 가는 인간의 주체적 행위를 강조하는 행위주체성(agency)을 기반으로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개인의 경험적 해석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여 행위주체성을 기반으로 직장에서의 조직시민행동 경험의 내러티브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를 파악하기 위해 현 직장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직장인 4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 다. 연구결과 행위주체성에 기반한 조직시민행동은 관계 맺기, 역할 재정의, 구조 재구성, 목적과 수단의 변화, 행위주체성의 정교화의 5가지 맥락이 도출되었다. 조직시민행동을 실천하는 개인은 조직구성원 간 의 상호의존적인 관계와 그러한 관계가 만드는 역동성을 인식하였으며, 성찰을 통해 자신의 역할을 지속 적으로 재정의하였다. 또한 자신이 속한 구조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바탕으로 구조를 재구성해 나갔다. 조직시민행동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목적과 수단이 나타났으며 행위주체성의 정교화를 통해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행위주체성을 복합적으로 실천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시민행동의 실천 맥락을 행위주체 성에 기반하여 자기 이해에 기반한 사회적 행위로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실천 맥락에서 조직시민행동은 개인차원 또는 조직차원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실천하는 개인이 행위를 변경함으로써 차원 간의 역동적인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Seven university students who scored 21 or higher on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October 22, 2022, to February 27, 2023. Verbatim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Thirteen themes and six theme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were derived from six themes: relational deficits and role imbalance within the family,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conflicts arising from social expectations and identity struggles, resistance towards uncertainty in the future and efforts for self-understanding and personal change,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for self-protection. Conclusion: To mitigate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hould educate them on effective methods of coping with trauma and stress and strengthen employment and financial support policies by implementing targeted scholarship programs and job placement services.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to assist university students with depression to enhance their ability for self-acceptance to prevent negative self-perception.
본 연구는 크로스핏(CrossFit) 참가자의 부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참가자의 숙련 도에 따른 부상 원인 및 유형을 분석하여, 부상 예방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숙련도와 훈련 시간에 따라 부상의 원인과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고, 부상률도 코치의 지도와 경쟁적 환경에 따라 차 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전문 코치의 지도, 정기적인 정형외과 검사, 개인화된 훈련 프로그램, 부상 이력 관리, 적절한 장비 사용 및 안전 검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추후 제안된 예방 전략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이 다.
1995년 이후 성평등 전략으로서 모든 분야에 젠더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성 주류화 전략이 채택되면서 성평등은 국제사회와 각국이 함께 추구해야 할 목표가 되었다. 그리고 실무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성주류 화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 왔으나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외적 상황을 고 려하고, 한국의 경험에 기반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는 국제개발협력 실무자를 위한 성주류화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해 지속가 능발전목표(SDGs)가 채택된 2015년 이후 국제사회와 각국에서 발간한 성주류화 가이드라인을 수집하고, 21개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성주류화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와 내용, 그리고 방향을 도출하였다. 개발협력의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에는 성주류화에 관한 개념과 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 프로그램이나 사업의 단계별 적용에 대한 세부 가이드라인,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해 현장의 구체적 상황 이 해가 필수 요소이며, 발간 이후에도 실무자, 전문가, 수여국의 젠더 관점 수용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s in the total bacterial counts (TBC) and coliform counts in a variety of Korean Hanwoo beef cuts (strip loin, rump, flank, shank, chuck and loin)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fter wrapping or vacuum packaging. TBC and coliform counts in all the cut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torage period. The initial microbial at baseline was higher in the chuck cut (2.0 log CFU/cm2) than in the other cuts (1.1~1.3 log CFU/cm2). Compared to wrapping, vacuum packaging effectively delayed spoilage. TBC exceeded 6 log CFU/cm2 at 2 and 4oC in 21 and 11 days for wrapped meats and in 50 and 32 days for vacuum-packaged meats,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initial microbial count, the TBC of wrapped meats stored at 10 and 15oC exceeded 6 log CFU/cm2 in 4 and 3 days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the vacuumpackaged meats exceeded this level at these temperatures 6 and 5 days, respectively. Chuck cuts, with relatively high initial microbial levels, reached the spoilage point more quickly than other cuts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sum up, vacuum packaging followed by storage and distribution at 2oC is the most effective approach for extending shelf life and maintaining quality.
본 연구는 범국민 책 읽기 문화 확산과 독서진흥 활성화를 위해 개최 되는 대한민국 독서대전 개최지의 선정이유를 살펴보고, 해당 지역이 선 정되는데 영향을 미쳤던 지역의 특색있는 독서문화행사를 밝혀내어 지역 별 경쟁력 있는 독서문화행사의 우수사례를 발굴하는 것에 그 목표가 있 다. 독서대전은 2014년부터 개최된 이래 11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한 민국 독서대전의 법적 근거, 운영 목적, 운영 과정 등을 포함한 독서대전 개요를 살펴보았다. 이에 더해 총 10개 개최지의 선정이유를 다룬 공식 보도자료, 지역신문기사, 관련 연구 등에서 언급된 독서문화행사를 분석 하여 선정이유를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10개 지역 중 6개 지역이 한 도시 한 책 읽기 운동을 하고 있었고, 해당 독서운동은 점점 지역과 밀 착된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었다. 또 하나 눈에 띄는 특징은 지역 내 다 양한 기관의 관심과 협력을 기반으로 책과 독서와 관련한 지역 축제 및 행사가 운영 중이라는 점이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지역 중심의 독서문 화행사의 성공사례가 공유되어 지역 독서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