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yster mushroom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effect of installing a convection fan on the uniformity of the environment inside the cultivation house, the quantity of fruiting bodies, and marketability for stable production. When using a convection fan,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O2 concentration were maintained more uniformly than when not used.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uiting bodies, the quantity per bottle was 177.3 g when using a convection fan, which was 17% higher than when not used, and the individual weight was 49% higher. In addition, the cap diameter, cap thickness, and stem thickness increased slightly in the convection fan treatment, and the stem length was shorter.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lammulina velutipesduring storage using modified atmosphere films of different thicknesses (20, 40, and 60 μm). The films included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F. velutipeswere stored at 1°C for six weeks, and quality was assessed based on weight loss, respiration rate, firmness, color parameters, β-glucan content,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 picrylhydrazyl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l HDPE and LDPE film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film (polypropylene) at maintaining mushroom quality, particularly in the later stages of storage. In particular, LDPE films with thicknesses of 20 and 40 μm showed superior performance at reducing respiration rates and weight loss, while mushrooms packaged with these films retained higher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β-glucan content also remained more stable in mushrooms stored using HDPE and LDPE films. Although we did not evaluate changes in sensory properties or nutritional components, such as vitami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 and thickness of packaging film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reservation of the quality of F. velutipesduring storage. Additionally, LDPE films with thicknesses of 20 and 40 μm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packaging materials for the distribution and storage of F. velutipes. Furthermor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selection of optimal packaging materials to extend the shelf life and maintain freshness during the postharvest handlingof F. velutipes.
In this study, Pleurotus ostreatus were grown in bottles at temperatures set to 15°C, 20°C, and 25°C inside the cultivation room. Changes in temperature, CO2 concentration, and humidity inside the bottles were measured,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evaluated. CO2 concentration increased overall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was particularly stable at 20°C, suggesting that 20°C is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physiological respiration of P. ostreatus . While humidity was relatively constant at 15°C, it decreased over time at 20°C and was maintained at a stable level at 25°C, suggesting that water retention capacity may occur at high temperatures. As a result of the growth investigation, the yield per bottle and individual weight were the highest at 20°C, confirming that 20°C is the most suitable temperature condition for the growth of oyster mushrooms. At 25°C, the yield per bottle was maintained but the individual weight decreased and the color tended to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CO2 concentration, humidity, and temperat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yster mushrooms, and that it is effective to control the cultivation room temperature to 20°C for optimal growth.
Flammulina velutipesis highly valued and widely consumed because of its nutritional and functional benefits, and its global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However, rapid quality deterioration and short shelf life create an urgent need for effective preservation and advanced quality assessment of Flammulina velutipes.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identify methods that reduce postharvest quality loss, extend shelf life, and optimize storage and distribution practices for Flammulina velutipes. Chemical treatments (including antioxidants, 1-methylcyclopropene, and edible coatings), low-temperature plasma, and innovative nanocomposite-based packaging have been effective in maintaining Flammulina velutipesquality after harvest. Nevertheless, further discussions on the economic feasibility, safety, and sustainability of these technologies are essential for their practic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in Flammulina velutipespreservation.
Cnidium officinale M. is an important crop that is wide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health functional foods. However, it is experiencing cultivation difficulties due to climate change and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In response to this problem, the characteristics and main causes of the high-temperature damage occurring in C. officinale M. cultivation fields were analyzed. A survey of five farmhouse fields in Jecheon and Bonghwa, major C. officinale M. cultivation areas in Korea in 2018, indicated that about 5% to 37% of the cultivation fields in Jecheon and 5% to 15% of the fields in Bonghwa died from wilting. The high-temperature damage of the C. officinale M. field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upper leaves drying due to solar radiation and temperature, and lower leaves dying serially to the radiant heat of the vinyl mulch. Damage caused by radiant heat was typically greater. This is due to the greenhouse effect that occurs in the small space between the black vinyl mulching and the soil. The heat radiated to the surface of the ridge creating an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greatly exceede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especially on hot days. As a result, short plants with underground parts, such as C. officinale M., can suffer more high-temperature damage than other plants, so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chnologies such as mulching materials that can reduce pavement temperature in the futur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서 식용이 가능하며 곤드레라고 부르기도 한다. 최근 고려엉겅퀴에 여뀌못 털진딧물(Capitophorus elaeagni, Del Guercio)의 발생이 확인되어 재배농가의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한 친환경적인 방제방법 구명을 위 해 시판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하여 고려엉겅퀴 식물체에 발생한 여뀌못털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pyrethrins+paraffinic oils 이 98% 수준의 방제가를 보여주었으며 pyrethrins+matrine+pyroligneous 가 약 95%의 방제가를, azadirachtin+rotenone 성분이 7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중 pyrethrins 성분이 가장 좋은 효과를 주는 것으로 여겨지며 유기농업자재 살포로 인한 약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2010년에 호접란에서 꽃봉오리 낙화를 동반하는 꽃대가 괴 사증상을 나타내는 바이러스로 추정되는 피해가 상업용으로 호접란을 재배하는 경기도 화성지역 농가에서 ‘Fireweak’ 단 일 품종에서 백만주 가량 발생하였다. 난에 발생하는 주요 바 이러스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한 결과 ORSV와 CymMV 프라이머 특이 PCR 산물이 증폭되었으며 이 두 개 의 분리주를 각각 ORSV-NIHHSK2와 CymMV-NIHHSK2로 명명하였다. ORSV-NIHHSK2를 ORSV 48개의 국내 분리주 (GenBank accession no. AB541474-AB541521)와 염기서열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98.3~100%이며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 은 97.5~100%이었다. CymMV-NIHHSK2를 52개의 CymMV 국내 분리주(GenBank accession no. AB541522-AB541573) 와 염기서열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90.2~100%, 아미노산 서 열 상동성은 96.0~100%이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Fireweak’ 품종을 포함하는 6개 계통에 ORSV-NIHHSK2과 CymMV-NIHHSK2 이병즙액을 인공 접종하여 2년 동안 병징 발현을 관찰한 결과 ‘Fireweak’ 품종에서 꽃이 봉오리 상태에 서 노랗게 말라 죽는 증상을 동반하는 꽃대 괴저증상이 접종 주 총 18 그루 가운데 2 그루에서 관찰되었으며, 잎에 황색반 점 및 괴저 증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Fireweak’ 품종에서 나타내는 꽃대 괴저 증상은 ORSV와 CymMV 단독 또는 복합 감염에 의한 증상임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로부터 호접란 꽃 대 괴저증상은 ORSV 또는 CymMV 감염에 민감한 품종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는 호접란에서 ORSV 또 는 CymMV 감염에 의한 화기의 괴저 증상에 관한 세계 최초 보고이다.
In this paper, through the relevant syntactic structure and semantic comparison of Chinese and Korean Studies on Modern Chinese function words “De(的)”, “De(的)” was investigated whether has the character of aspect. Through the investigation discovery, Korean language in common and difference on time. In the concrete analysis, this paper also uses Chomsky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theory and Barriers theory, analyzes the tree diagram “De(的)” sentence, an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verb “De(的)” analysis, comparison of Chinese and Korean “De(的)” aspect fe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본 연구는 고추 유묘기 P. capsici의 접종 방법에 따른 이병성과 유전양식을 검정하여 역병 저항성 검정에 적합한 접종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접종 방법에 따른 처리구내 비교에서 모든 처리구의 후대 세대는 세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병성 재료 ‘#1308’과 저항성 ‘CM334’, F1의 비분리세대의 군간 비교에서는 각각 고추 역병의 발병도는 3.64-4.97, 1.00-1.85, 1.01-1.83을 보여 접종 방법에 따른 세대간역병 저항성 차이는 명확히 구분되었는데, 이 중에서 줄기상처법이 더 많이 이병되어 접종방법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2 분리세대의 역병 발병도의 경향은 2.01-2.52를 보였고,줄기상처법이 더 많이 발병하여 접종 방법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2 분리세대의 접종방법에 따른 군간 비교에서뿌리침지법은 유의한 분리 특성을 보이지 않았고, 엽면살포법과 줄기상처법은 11:5의 유효 유전자간 상호작용이 확인되었다. 배지블럭법, 병토법, 관주법은 3:1 혹은 9:3:3:1의 분리 특성을 보여 1-2개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고추 역병 유묘 검정에서 배지블럭법과 토양관주법이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olletotrichum 속에 따른 친환경 자재들의 고추 탄저병 방제 효과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포자 발아억제 효과는 가용성 황과 BP 혼합 미생물 제제가 각각 90.4 - 99.3%와 83.4 - 96.6%를 나타내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균사 생육 억제 효과는 BP 미생물 제제가 83.5 - 98.3%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무상처 과실의 예방 효과는 수산화동이 85.5 - 93.1%, 상처 낸 과실의 예방 효과는 가용성 황이 75.4 - 79.5%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무상처 과실의 치료 효과는 가용성 황이 70.3 - 74.1%, 상처 낸 과실의 치료 효과는 C. dematium과 C. acutatum에서 30% 내외의 미미한 치료효과가 있었지만 다른 친환경 자재들은 그 효과가 없었다. 두 기내 실험에서 Colletotrichum 속에 따른 친환경 자재의 방제 효과가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확인되었다. 포자 발아와 균사 생육의 억제 효과가 친환경 자재 특히 BP 혼합 미생물 제제에서 C. gloeosporioides이 높았고 C. capsici이 낮게 나타나 Colletotrichum속 간의 차이를 보였다. 고추 과실에서 Colletotrichum 속에 따른 친환경 자재의 방제 효과를 보면, 두 기내실험과 달리 일부에서 확인되었다. 무상처 과실의 예방 효과가 확인된 수산화동과 가용성 황 처리구에서 C. dematium에서 높고, C. capsici 및 G. cingulata에서 낮았다. 하지만 상처 낸 과실의 예방 효과와 무상처 과실의 치료 효과가 확인된 가용성 황 처리구에서 Colletotrichum 속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여름배추 산지로 알려진 지역의 토양내 P. brassicae의 오염 조사를 통하여 병원균의 오염 정도와 화학적방제의 기초 기술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여름배추 재배지로 알려진 평창군은 15곳 중 12곳, 삼척시와 태백시는 11곳 중 7곳이 P. brassicae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내 P.brassicae에 의한 오염률은 평창군 80.0%, 삼척시와 태백시 63.6%로 나타났다. 배추뿌리혹이 육안으로 확인된 10곳은 PCR 검정에서 토양내 P. brassicae가 100%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토양내 P. brassicae의 오염을 PCR 진단을 통해 화학적 방제를 결정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뿌리 혹병균 균주의 병원성 차이와 배추와 무의 저항성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Williams 판별 기주 4종을 이용한 접종 균주들의 race검정에서 기보유 균주는 발병률 64.1-90.6%이 었고, PC91214 균주는 발병률 98.4-100%, 발병도 4.2-4.6를 보여 두 균주 모두 race 4이지만 PC91214 균주가 더 높은 병원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균주별 배추와 무의 시판 품종의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기보유 균주 접종 처리에서 발병률과 발병도를 조사하였는데, 역광 100.0%와 3.1, 매력 100%와 3.9, 노랑봄 100%와 4.8, 춘광 100%와 3.9, 정상 100%와 4.8을 보여 총 5품종에서 강하게 발병하였다. 반면 무는 청대봄무만 발병률 35.9%와 발병도1.0의 극약으로 발병하였고 공시한 무 품종 대부분이 기보유균주에 대하여 저항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PC91214 균주 접종 처리에서 모든 배추에서 발병률100.0%와 발병도 3.7–5.0을 보였고, 무의 발병률과 발병도는 강성무 60.9%와 1.5, 관동여름무 98.4%와 3.2, 백봉무 100%와 4.1, 청대봄무 100%와 4.7을 보여 PC91214 균주가 기보유 균주보다 더 강한 병원성과 시판 품종간 차이를 극명하게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랭지 주산지인 평창군에서 기존의 Plasmodiophora brassicae보다 더 강한 병원성을 가진 PC91214 균주가 확인되었다. 또한 배추는 CR 저항성 품종을 포함한 모든 품종이 이병되어 PC91214 균주에 대한 저항성 품종 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는 배추와 달리 PC91214 균주에 대하여 품종간 저항성 수준이 극명한 것으로 나타나 배추와 다른 유전자 및 유전 양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설악산 대청봉지역의 아고산식물대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환경과의 관계를 밝혀 이들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청봉지역의 아고산대 식물군락은 털진달래-사스래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입지 환경에 따라 종조성을 달리하는 눈잣나무군락, 분비나무군락, 눈측백군락,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락별 환경요인과 식생과의 ordination 분석 결과,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은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보다 전질소,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등의 양료가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이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보다 해발고가 다소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고,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은 북사면이나 북서사면에,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은 남서사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울릉도 고추냉이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분포서열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추냉이 개체군은 서면의 해발고 440m에서 570m 사이와 나리분지의 해발 340m 부근에 분포하고 있다. 고추냉이 군락지의 토양은 유기물함량 15.01%, 전질소함량 0.48%, 유효인산함량 44.19mg/kg, 치환성 K 2.00(me/100g), 치환성 Ca 7.19(me/100g), 치환성 Mg 4.44(me/100g), 양이온치환용량 22.55(me/100g)로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 pH는 6.17로 약산성 토양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일색고사리 우점개체군은 좀깨잎나무 우점개체군보다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치환성 Ca 등이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는데 반하여 좀깨잎나무 우점개체군은 일색고사리 우점개체군보다 pH가 다소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xonomic relationships of genus Arisaema L. distributed in Korea and the molecular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three authentic Arisaema species for the herbal medicine Arisaematis Rhizoma (the rhizomes of A. amurense, A. heterophyllum, and A. erubescens). The sequences of three DNA barcodes (rDNA-ITS, matK, and rbcL) were analyzed using 50 samples of nine taxa consisted of eight Korean and one Chinese Arisaema with one outgroup (Dracunculus vulgaris). Both individual and combined phylogenetic analyses of three DNA barcode sequences revealed that the treated nine taxa are independently classified into six distinct clades (Clade I, A. amurense f. amurense and A. amurense f. serratum; Clade II, A. serratum and A. takesimense; Clade III, A. ringens; Clade IV, A. erubescens; Clade V, A. heterophyllum; Clade VI, A. thunbergii subsp. thunbergii and A. thunbergii subsp. geomundoense). These six clades were reasonably divided into three individual sections, Pedatisecta, Sinarisaema, and Tortuosa. Futhermore, the results of comparative DNA barcode sequences analyses provided a significant information for the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Arisaema L. at the specific and intraspecific level. However, we could not confirm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or identity among the three authentic medicinal species through the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genus Arisaema L. for Arisaematis Rhiz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