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

        4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establish symbiotic host-bacterial relationships, symbionts in insects evolved a mechanism to overcome host immune responses. Here we provide the resistance of symbiotic bacteria on the insect immune system. As a result, through the transposon mutagenesis, we found a salivary gland (SG) susceptible mutant. The disrupted gene was identified as nlpB involved in lipoprotein synthesis. The nlpB, bla double deletion mutant was sensitive to SG like nlpB-Tn5 inserted mutant. This mutant increases outer membrane permeability. It provides an explanation for SG susceptibility, because the antimicrobial peptide in SG would be able to translocate across the outer membrane more easily than in the wild typ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lpB and bla are likely to be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determining resistance against SG of Riptortus that is connected with the successful colonization of the Riptortus midgut.
        4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s are extremely abundant and diverse. Their ecological importance may outweigh that of other animal groups in both natural and managed ecosystems. To foster beneficial roles of insects while reducing their adverse effec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insect behaviors and address its implications for applied ecological questions. Therefore, my research group has focused on studying behavioral ecology of several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including whiteflies, stink bugs, bean bugs, mosquitoes, and ticks. In this talk, I will present classical and new techniques to study behaviors of the insects and some of the important findings, especially about dispersal and overwintering ecologies.
        4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어업유산은 수대에 걸쳐 축적된 농업의 지식과 경험에 기초한 농업 문화로 인류 진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반영하고 있으며(백승석, 2015),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와 국내의 국가농어업유산과 같은 제도를 통해 이를 보전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농어업유산지역은 지역 주민들이 척박한 지역자연환경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농어업을 유지해 온 곳으로, 지역의 독특한 농업생물다양성 및 경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 국가농업유산으로 등재된 곳은 총 6곳으로 구례 산수유농업지, 청산도 구들장논, 하동 전통차밭, 금산 인삼밭, 담양 대나무밭, 제주 밭담이며, 이 중 청산도 구들장논과 제주 밭담은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농업유산지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농어업지역의 생태현황을 파악하여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 및 생태성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으나 국내는 대부분 해당 농업유산지 주변 생태현황 자료만을 활용하여 농업유산지만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년에 국가중요 농업유산 제6호로 지정된 하동 전통차밭을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여 하동 전통차밭만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하동 전통차밭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해 있으며, 지리산에 둘러싸여 있는 험준한 산간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동 전통차밭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토지이용유형 및 차밭 유형에 따른 식물상 조사를 Braun-Blanquet 방법(Braun- Blanquet, 1913)으로 진행하였다. 토지이용유형에 따른 식물상 조사는 토지이용 유형을 산림, 차밭, 일반 경작지, 마을, 하천으로 구분하여 각 토지이용유형에서 출현한 식물상과 차밭에서 출현한 식물상과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가장 대표적인 마을 2곳(도심마을, 화랑마을)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차밭 유형에 따른 식물상 조사는 차밭 유형을 차밭의 배열 및 차밭을 둘러싼 토지이용유형으로 구분하여 출현 식물상을 조사하였으며, 도심마을, 화랑마을, 최고차나무 지역, 차시배지, 침점마을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장조사는 2016년 9월 9일부터 1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결과를 통해 식물상, 귀화율, 유사도를 비교·분석하였다. 토지이용유형에 따른 식물상 조사 결과, 도심마을(23과 32속 32종 5변종 1품종 38분류군)과 화랑마을(33과 55속 50종 12변종 2품종 64분류군) 모두 차밭에서 다른 토지이용유형에 비하여 많은 식물이 출현하였다. 도심마을에서 다른 토지이용유형에서는 출현하지 않고 차밭에서만 출현한 식물종은 애기족제비고사리, 댕댕이덩굴, 매실나무, 산딸기, 헛개나무, 뚝갈, 이고들빼기, 향등골나물, 조릿대였으며, 이 중 댕댕이덩굴, 산딸기, 뚝갈, 이고들빼기, 향등골나물은 주로 산림에서 출현하는 종이고 매실나무와 헛개나무는 지역 주민들이 차밭에 1~2개체 정도 함께 식재해 놓은 것이었다. 화랑마을의 경우 차밭에서만 출현한 식물종은 좀진고사리, 끈끈이여뀌, 댕댕이덩굴, 산딸기, 콩배나무, 돌콩, 둥근 매듭풀, 토끼풀, 고슴도치풀, 음나무, 쥐깨풀, 배풍등, 나도 개피, 참마였다. 거의 대부분의 토지이용유형에서 국화과, 벼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차밭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율의 경우 도심마을 차밭에서는 10.5%, 화랑마을 차밭에서는 9.4%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사람들의 출입이 있음에 따라 도깨비바늘, 주홍서나물 등의 귀화식물이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밭 유형은 현장 조사를 통해 산림 연접 비정형 배열차밭(도심마을, 화랑마을), 산림 연접 정형 배열 차밭(최고 차나무 지역, 차시배지), 대숲 연접 비정형 배열 차밭(차시배지), 평지 정형 배열 차밭(도심마을, 화랑마을), 유실수 혼농 비정형 배열 차밭(화랑마을), 유실수 혼농 정형 배열 차밭(침점마을)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산림 연접 비정형 배열 차밭(화랑마을)에서 33과 55속 50종 12변종 2품종 64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식물종이 출현하였다. 산림, 대숲과 같이 비교적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있는 토지이용유형과 연접한 차밭에서는 차밭 배열에 관계없이 식물종이 다양하게 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밭 등과 연접한 차밭의 경우 상대적으로 식물종이 다양하게 출현하지 않았다. 차밭 유형별 귀화율은 평지 정형 배열 차밭(도심마을, 15.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림 연접 정형 배열 차밭(차시배지, 5.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차밭과 차밭을 둘러싼 토지이용유형간 유사도를 분석하였는데 대부분 유사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식물상 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림 연접 차밭에서 산림 가장자리 및 마을, 밭 출현종 등 다양한 식물이 출현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차밭이 어느 정도의 수관을 제공해 산림 출현종들의 이입이 가능하며, 차밭 내 작업을 위한 이동로 공간은 수관이 노출되어 밭 등에서 출현하는 식물종이 이입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결과적으로 하동 전통 차밭은 산림과 밭, 마을 사이에 위치하여 종 공급처 및 수용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차밭의 경우 꼬리 고사리, 애기족제비고사리, 개고사리, 뱀고사리 등 양치식물의 생육이 다른 토지이용유형에 비하여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차나무의 수관에 의해 그늘이 생겨 양치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차밭 유형에 따른 출현식물상의 경우 산림, 대숲과 같이 비교적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있는 토지이용유형과 연접한 차밭에서는 식물종이 다양하게 출현한 반면, 밭 등과 연접한 차밭의 경우 상대적으로 식물종들이 다양하게 출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차밭을 둘러 싼 토지이용유형은 차밭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차밭 배열 형태의 경우 출현 식물상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비정형 및 정형 배열 모두 하층 식물이 이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하동 전통차밭은 산림에서 하천에 이르기까지 화개면 일대를 잇는 생태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서식지 다양성 및 생물종 다양성은 곤충, 조류 등 동물들의 서식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4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쇤베르크(A. Schönberg, 1874-1951)의 《다섯 개의 오케스트라 소품》(Op. 16, 1909) 가운데 제3번 <색깔>(Farben )로 시작되어 1960년대 리게티(G. Ligeti, 1923-2006)의 《아트모스페레》(Atmosphères , 1961)를 통해 음악 구성의 매개변수(Parameter)로 등장한 ‘음색’(Klangfarbe)은 19세기까지 음악 이론의 연구 대상이 아니었다. 역사적으로 음높이 그리고 음가와 분리할 수 없는 부수적인 소재였던 ‘음색’에 대한 많은 연구가 1960년대 등장한 ‘음색작곡’(Klangfarbenkomposition)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음색’이 결코 부수적인 음악 요소가 아니었음을 이론적으로 명료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음색’이라는 관점으로 음악을 관찰하여 18-19세기 작곡가들이 이 매개변수를어떻게 다루었는지, 그 비중의 정도 그리고 음색과 다른 음악 매개변수와의 관계성 변화를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음과 관계된, 선율, 화성 조성과의 관계 속에서 음색 그리고 리듬과 음색의 관계를 관현악법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을 포함한 제1장은 20세기 ‘음색’의 주요 매개변수로의 자리매김의 역사적 과정을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음의 연속을 통해 얻어진 ‘선율’을 대신하는 ‘음색 선율’ 또는 ‘주제’를 대신하는‘음색 주제’를 넘어 ‘음색’ 그 자체가 형식을 이루는 과정을 20세기 전후 창작된 작품분석으로 확인시켜준다. 또한 작품분석은 ‘음색’이 주요 음악적 매개변수로 자리매김 하는 과정이 ‘악기고유 정체성 해체’에 종착점을 두었다는 결론을 이끌 수 있게 하였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음고’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구체화 한 음색작곡과 악기의 특수주법과 연결된 음색작곡이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그 분류는 ‘쇤베르크/드뷔시-리게티-배음렬음악 작곡가들’ 그리고 ‘베베른-케이지/펜데레츠키-카겔’에 이른다.
        7,000원
        4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안전보건지표는 그 활용성이 높아 국외에서는 종합적인 환경보건지표 내 세부영역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환경보건지표와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도입단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식품안전 보건지표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사례연구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하여 제시한 활용방안으로는 지수화를 통한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 산출, 통합식품안전 보건지수와 이를 구성하는 식품안전보건지표간의 상관성평가,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와 사회경제적 지위와의 상관성평가가 있다. 지역 내에서 식품안전보건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I과 해당 년도의 지역별 식품안전보건수준을 나타내는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II가 산출되었다.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I은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 살모넬라, 원인미상으로 인한 식품매개질환 발생건수, 식품매개 법정감염병 발생률 중 장출혈성 대장균 발생률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II는 외국인 비율과 여성 비율이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인구밀도가 증가할 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제시된 활용방안을 통해 전반적인 국내 식품안전보건상태와 지역별연도별 식품안전보건상태의 변화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식품안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타 요인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추가적인 추론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품안전보건지표는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정책적 기준 설정 및 방향성 제시의 근거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향후 더욱 활발한 연구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4,000원
        4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icks are obligatory ectoparasites of many vertebrates and transmit pathogens causing diseases such as Heartland virus and Ehrlichiosis. The lone star tick, Ambloyomma americanum L., is the primary vector of Ehrlichia chaffeensis, which causes human monocytic Ehrlichiosi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genomic levels of gene regulation in the processes of acquiring the pathogen and of immune to pathogen. We designed six experimental groups: E. chaffeensis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of males and females, and pathogen free male and female ticks. Illumine HiSeq 2500 sequenced six libraries with 100-cycle single direction. Raw sequence reads (more than 209 million) were trimmed and filtered based on minimum quality score (Q-value >30) and size (> 40nt) for de novo assembly. Assembly using Trinity pipeline produced 140,574 contigs from trimmed and filtered sequence reads (about 117 million reads, 56% of raw data). For quality control of the de novo assembly of transcripts, we filtered out the sequences for mitochondrial, E. chaffeensis, and transposable elements sequences, and tested for contig redundancy and gap separations of the assembled sequences. RSEM and edgeR analyses of 61,802 contigs for identifying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followed by Blast2GO analyses for annotations of contigs and enriched-gene ontology (GO) term analyses in pairwise comparisons of the libraries. Further investigation of major groups of genes induced by pathogen would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pathogen-vector interaction, which will allow us to prevent of pathogen transmission by interrupting interaction between pathogen and ticks.
        4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수생태계에서 수생식물은 서식처의 구조와 이질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무척추동물 및 척추동물 등 다양한 동물 들의 서식처 및 피난처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분류군 이다. 특히 지각류 등의 미소무척추동물은 어류나 대형무척 추동물을 위한 주요 먹이 자원으로서 빈번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한 피난처로서 수생식물을 적극 활 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생식물은 서식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므로 어류와 같은 포식자의 과도한 포식활동을 제한하여 피식자의 생존과 개체군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 다. 또한 피식자의 풍부도 유지는 포식자를 위한 먹이 자원 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서식처로서 수변식생대의 효율성은 식생대 를 구성하고 있는 수생식물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현저하 게 달라진다. 다양한 수생식물의 유형 중에서, 침수식물은 물 안에서 다른 식물종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식생대 내에서 이들 식물종의 서식은 서식처의 구조를 복잡 하게 만들 수 있다. 복잡한 구조를 가진 수생식물이 식생대 내에 우점할수록 서식처 및 피난처로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어류와 같은 시각적 포식자의 포식활동을 감소 시키는 효과 또한 높일 수 있어 다양한 피식자를 포함한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생식물이 가 지는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수서 동물들의 공간적·시간적 분포는 수생식물에 의한 서식처 이질성에 크게 영향받으며, 다양한 동물들의 현존량이나 종 다양성 결정에 크게 기여한 다. 국외의 경우, 이미 수서 동물의 분포, 발달, 개체군 성장 등에 대한 이해에 수생식물의 의해 야기되는 서식처 특성을중요하게 다루지만, 국내에서는 이러한 수생식물의 중요성 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동물들의 분포 특성 규명 시 수생식 물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식생대(갈대 식생대와 혼합 식생대)에서 플랑크톤, 저 서무척추동물, 어류 등의 계절별 분포를 조사하여, 수생식 물의 서로 다른 구성이 수서 생물의 분포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우포늪은 세계적인 람사르습지 로 상대적으로 인위적인 훼손이 덜 되었고, 자연성이 높기 때문에 수생식물이 수서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에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갈대 식생대는 갈대 군락으로 주로 구성되었으며, 혼합 식생대는 개구리밥, 마름, 어리연 꽃, 붕어마름, 말즘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낙동강에 4대강살리기 사업으로 인해 복 원되거나 새로 조성된 습지에서 전술한 조사를 재수행하여 생물다양성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수생식물의 역할을 고찰하 였다. 조사 결과, 수서 생물의 현존량이나 상호작용은 두 식생 대간에 뚜렷한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대부분의 수서생물 은 주로 다양한 수생식물에 의해 조성된 혼합 식생대에서 더 높은 현존량을 보였다. 특히, 부유성 조류나 동물플랑크 톤, 무척추동물 군집 등은 혼합 식생대에서 뚜렷하게 높았 다. 그러나 부착조류와 어류 등은 두 식생대간에 차이가 미 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된 수서 생물은 계절별 로 상이한 분포 특성을 가졌다. 봄부터 가을로 갈수록 부착 성 조류의 생물량은 증가된 반면, 부유성 조류의 생물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동물플랑크톤과 무척추동물 군집 또한 부착성 조류의 계절별 분포 패턴과 비슷하였지만, 어 류는 부유성 조류와 마찬가지로 가을로 갈수록 점자척으로 감소하였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주로 윤충류에 의해 우점 되었으며, 윤충류와 요각류의 비율은 봄부터 가을까지 비슷 하였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요각류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문헌에서 또한 요각류 군집은 겨울 철에 밀도가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는 어 류의 포식활동의 감소와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사료되 었다. 무척추동물 군집의 경우 잠자리목이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딱정벌레목과 하루살이 목 등 또한 중 요하게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경우, 외래종인 배스와 블루길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다른 어류종은 상대적으로 적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활용하여, 갈대로 주로 구성된 식생 대와 개구리밥, 마름, 어리연꽃, 붕어마름, 말즘 등으로 구성 된 식생대간에 생물 군집간 상호작용은 상이한 패턴이 관찰 되었다. 먹이그물 내에서 1차 소비자인 동물플랑크톤과 잠 자리목은 각각 부유성 입자(suspended particular organic matters, SPOM)와 부착성 입자(epiphytic organic matters, EPOM)를 소비하였으며, 이와 같은 패턴은 조사된 두 식생 대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같은 1차 소비자로서 역할을 하는 하루살이목의 경우, 봄에는 부유성 입자를 먹이원으로 활용 하였지만, 여름과 가을에는 부착성 입자에 대해 높은 기여 도를 보여 계절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는 두 먹이원간에 계절별 풍부도 차이인 것으로 사료되며, 하루살이목은 두 먹이원 모두를 섭식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 다. 흥미롭게도 어류의 경우, 두 식생대간에 상이한 섭식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갈대 지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경 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졌으며, 주로 동물플랑크톤이 나 하루살이류, 파리류 등을 먹이원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소비 패턴은 블루길(Lepomis macrochirus)과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다양한 식물군집으로 구성된 식생대에서 블루 길은 갈대 지대에서의 어류와 비슷한 소비패턴을 보였으나, 배스의 경우 다른 어류(블루길)나 잠자리 유충을 먹이원으 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식생대간에 어류의 먹이 원 차이는 어류의 크기에 따른 먹이 선택으로 인해 야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어류는 몸이나 입 크기에 따 라 먹이원의 선택이 차이나며, 성장하면서 몸이나 입 크기가 커질수록 선택하는 먹이원의 크기 또한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갈대 지대의 경우, 갈대의 줄기나 잎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식생대보다 서식 공간이 좁은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큰 몸집을 가진 어류는 갈대 지역에서 서식하기 힘들며, 주로 치어 등의 작 은 몸 크기를 가진 어류가 주로 거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식물종에 의해 구성된 식생대는 상대적으로 부드러 운 잎이나 줄기를 가진 식물이 대부분이어서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진 어류가 서식할 수 있다. 몸 크기뿐만 아니라 두 어류의 소비성향 또한 두 식생대간에 먹이원의 활용 차 이를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블루길의 경우, 동물플랑 크톤(주로 지각류)이나 작은 무척추동물(하루살이류 및 파 리류 등)을 주로 소비하며, 다른 어류를 먹이원으로 활용하 지 않지만, 배스 성체는 자신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어류를 먹이원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블루길은 주로 갈대 지대에서 찾을 수 있으며, 베스는 이 지대 근처에 주로 머무른다. 이 결과로 보아, 식생대의 서로 다른 구성 및 특성 은 생물상 분포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의 차이를 야기하며, 수생식물의 종조성 및 군집 구조는 해당지역에서 서식하는 동물상을 파악할 때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술한 결과로 비추어 보아, 수생식물은 다양한 생물들의 분포와 상호작용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수생식물은 포식자의 부분별한 포식을 저해하고, 다양한 피 식자들에게 적당한 서식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식처 내 생물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복원이나 새로 조성 시 효율적인 서식처 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수생식물의 식재나 자연적인 천이의 유도를 추천한다. 습지 복원 시 침수식물이나 부유식물 등 서식처 복잡성을 유도할 수 있는 식물의 식재는 서식처의 이질성을 높이고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둔치 공사로 인해 둔치 내에 존재하는 습지들이 훼손되었으며, 이들 소실된 습지를 복원하기 위해 다양한 습지 유형들이 둔치 내에 신설되었 다. 그러나 이들 습지들은 자연성이 부족하며, 특히 수변부 에 인공화된 불투수층에 의해 수생식물이 조성되기에 어려 운 구조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습지에서 플랑 크톤, 무척추동물, 어류 등의 생물상이 거의 분포하지 않은 것을 찾았으며, 생물다양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현재 복원된 습지는 수생식물과 같은 서식처가 부족하 며, 인간의 접근이 용이하여 다양한 동물이 분포하기에 어 려움을 가진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습지 복원 시 수생식 물의 식재는 서식처의 이질성을 증가시키고 동물이 분포하 기에 적당한 서식처 제공하여 생물다양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다양한 구조를 가진 식물들의 식 재는 서식처의 복잡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켜 종 다양성에 크게 기여하고 먹이그물을 더욱 복잡하게 구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49.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an experimental design, it is investigated how a cultural institution’s image dimensions are influenced by a sponsorship and its perceived level of sponsor-sponsee fit. Controlling for an individual’s cultural interest, results show that sponsor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congruency, can influence certain sponsee’s image associations.
        4,000원
        50.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ientific evidence indicates that a significant human contribution towards the world’s climate change. Human lifestyles and behavior need changing to reach the goal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fear or threat appeals in advertising campaigns can lead to changes in attitude and, subsequently, behavioral changes.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viewing different degrees of fear appeals of climate change on an individual’s intention to engage in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addition, the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an individual’s intention to engage in pro-environmental behavior may vary after viewing narratives of different degrees of fear-inspiring climate change are also examined. A total of 217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no fear appeal, low-fear appeal, and high-fear appeal. The fear manipulation check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ominent hypothesis of the drive theory model, an inverted-U-shaped response pattern to increasing levels of fear. The results of ANOVA test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who view the no-fear appeal text will have more intention of engaging in pro-environmental behavior than their counterparts, those who view the high-fear appeal tex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analysis reveal that an individual’s moral obligations play an important determinant of his/her intention to engage in pro-environmental behavior across both conditions. But in the high-fear appeal condition,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collective efficacy also plays an important determin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environmental behaviors are also provided.
        5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insect pest, Myzus persicae, Tetranychus urticae, and Liriomyza trifolii were irradiated with electron beam (50-250 Gy) or X-ray (10-150 Gy). Longevity, egg hatching, emergence and fecundity of the test insects were measured. When irradiated to the M. persicae, emergence of nymph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ut fecundity was inhibited at 100 Gy (electron beam) or 30 Gy (X-ray). When irradiated to the T. urticae, egg hatching was completely inhibited at 150 Gy (electron beam) or 50 Gy (X-ray) and egg hatching of F1 generation was decreased at 150 Gy of electron beam or 50 Gy of X-ray. When irradiated to the L. trifolii, egg hatching was completely inhibited at 30 Gy of X-ray, however, electron beam irradiation was not inhibited even at 200 Gy. Egg hatching from irradiated adults was completely inhibited at 150 Gy of electron beam and X-r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lectron beam and X-ray irradiation induced abnormal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however, the dose of irradiation required to inhibit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ect pests.
        5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seudomonas fluorescens B16 has been shown to be a promising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the promotion of plant growth, root colonization, and suppression of bacterial wil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persion of B16 from seed to radicle, and to the whole root system, and illustrated population changes within cucumber seeds and radicl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luorescence microscopy (FM) and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IFM). When cucumber seeds were soaked in a bacterial suspension of B16, bacterial cells entered the seeds through the pore at the base, colonized the inner plane, and proliferated germination advanced. Population densities of B16 were gradually increased, and increased initial populations within newly growing roots. The root surface was covered by cylindrical rod-shaped bacterial cells, and junctions between epidermal cells were covered preferentially. Previous studies exploring root colonization of rhizobacteria have not focused on colonized populations inside seeds. Our microscopic observation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bacterial cells colonized inside seed coats. Population densities of B16 were then naturally sustained up to harvesting tim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 about a novel insight into the commercial application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within seeds.
        4,000원
        53.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ltural assets of the country's history and cherish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eople, conscious and cohesive crystals, and the pride of the hearts of the people as a haven. In the country worth preserving national treasure, bomulgeup, local cultural heritage as a major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 Cultural properties, etc. Most are wooden, is vulnerable to fire, and, moreover battling to far away from the city and due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are very challenging aspects. The national cultural assets, such as the many temples, vows to fire one if the loss of a centuries-old cultural property is a big loss of national posterity to great shame is not. Still cultural assets and a large number of visitors have flocked temples. All of us to keep the look and feel of the cultural assets pleasure to conserve cultural assets preserved to ensure that fire prevention is always unmistakably bear in mind that sees.
        4,900원
        5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심 중요녹지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생태적 코리도를 GIS의 최소비용경로분석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 경로에 위치한 소규모 녹지를 고려하여 녹지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최소비용경로분석의 개념 및 분석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서산시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도심지역에 가까이 위치한 부춘산과 남쪽지역을 제외한 서산시 전역에 중요녹지지역이 위치하고 있었고 이를 연결하는코리도를 추출하여 서산시 녹지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서산시의 모든 코리도는 현재 도로에 의해 단절되어있었다. 그러므로 중요녹지지역의 관리보다는 연결코리도의 관리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그러나 본 연구는 코리도 설정을 위한 가중치 및 지표적용 문제 등에 대하여 외국 및 관련 기준사례들을 적용한것으로서 대상지 여건에 적합한 기준설정 및 이에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55.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ly(ADP-ribosyl)ation i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cellular proteins related to cell survival, cell death, cellular proliferation and epigenetic events. It has recently been shown to be important for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However, its function during early embryonic development of pig is not cle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poly(ADP-ribosyl)ation during in vitro development of pig embryos produced by in vitro fertilization(IVF) or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Results showed that, chemical inhibition of PARP by 3-aminobenzamide (3-AB) did not influence the in vitro development of pig embryos up to morula stage (20±3.1 vs. 28.1±1.2%; p>0.05) but significanlty reduced the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5.2±2.1 vs. 20±3.1%; p<0.05) when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s. Furthermore, culture of morula stage embryos in the pressence of 3-AB for 24h significantly reduced the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19.6± 4.6 vs. 41.4±5.3%; p<0.05) and expansion (4.7±3.0 vs. 28.1±6.1; p<0.05). The proportion of large-sized blastocyst (>200 μm) having higher blastocoel volume (15.3×106 μm3)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in treatment group (32.2±7.8%)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group (65.7±9.0%). TUNEL assay revealed that poly(ADP-ribosyl)ation-inhibited blastocyst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ndices of apoptosis than those of non-treated controls (10.88±0.02 vs. 2.71±0.01; p<0.05). These data suggest that Poly(ADP-ribosyl)ation may be important for blastocyst formation in pig embryo.
        5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pholita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as “internal feeders” are important apple pests in Korea. Three species overwinters around and in apple orchards. New young larvae of three species bore into new shoots or fruits and then feed inside apple. When mature larvae escape from fruits they make holes that reduces the commercial value of fruit. Therefore, understanding the phenological distribution of three species is critical to establish the precise management system for reducing three species popul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dult emergence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using pheromone traps and to forecast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each population. This study is second part of consecutive experiment.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on three commercial apple orchards and one experimental orchard of Giran in 2010 and 2011. The experimental process was same in the study of plum. More than 50% of G. molesta male was occurred in spring season (within 500 degree-days), 2010 and 2011. The adult emergence of G. dimorpha and C. sasakii was linear and sigmoidal pattern in each year. The phenology of C. sasakii was explained well by nonlinear functions and the equation 3, 6, 8 and 11 were selected based on AICc and BIC. The selected equations were validated by the data of present year (2011) in each region. The performance of G. molesta and G. dimorpha was analyzed well by bimodal functions. The importance of phenological model is discussed to develop and maintain a more precise system for multiple pest management on apple orchard.
        5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enological distribution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and to estimate the emergence timing of three species in plum orchards. It was known that G. molesta and G. dimorpha are a multi-voltine insect and C. sasakii has one to two generations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geographic location. Three species damage to many economically important fruit tree such as plum, pear, peach and apple. The main emergence time of each species is different depending on host plan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pecially temperature. Therefore, if we have the information of population density and low temperature threshold of a species and air mean temperature of a region in previous year we can predict the phenology of a species in present year. This is one part of consecutive research.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seven plum-growing commercial orchards of Uiseong in 2010 and 2011. The commercial pheromone monitoring traps (GreenAgroTech)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flight phenology of three speices. The record of temperature was received from meteorological center close to monitoring orchards.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day accumulated above the low temperature threshold and cumulative proportion of accumulated moth caught of previous year was used to predict the phenology of three species in present year. The results of G. molesta and G. dimorpha estimated by bimodal functions were better than those analyzed by nonlinear functions. The phenology of C. sasakii was analyzed well by nonlinear function and the equation 3, 6, 8 and 11 were selected based on AICc and BIC. The selected equations were validated in each orchard.
        5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been increasing evidence of the positive effects in informal science programs to promote the youths' positive development. However, relatively a small number of informal science programs target specific student populations such as youth in poverty with little research done about the important program factors. This case study presents an exemplary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Earth Science Education or more specifically, water in urban environments) for youth in poverty in a midwest city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explore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at could lead to positive development for the youth. Through a number of observations of the program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is study employs inductive and interpre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show that the program managers' beliefs about the youths' knowledge and experiences, their relationship building skills, and their cooperative work are very important. A concrete mission for the program and structured institutional support to hire the youth as paid museum staff are also important in assuming their responsibility and building identity as an active social member.
        4,000원
        59.
        201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0.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eCG) is a heavily glycosylated glycoprotein composed of non-covalently linked α- and β-subunits. To study the function and signal transduction of tethered recombinant-eCG (rec-eCG), a single chain eCG molecule was constructed, and the rec-eCG protein was prepared.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5 mutants (Δ1, Δ2, Δ3, Δ4, and Δ5) of rec-eCG using data about known glycoprotein hormones to analyze the role of specific follicle stimulating homone (FSH)-like activity. Three amino acids of certain specific sites were replaced with alanine. The expression vectors were transfected into CHO cells and subjected to G418 selection for 2~3 weeks. The media were collected and the quantity of secreted tethered rec-eCGs was quantified by ELISA. The LH- and FSH-like activities were assayed in terms of cAMP production by rat LH/CG and rat FSH receptors. Then, the metabolic clearance rate analyzed by the injection of rec-eCG (5 IU) into the tail vein was analyzed. The mutant eCGs (Δ1, Δ4, and Δ5) were transcripted, but not translated into proteins. Rec-eCG Δ2 was secreted in much lower amounts than the wild type. Only the rec-eCG Δ3 (β-subunit: Gln94-Ile95-Lys96→Ala94-Ala95-Ala96) was efficiently secreted. Although activity is low, its LH-like activity was similar to that of tethered eCGβα. However, the FSH-like activity of rec-eCGβαΔ3 was completely fla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etabolic clearance rate shoed the persistence of the mutant in the blood until 4 hours after the injection. After then, it almost disappeared at 8 hour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94~96 amino acid sequences in eCG β-subunit appear to be of utmost importance for signal transduction of the FSH receptor.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