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7

        4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식물로는 Gladiolus gandavenesis L. ‘Spic and Span’과 ‘Nova Lux’를 사용하였다. ‘Spic and Span’의 경우 맹아된 지상부 생육의 경우 초장, 엽수, 및 맹아수 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초장, 엽수 총 맹아수는 전체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엽폭은 NH4 +:NO3 − 비율이 50:50일 때 1.38로 유의성이 컸다. ‘Spic and Span’의 경우 전체적으로 NH4 +:NO3 − 비율 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하부 생육을 살펴보면 구고, 구생체중 등에서 비슷한 생육을 보였으 나 NO3 −가 증가할수록 목자수가 2.4개로 유의성 있게 많았다. ‘Nova Lux’의 지상부 생육은 NH4 +:NO3 − 비 율이 50:50에서 가장 좋았다. 초장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성이 없었고, 엽폭은 1.45cm로 가장 컸으며, 총 맹아수는 25개로 많았다. NH4 +가 증가할수록 구직경, 구고, 생체중, 목자수 등의 지하부 생육은 증가하는 경 향이었다. 전체적으로 두 품종 모두 지상부 생육은 NH4 +:NO3 − 비율이 50:50에서 가장 좋았고, 지하부 생 육에서 ‘Spic and Span’은 NO3 −, ‘Nova Lux’는 NH4 +가 많으면 목자가 많이 생산되었다.
        4,000원
        4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주초롱꽃(Campanula punctata 'Rubriflora')의 자가영양배양시 CO2 농도,환기횟수 및 광도가 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500μmol·m-1고농도CO2에서는 광도를 높일수록 초장, 엽수가 증가되었으나, 최대근장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엽록소의 함량은 광도가 높을 때보다는 낮은 경우인 70μmol·m-2s-1에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엽면적은 광도가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CO2 1,500μmol·mol-1 환기횟수 2.8h-l, PPF 220μmol·m-2·s-1에서 가장 큰 차이로 작게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CO2 농도, 환기횟수, PPF가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특히 CO2 1,500μmol·mol-1, 환기횟수 2.8h-1, PPF 220μmol·m-2·s-1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환기횟수의 영향은 전반적으로 적었다. 종합적으로 자주초롱꽃 소식물체의 기내 자가영양배양 차량번식을 위해서는 CO2 1,500μmol·mol-1, PPF 220μmol·m-2·s-1의 조건이 적합하였다.
        4,000원
        47.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GF on meiotic maturation and pronuclear (PN) formation of porcine oocytes. Prepubertal gilt cumulus-oocyte-complexes (COCs) aspirated from 2~6mm follicles of abbatoir ovaries were matured in TCM199 containing 0.1mg/ml cysteine, 0.5㎍/ml FSH and LH, and EGF (0, 5, 10, 20, 40 ng/ml) for 22 hr at 39℃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5% CO2 in air. They were then cultured for an additional 22hr without hormones. In Experiment 1, to examine the nuclear maturation at 44hr of culture, the expanded cumulus cells were removed by vortexing for 1 min in 3 mg/ml hyaluronidase. The oocytes were fixed in acetic acid: methanol (1:3, v/v) at least for 48 hr and stained with 1% orcein solution for 5 min. Nuclear status was classified as germinal vesicle (GV),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prophase-metaphase I (PI-MI), and PII-MII under microscope. In Experiment 2, to investigate PN formation, oocytes were fertilized with Percoll-treated freshly ejaculated sperm (1 x10 5 cells/ml) in mTBM with 0.3% BSA and 2mM caffeine for 5hr, and cultured in NCSU-23 medium with 0.4% BSA. At 6hr of culture, the embryos were fixed in 3.7% formaldehyde for 48hr and stained with 10ug/ml propidium iodide for 30 min. PN status was classified as no or one PN (unfertilized), 2 PN (normal fertilized) and ≥3 PN (polyspermy).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fter arc-sine transformation of the proportional data. The rate of oocytes that had reached to PII-MII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all groups added EGF than that of non-treated group (67%), but it did not differ among the all added groups (86%, 85%, 79% and 81%, in 5, 10, 20 and 40 ng/ml EGF, respectively). No differences on the incidence of 2PN were observed in all treated groups (25%, 30%, 33%, 29% and 29%, in 0, 5, 10, 20 and 40 ng/ml EGF, respectively), however, in non-treated group, polyspermy tended to be increased (66% vs 58%, 54%, 52% and 55%, 0 vs. 5, 10, 20, 40 ng/ml EGF,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F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dditive for enhancing oocyte maturation and reducing the incidence of polyspermy in pig.
        4,000원
        5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CCD-980sk cell line can be affected by Korean Citrus junos and medicinal herbs, we examined the MTT assay when we treated Korean Citrus junos and medicinal herbs in CCD-986sk human fibroblast cell line. The samples t
        4,000원
        5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의 조직배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MS 배지 등의 무기성분은 종속영양에 적합하도록 조성되었다. 그러므로 이들 배지가 혼합영양이나 독립영양 배양에는 부적합 할 수 도 있다. 광혼합영양 미세증식에서 배지에 첨가되는 당의 수준은 낮추고 배양기의 광과 CO2 수준은 올리며, 광합성의 의한 탄소의 획득을 증진시키기 위해 열록소가 있는 절편체를 이용한다. Factorial 실험에서 유기물 (OM, m-3 배지당 각각 0.5g의 thiamine, nicotinic acid 및 pyridoxine과 100g · m-3 myo-inositiol)의 첨가(+)와 생략() 및 세 가지 수준의 당(0, 15 및 30 kg · m-3)이 감자 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단엽단절 절편체를 0.1×10-4m-3의 MS 아가(8 kg · m-3) 배지(증기소독 전 pH 5.80)배지가 담긴 유리 시험관(100mm×25mm)에 치상하여 직경 6mm의 가스투과 필터(5.1 air exchanges ·h-1)가 부착된 투명한 필름으로 봉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체는 27일간 23℃, 50% RH에서 16 h · d-1의 명기 동안에 cool white 형광등으로 130μmol · m · s-1 PPFD의 광과 350-450μmol · mol-1의CO2가 공급되는 배양실에서 배양되었다. 유기물이 공급된 처리(+OM)와 공급되지 않은 처리(-OM)에서 감자 소식물체의 생육은 유사하였으나 배지의 pH는 후자에서 0.2 더 낮았다. 배지에 첨가된 당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건물중, % 건물율 및 경경은 증진된데 반해 신초와 뿌리의 건물중 비율, 엽면적, 건물중당 엽록소 함량 및 배지의 pH는 감소하였다. 유기물과 당 수준간의 상호작용도 신초길이와 배지 pH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광도와 CO2농도를 높인 광혼압영양배양에서 감자 소식물체의 생장에는 배지에 첨가되는 당은 유익하지만 그 이외의 유기물은 첨가하지 않아도 악영향이 없다는 것은 나타낸다.
        4,000원
        57.
        200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 난자를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뒤, 체외 수정란의 배양 시 성장인자와 6탄당의 첨가에 따른 체외 발육율을 검토하였다. 체외수정란의 발육을 위한 기본 배양액인 NCSU-23에 각각 0, 1, 5, 10 및 20ng/ml의 IGF-I과 EGF를 각각 첨가하여 농도의 차이에 따른 발육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5.56mM의 glucose, mannose, galactose 및 fructose에 5ng/ml의 IGF-I 또는 10ng/ml의 EGF 첨가 유, 무에 따른 초기배 발육율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6탄당에 위와 같은 농도의 IGF-I와 ECF 공동 첨가 유, 무에 따른 초기배 발육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돼지 체외 수정란의 체외 발육 시 배양액 내에 서로 다른 농도의 IGF-I과 EGF를 첨가하였을 때 IGF-I은 5ng/ml(12%)에서, EGF는 10ng/m1(10%)의 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배반포기 배의 발육율을 나타냈다. (p<0.05) 또한 각각의 6탄당과 IGF-I 또는 EGF 유, 무에 따른 초기배 발육율을 검토한 결과 IGF-I과 ECF모두 glucose 첨가시 타 첨가구에 비해 초기 발육 단계의 수정란 발육뿐만 아니라 배반포까지의 배발육(10∼11%)이 타 첨가구(3∼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0.05) 한편, 각각의 6탄당이 첨가된 배양액 내에 ICF-I과 EGF 공동첨가 유, 무에 따른 초기배 발육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EGF와 IGF-I 첨가 시 무첨가보다 높은 초기배 발육율을 나타냈으며 특히 초기 분열단계 수정란에서는 발육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성장인자와 6탄당의 첨가는 돼지 수정란의 체외배양 시 초기배 배발육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체외 발육율이 타 가축에 비해 낮은 돼지의 수정란 생산에 있어 체외배양체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0.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가영양배양시 광도,환기횟수 및 CO2농도가 스타티스 ‘Ocean Blue’ 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S 배지에서 광흔합영양해양을 통하여 증식된 스타티스 식물체에서 2~3장의 잎을 가진 줄기 절편체를 채취하여 배양용기당 4개씩 치상하였다. 절편체는 온도 25±1℃. 상대습도 70~ 80%인 배양실에서 cool-white 형광램프로 명기동안 70, 150, 또는 220μmol. m-2 . s-1의 광을 공급하면서 41일 동안 배양하였다. MS 기본배지를 사용하였으며, sucrose와 vitamin은 첨가하지 않았다. 광도가 높아질수록 생체 중,건물중 및 엽면적이 증가하였다. CO2농도를 높여준 경우 초장, 생체중, 건물중 및 엽면적이 증가하였다. 뿌리길이와 엽록소 농도는 광도나 CO2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배양용기 내의 환기횟수를 높이고, 고광도의 CO2를 공급할수록,그리고 PPF를 증가시킬수록 스타티스 소식물체의 자가영양배양에서의 생육이 촉진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