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41.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safety navigation mobile application that converged AtoN inform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When application user uses the smartphone’s GPS sensor to transmit the user’s vessel location data to the data server, the user receives information of which its providing range is considered, such as stored AtoN data, neighboring vessels information, danger area, and weather information in the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is sorted based on the smartphone’s direction and inclination and it will be also delivered via wireless network (5G, LTE, 3G, WiFi). Additionally the application is available to implement other functions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through voice and text alarming service when the user’s vessel is either approaching or entering the danger area, and an expanded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that is available in shadow area linking with data-storing methods; other linkable data such as weather and other neighboring vessels will be applied based on the lasted-saved data perceived from the non-shadow area.
        42.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pay slice (CPS) information of chief executive officers (CEOs) in the service industry.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CPS under the capitalist system can be used as an index to gauge the influence of top man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accordance with the amendment of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in 2013, the pay information of individual registered executives with annual salary of more than 500 million won has been disclosed. The sample of the current study is 232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excluding financial services from 2013 to 2015, when the individual pay-slice information for registration officers was published in the business report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he Capital Market Act. The financial data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extracted from the FnGuide and the TS-2000. With the data, w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PS and accounting information reliability through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first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PS and human resource in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in the service industry is significantly negative only with the accounting department personnel.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CEO can negatively affect the retention of the accounting department in the firm. Second, both the CPS and quality of audit in the service industry are negatively related both to audit fees and to audit time. Nonethel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he auditor and the CPS is insignificant.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CEO can negatively affect audit fees and audit time of external audito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CPS information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Conclusion -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CPS and accounting information for the service industry in terms of human resources in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and audit qualit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to economic decision-making of various external parties for service firms.
        4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veloped the prototype of the system and implemented its main functions, which is the intelligent integr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aWAMISS). The developed system was designed to be able to collect, process and analyze the agricultural water information of spatially dispersed reservoirs in whole country and spatial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ed in various systems of other organizations. The system, IaWAMISS,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reproduced information services in each reservoir and space units, such as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supply analysis and drought prediction, to the people, experts, and policy makers. This study defined the 6 step modules to develop the system, which are to design the components of intelligent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o derive the utilization contents of existing systems, to design the new development elements for IaWAMISS, to design the reservoir information system can be used by managers of city and county, to designate the monitoring reservoirs managed by city and county, and finally to prepare the sharing system between organizations with the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implement the prototype of the system,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for three important functions of the system: spatial integration of reservoirs' information, data link integration between the existing systems, and intelligent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to assist decision support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For the spatial integration with the reservoir water information of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is study get IaWAMISS to receive the real-time reservoir storage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facility installed in the municipal management reservoir. The data link integration connecting databases of the existing systems, was implemented by integrating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IaWAMISS, so that the rainfall forecast data could be derived and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lligent analysis program, this study also showed the results of analysis and prediction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supply amount, estimation of Palmer drought index, analysis of flood risk area in typhoon course region, and analysis of the storage status of reservoirs related to each storm.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and efficiency of an useful system development through the prototyp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aWAMISS. By solving the preliminary 6 step modules present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not only to efficiently manage water by spatial unit, but also to provide the service of information and to enhance the relevant policy and national understanding to the people.
        4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problem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university placement program in the country by deriving the concept of and developing questionnaires for 'service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ERVQUAL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s. In this study reliability, empathy, and assurance are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international university placement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The survey data is based on responses from 280 students who either have completed the international university placement system and currently studying abroad, or are studying the domestic part of the program. Cronbach's Alpha value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 According to the study,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domestic learning process is heavily relied on reliability and empathy; particularly empathy on the curriculum of the international placement program. The study also found that to make students to feel a high sense of achievement, the satisfaction rate is a priority which should be improved. Conclusions -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hypothesis shows that the satisfaction rate of students who are taking the domestic part of the international university placement program should be increased.
        4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해양안전에 대한 높은 관심과 IC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선박에 다양한 디지털 장비들을 도입하는 전자항법체계인 e-Navigation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e-Navigation은 해양안전뿐만 아니라, 해양정보 서비스에서 새로운 ICT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e-Navigation과 관련하여 IHO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범용 수로데이터모델 S-100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전자해도 및 해상정 보의 융합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Shore 기반의 해상정보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Shore 기반 해상정보 서비 스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전자해도와 날씨, 조류, AIS 정보 등의 센서정보, 그리고 육상지도 정보와의 융합 처리 및 웹 기반 서비스가 가능하 다. 또한, 이러한 플랫폼의 웹 서비스는 스마트 폰 또는 웹 패드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간단한 WebApp 또는 App을 이용하여 전자해도 및 다 양한 해상정보 서비스의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끝으로, 제안된 플랫폼은 기존의 S-57 전자해도와 더불어 S-101 표준을 지원할 수 있 으며, 웹 서비스 과정에서의 표준과 관련해서는 ISO 19100 시리즈 및 OGC의 공간정보 웹 서비스 표준을 지원한다.
        46.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은 재난사고 발생 시, 재난정보의 전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용자들이 서로간의 관계망을 통해 실시간·쌍방향으로 소통이 가능해 정보 전달이 쉽고 빠르게 공유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재난사고 발생 시 중요한 재난정보 전달매체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방재학회에서 선정한 ‘2014년 재난사고 10선’을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 재난정보 내용 및 전달체계 분석을 통해 재난정보의 전달 및 공유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 약 600만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트위터를 이용하여, 2014년에 발생한 10건의 재난사고와 관련된 트윗과 리트윗 자료를 분석해 이용자 간의 재난정보 내용 및 연결망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정보 제공 기관과 언론사들에서 생산된 재난정보의 전달과정과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 및 재난정보의 전달체계 분석은 효율적인 재난정보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가는 재난 및 안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민의 생활안전에 대한 관리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재분야의 서비스 정보는 주로 다양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국가 정책의 개발과 국민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에는 부족하며 생활안전분야의 정책개발과 국민서비스는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재 및 생활안전정보 서비스 모델 관련 국내외 현황분석과 유사서비스 및 기능 분석, 관련 시행 법령, 유관기관 DB 분석을 종합하여 기존 서비스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방재 및 생활안전과 관련된 대표적인 서비스 유형을 설정한 후 서비스 모델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활용절차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데이터 정의를 통해 최종 생활안전정보 서비스 활용 모델을 정립하였다.
        4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난 90년대 후반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된 각종 정보화 사업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양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자원 분야에서도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 및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등이 개발되었다. 수자원과 관련된 각종 정보시스템들은 효율적인 수자원의 관리 및 이용을 위해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정보들을 중심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관련 시스템들은 이수, 치수, 환경생태 및 시설물 관리 등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br>현재 운용되고 있는 물 관련 시스템들은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홍수, 가뭄 및 수질오염 사고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각종 정책을 수립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더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수재해 대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IT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다양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구축한 많은 양의 하천정보를 국가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링크드데이터 기술 등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제공 서비스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다양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구축한 하천정보를 데이터 통합, 연계 및 분산된 데이터를 쉽게 서비스 할 수 있으며, 타 시스템들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여 융복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재해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하천정보의 접속, 교환, 저장 등 서비스 지향 아키텍쳐 기반의 하천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49.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년 아이폰 출시와 함께 확산되기 시작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는 이동성·위치기반·실시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정보 전달 매체에서는 불가능한 방식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소셜미디어와 시너지효과를 내면서 이를 재난재해 시에 활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및 소셜미디어의 활용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VGI(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등 최근 GIS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패러다임의 변화와도 그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현황을 살펴보면 소방방재청, 경찰청, 한국도로공사 등의 공공기관들이 교통 상황 및 다양한 재난재해 관련 정보들을 인터넷 웹 사이트나 SNS,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 있지만 정보의 실시간성이 약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적 측면이 무시된 채 다소 일방적인 정보 제공에 국한돼 있어 빠른 대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현재 승용차 사용자들을 위한 실시간 유고정보 서비스는 TPEG 기술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반면에 대중교통 이용객들을 위한 유고정보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제공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대중교통 중에서도 특히 서울시 지하철은 하루 이용 인구가 약 4백만 명에 이르지만 현재 지하철 이용객을 위한 서비스는 최단경로 및 최소환승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실시간 유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의 첫 단계로써 SNS를 활용한 지하철 유고정보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실시간 유고정보 서비스는 실시간성과 효과적인 시각화 작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중에서도 정보의 실시간성과 개방성이 가장 강한 트위터와, 인터넷 뉴스를 통해 지하철 유고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재해 온톨로지를 구축한다. 그리고 향후 연구로 국가주소정보시스템(KAIS)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포인트와 라인으로 구성된 방향성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포인트와 라인을 각각 구별하여 표현하는 작업을 통해 실시간 유고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50.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제교역량의 증가에 따라 해상 교통량이 증가하고 있다. 해상 교통량의 증가는 해상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입출항이 빈번한 연안에서의 사고율이 높은 실정이다. 선박과 육상에 연안에서의 해양안전정보는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는데 필수적이다. AIS AtoN은 국제항로표지기술협회의 기능적 권고안 및 국제전기통신연합의 기술적 표준안에 의해 운영되는 항행안전지원용 장비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안에서의 해양안전정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AIS AtoN의 표지의 안전과 설정관련 메시지에 사용자정의 명세를 확장해 보았다. 표지기본 메시지21, 상태보고 메시지6 그리고 안전관리 메시지12 와 메시지14에 사용자 정의형 포맷을 설계하고 구현했다.
        51.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ural amenity resources consist of natural, cultural and social resources. Some of resources have been surveyed in other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and information system about these resources has been constructed. Integrating with information of existing system or database is helpful to produce useful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to users. This integration of distributed information is based on semantic integration. In this paper, we used ontology for semantic integration and introduced the method of external information integration using ontology. We designed ontology table to represent ontology in database and integrated distributed information using ontology.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 efficiency and the applicability,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and tourist attraction information database were constructed and integrated. Also, the information service efficiency with information integration was evaluated using recall ratio and compared to the information service efficiency without information integration.
        52.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한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국내외 환경재해와 전염병에 대한 공포로 웰빙 문화가 확산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웰빙작물정보에 대한 개념정의를 내리고, 소비자가 식품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등을 알고 섭취할 수 있도록 웰빙작물정보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미국, 유럽 등의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과 조사․연구 현황 등 선진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웰빙작물정보 개념의 정의 및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는 방법으로 추진하였다. 웰빙작물정보란 개인의 질병이 없는 상태유지에 필요한 식품영양, 작물의 기능성, 원예치료 등 작물중심의 기능성 정보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국내 웰빙작물 관련 서비스되고 있는 정보는 전문적인 정보로 인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많고 사용자의 접근이 쉽지 않아서 분산적인 서비스로 사용자가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국외 웰빙작물 관련정보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관련기관과 역할에 관계없이 한 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었고 주요 내용으로는 식품과 영양학분야 최신연구동향, 영양섭취관련 연구방향, 식품소비행동관측과 조사분석 결과, USDA국가영양성분DB, 최근 영양섭취 관련연구 요약정보,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기본정보 등이 있었다. 웰빙작물정보의 소비자 선호형태 조사를 위하여 서울, 경기 및 대전권역에 살고 있는 도시소비자 350명을 대상으로 직접방문조사 및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연령, 학력, 직업 및 소득수준별 정보수요 차이를 검정하였다. 웰빙 작물정보 서비스 선호도에 대한 조사결과 웰빙작물정보 포털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은 연령, 주거형태, 학력, 직업, 소득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건강식품정보수집과 관련하여 정보수집 용이성, 정보 이해도, 제공정보에 대한 신뢰성은 학력, 소득과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웰빙 관심도, 연령, 주거형태에 대하여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원예활동 및 재배지식은 웰빙 관심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연령, 주거형태, 학력, 직업, 소득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웰빙작물정보제공을 위한 인터넷 포털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그렇다 64%, 매우 그렇다 15%로 응답자의 79%가 인터넷포털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4%는 필요하지 않다고 하였다. 연령대별 시스템 개발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는 60대를 제외하고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시스템 개발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웰빙작물정보 개발 및 운영주관기관은 국가기관이 적합하다가 47%로 가장 높았고 민간기관 29%, 법인체 23%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건강과 관련한 영양식품 섭취 등에 대한 정보제공방법으로는 TV등 방송매체를 통한 방법이 적합하다 61%,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22%, 신문 및 잡지 16% 순이었고 정보제공 정도는 상세하게 66%, 기본항목 중심의 간략하게 29% 등으로 상세한 정보제공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작물정보 서비스를 위한 목표시스템은 웰빙작물과 웰빙환경으로 구성하고, 세부항목인 웰빙작물정보는 작물의 기능성, 영양정보 및 My웰빙건강진단에 필요한 항목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웰빙환경정보는 생활환경원예 및 가정원예치료 등으로 구조도를 설계하였다. 웰빙작물정보에는 이용자가 쉽게 검색 할 수 있도록 작물명, 기능명 및 영양 등의 분류에 의해 접근이 가능토록 구성하였으며, 영양정보와 웰빙건강을 연계하여 개인의 영양진단과 분석 및 처방이 가능토록 설계하였다.
        53.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integrated seakeeping performance for seagoing vessels. It has been successful in developing the intended system which has made possible to provide the following functions and capabilities: ⦁ immediate computation of the dynamic motions of a ship against the present and future weather conditions; ⦁ evaluation of the integrated seakeeping performance of a ship on a real time basis and providing the navigators with the seakeeping informations on the spot enabling them to take the most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nd ⦁ supporting the navigators in the selection of a safe sailing route by providing the integrateseakeeping performanc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