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

        41.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폐자원 합성가스를 이용한 고온전이반응용 Ce가 첨가된 Cu/γ-Al2O3 촉매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합성방법에 따른 촉매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활성물질의 담지 순서를 변경하여 Ce/Cu/γ-Al2O3, Ce-Cu/γ-Al2O3, Cu/Ce/γ-Al2O3, Cu/γ-Al2O3 촉매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촉매 중 Ce/Cu/γ-Al2O3 촉매가 가장 높은 활성도 및 안전성을 나타냈다. 제조된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XRD, H2-TPR, XPS, Raman, Photoluminescence 등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CO 전환율에서도 CeO2로 첨가된 모든 Cu/γ-Al2O3 촉매는 Cu/γ-Al2O3보다 높은 CO 전환율을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CeO2의 첨가가 고온전이반응에서 Cu/γ-Al2O3 촉매의 성능을 향상 시킨 것을 나타낸다. 또한, Ce/Cu/γ-Al2O3 촉매의 높은 촉매 활성은 주로 고농도 산소저장능 및 환원된 Cu종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2.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carbon dioxide is captured and chemically converted to high purity calcium carbonate salt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industrial fields. Aqueous indirect inorganic carbonation methods were applied throughout the research and seawater-based industrial wastewater was utilized for metal ion supply. For CO2 capture, representative alkanolamine absorbent solutions in 30 wt% concentration were used, that is, monoethanolamine (MEA), diethanolamine (DEA), and methyldiethanolamine (MDEA). For high purity metal ion separation, calcium ion contained in the seawater-based industrial waster was separated in the form of gypsum followed by the carbonation reaction to form high purity calcium carbonate salt. Consiering the final products and their economic cost, the cycle using MEA will be proper. However, if MDEA can be use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capture capacity per cycle would be great. Also, conceptual continuous cycle which produces calcium carbonate and magnesium carbonate was suggested. This research may help the nations such as European nations or east asian countries like Korea and Japan where no adequate CO2 storages exist and crust activities are in progress, if commercialized.
        43.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5년 체결된 파리협정을 포함하여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6대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대한 민국은 2030년 BAU 대비 37% 저감을 목표치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화산업으로부터 나온 폐해수의 재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업적으로 생성된 해수 샘플을 이용한 무기탄산화를 진행하였다. 해수는 일반적으로 Ca2+, Mg2+, Na+ 등을 포함해 다양한 금속이온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사실상 무한한 자원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 수 있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생선된 탄산칼슘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탄산화를 진행하기 이전에 NaOH를 첨가하여 Mg 이온을 Mg(OH)2의 형태로 분리하였다. 남아있는 상등액은 탄산염 형태로 침전될 수 있는 이온 중 Ca 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O2가 포화된 MEA를 통하여 CO32- 이온을 공급하여 고순도 CaCO3를 얻고자 하였다. 실제로 전환되는 CO2의 양을 산정하기 위하여 MEA의 CO2 로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x-ray diffraction (XRD)와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분석을 통해 생성물의 구성 성분 및 순도를 알아보았다.
        44.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외 간접탄산화 연구는 기술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용제 재사용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용제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킬레이트제인 trisodium citrate, malonic acid disodium salt, adipic acid disodium salt를 이용하여 알칼리 산업부산물인 제지슬러지 소각재(PSA)와 시멘트 킬른 더스트(CKD)로부터 칼슘을 용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탄산화를 통해 고순도 탄산칼슘을 생성하고 용제를 재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각 용제 별로 PSA와 CKD로부터 칼슘을 용출하고 탄산화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고, 용제 재사용을 위한 칼슘용출 및 탄산화반응의 적정조건을 도출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용제에 대해 칼슘용출효율은 CKD가 PSA보다 더 높았으나, 탄산화효율은 두 가지 산업부산물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한 3회의 용제 재사용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칼슘용출효율, 탄산화효율, 탄산칼슘 생성량 및 순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액비 1:50 조건에서 PSA와 CKD로부터 칼슘을 용출하는 용제의 최적농도는 0.1~0.3 M이었으며, 탄산화효율은 70~90 %이었다. 용제를 3회 반복 사용하여 얻은 평균 이산화탄소 저장량은 용제별로 차이가 있었고, trisodium citrate, malonic acid disodium salt, adipic acid disodium salt 용제에 대해 각각 199, 125, 102 kg-CO2/ton-waste이었다. 탄산칼슘 생성량은 세 가지 용제에 대해 각각 452, 284, 232 kg-CaCO3/ton-waste이었다. 수득한 탄산칼슘은 XRD 분석을 통해 calcite임을 확인하였으며, 탄산칼슘의 순도는 최대 99.6 %이었다.
        4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ulb onion (Allium cepa), which belongs to the family Amaryllidaceae, is one of the oldest vegetative crops known to humans. Despite its high economic value, only a few reports are available on the use of molecular markers in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Allium cepa for its improvement. Molecular genetic markers have been widely used as powerful tools for analyzing the plant genome. In particular, Microsatellites or simple sequence repeats (SSRs) markers are tandem repeats of one to six bp in length and have been proven to be the most powerfu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based DNA markers in plant diversity analysis. In this study, the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different Allium cepa lines. The ESTs and gDNA sequences of onion were collected fro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The SSRs with two to five motifs over a length of 12 bp, were identified using SSRIT (Gramene) software. The PCR products of 100 to 350 bp in length containing SSRs, primers was designed using Primer3 with lengths of 20 to 24 bp and a melting temperature of 60℃. The SSR markers with high polymorphism-information content (PIC) levels was useful for collecting progeny with high genetic homogeneity for onion breeding, and to obtain representative marker sets for genetic tests. The SSR Finder program and the developed SSR markers could be a useful resource for genetic diversity and purity testing in onion.
        4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lecular genetic markers have been widely used as powerful tools for analyzing the genome. In particular, SSR markers have practical applications in breeding systems because they can be used in high-throughput analyses for genetic mapping, heritable diversity testing, purity analysis, and marker-assisted selection. Currently, due to technical advances in DNA sequencing, large sequence databases are available for large-scale SSR mining and marker development. Here, we describe an automated method, the SSR Finder program, for SSR discovery in the onion sequence database, and primer design for amplifying the detected SSRs. A total of 1,049 SSR primers were obtained for genetic purity testing, and 100 SSR sets were analyzed in 14 bulb onion breeding lines using clustering analysis. A total of 20 selected markers from screening of all 1,049 SSR primers, were finally applied for genetic purity testing in three breeding lines, NW1, NW9, and NW10. The initial tests showed that 15%, 71%, and 97% of individuals within NW1, NW9, and NW10, respectively, were genetically homogeneous. These markers produced using the SSR Finder will be useful for investigating the genetic purity of onion breeding lines.
        47.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멜론과 참외의 국내 소비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F1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멜론과 참외의 F1 품종의 순도를 검정하기 위해 포장재배 등의 순도검정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시간과 노력이 매우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분자마커를 이용한 순도검정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멜론의 EST 염기정보로부터 30개의 SNP 프라이머 조합을 고안하여 멜론과 참외의 순도 검정을 위한 HRM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멜론 두 품종과 참외 한 품종의 양친 사이에 HR
        4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ltiv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is a major vegetable crop in the world wide and fast-growing species that grows inhabitats of six continents.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hybrid seed purity in the production of hybrid Brassica vegetable seeds to avoid unacceptable contamination with self-inbred (sib) seeds. The use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for evaluating seed purity in F2 -hybrid radish cultivars demonstrated. One hundred eighty seeds from the F1 male and female harvest were subsequently screened for seed purity using 13 primers. The 13 primers result in 17 cultivar-specific bands and 23 variable RAPD bands scored for cultivar. RAPD analysis of hybrid seeds from the harvest revealed 128 seeds tested except underdevelopment and decayed seeds were sibs. Especially, F2 hybrids of radish, OPC13, OPD20 were presented clear hybrid bands. It maintains higher than average level of genetic diversity compared with their correspondent parents. RAPD amplification of DNA extracted from germinated individuals from the female harvest reveal that 10 of 208 seeds tested were self-inbred (4.8%). RAPD analysis of hybrid seeds from the male harvest revealed 7 of the 208 seeds tested were sibs (3.4%). The RAPD may lead to a better insight in to the hybrid seed purity.
        4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위석회석의 품질 개념에서 특히 중요한 결정도 및 조직 관계는 계측상의 어려움 때문에 석회석 평가에서 그 동안 효과적으로 잘 적용될 수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석회석 원광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식으로서 영상분석시스템 하에서 결정의 형상계수 및 경계 빈도수의 측정법을 처음으로 적용하였다. 이 같은 석회석 원광 품질 평가방식을 국내산 소성용 석회석에 적용하여 광석별로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원광의 방해석 함량, 즉 품위와 그 결정 입도가 비슷하더라도 결정 형상계수와 경계빈도수에 의해서 생석회의 품질은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즉, 원광의 결정 형상이 불규칙하고 경계 빈도수가 높을수록 이로부터 합성된 생석회는 소성율, 공극률, 반응성, 소결 정도 및 분화율과 같은 모든 품질 부문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그렇지만 결정 형상계수와 경계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너무 클 경우에는 쉽게 과소성되기 때문에 고품질의 생석회를 제조하는 데에는 가열처리 시간을 최소화하는 공정상의 기술이 요구된다. 석회석 산업에서 이같은 품질 평가 방식은 결정 입도는 물론 수치화할 수 없었던 결정 형상 및 조직적 사항들이 모두 고려되어 기존의 평균 입도 등에 의거한 평가보다 훨씬 합리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50.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satis tinctoria var. yezoensis (Ohwi) Ohwi (Cruciferae) is one of major natural dyeing crops in the world and also have used as a medicinal plant in Korea. We evaluated seed purity in F1-hybrid accessions using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arkers. One hundred sixty seeds from the male and female harvests were subsequently screened for seed purity with ten primers. The 13 accession-specific bands and many variable AFLP bands scored for accessions. Especially, E-AAC/M-CAA and E-AAG/M-CAT were presented clear hybrid bands for F1 hybrids. F1 hybrids maintained higher average level of genetic diversity compared with their correspondent parents. Self-inbred seeds from the female and male harvests were revealed 8.0% and 5.0%, respectively. The AFLP may lead to a better insight in to the hybrid seed purity test in I. tinctoria var. yezoensis.
        5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풍촌층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유형의 고품위 석회석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하소 특성을 규제하는 원광의 응용광물학적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원광의 특징과 동일한 소성 조건 하에서 제조된 생석회의 응용광물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 및 계측하였고 그 결과를 원광의 광물 특성과 연계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석회석의 가열처리 단계에서 생석회로의 전이 과정은 입자의 경계부나 방해석 결정 내의 벽개 및 쌍정면 등과 같은 물성적 취약대에서 선택적으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원암의 모든 조직적 사항이 그대로 잔존된다. 또한 소성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석회 결정들의 결정 입도와 결정형의 발달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풍촌층 고품위 석회석의 소성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된 규제 요인으로서 결정 입도, 벽개 및 쌍정의 발달 정도 및 조직적 사항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원암의 낮은 결정 입도와 치밀한 입간 조직 양상은 모든 소성특성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벽개 및 쌍정면의 발달은 가열 과정 중 균열대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생석회 공정에 있어서 부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생석회 용도로 사용되는 석회석으로는 가급적 낮은 결정 입도와 대리암의 조직을 보이는 광석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5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규질이암의 열처리 및 산 침출이 소듐 실리케이트나 규산 수용액과 같은 실리카 전구물질 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규질이암의 열처리 온도, 산 침출시 염산 농도 및 황산 농도를 변화시키며 전구물질 내에 실리콘 함량을 최대한 높이면서 에너지 및 화학약품의 소모는 최소화하는 조건을 구하였다. 열처리는 600℃, 산 침출은 1.56 M의 염산만 사용하였을 경우 최적이었다. 소듐 실리케이트와 규산 수용액의 실리콘 순도는 각각 최대 99.2%와 99.5%였다.
        53.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Korea, chilli pepper (Capsicum annum L.) is a major vegetable crop. The pepper seed market is about $35 million and the whole sale market including processed products is equivalent to $2 billion, representing the second highest market value among crops, next to rice in Korea. Since the development of elite pepper variety is so competitive, vegetable seed companies usually run two important programs to keep the credibility of seed quality. One program is to deliver F1 hybrid seeds with a high purity test to farmers. The purity control of parents and F1 hybrid to avoid any contamination is conducted by DNA markers because pepper seeds are obtained using MS line. The other program is to identify the F1 variety from other varieties by analyzing the polymorphism so that the company and/or breeder protects the intellectual property from copying by others or from non-intentional contamination. We have developed about 900 EST-SSR sets from pepper and used to both programs. A total of 66 markers were selected to identify 32 F1 varieties and their own parents. Using these markers, the purity control of F1 hybrid rose up to the highest degree. We also found several SSR markers to distinguish F1 variety from other varieties and these markers could be useful to find the uniqueness of F1 cultivar.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