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41.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dox reaction on preparation of high purity α-alumina from selectively ground aluminum dross. Preparation procedure of the α-alumina from the aluminum dross has four steps: i) selective crushing and grinding, ii) leaching process, iii) redox reaction, and iv) precipitation reaction under controlled pH. Aluminum dross supplied from a smelter was ground to separate metallic aluminum. After the separation, the recovered particles were treated with hydrochloric acid(HCl) to leach aluminum as aluminum chloride solution. Then, the aluminum chloride solution was applied to a redox reaction with hydrogen peroxide(H2O2). The pH value of the solution was controlled by addition of ammonia to obtain aluminum hydroxide and to remove other impurities. Then, the obtained aluminum hydroxide was dried at 60˚C and heat-treated at 1300˚C to form α-alumina. Aluminum dross was found to contain a complex mixture of aluminum metal, aluminum oxide, aluminum nitride, and spinel compounds. Regardless of introduction of the redox reaction, both of the sintered products are composed mainly of α-alumina. There were fewer impurities in the solution subject to the redox reaction than there were in the solution that was not subject to the redox reaction. The impurities were precipitated by pH control with ammonia solution, and then removed. We can obtain aluminum hydroxide with high purity through control of pH after the redox reaction. Thus, pH control brings a synthesis of α-alumina with fewer impurities after the redox reaction. Consequently, high purity α-alumina from aluminum dross can be fabricated through the process by redox reaction.
        4,000원
        4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d blood cells (RBCs) have been studied as models for infectious diseases, various symptoms of anemia, hemolysis, and erythrocyte aging. Although do not directly affect RBCs, other diseases may cause RBC physiological alterations that could be advanced for diagnostic aim or to convince better understanding of a certain pathological pattern. In this study, comparative RBC proteomics between healthy and abnormal conditions involve to promote aging related‐biomarker discovery. Peroxiredoxin II (Prdx II; a typical 2‐Cys Prdx) has been originally isolated from erythrocytes, and its structure and peroxidase activity have been adequately studied. Mice absent to Prdx II proteins had heinz bodies in their peripheral blood, and morphologically aged cells were detected in the dense RBC fractions, which contained markedly higher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addition, a labeling experiment with the thiol‐modifying reagent biotinylated iodoacetamide (BIAM) in Prdx II‒/‒ mice revealed that a variety of RBC proteins were highly oxidized. To identify oxidation‐sensitive proteins in Prdx II‒/‒ mice, we performed RBC comparative proteome analysis by nano‐UPLC‐MSE shotgun proteomics with relative protein quantitative analysis. We found oxidation‐sensitive 18 membrane and 41 cytosol proteins from 32 and 85 peptides containing cysteine oxidation, and analyzed comparative expression pattern in healthy RBCs of Prdx II+/+ mice (W1), healthy RBCs of Prdx II‒/‒ mice (K1), and abnormal RBCs of Prdx II‒/‒ mice (K2). These proteins belonged to cellular functions related with RBC lifespan maintain, such as cytoskeleton, stress‐induced proteins, amino acid/nucleic acid metabolic enzymes, signal transduction, and molecular transporters. Furthermore, protein networks among identified oxidation sensitive proteins were analyzed to associate with aging consequence. Consequently, we expected that RBC proteome may provide clues to understand redox‐imbalanced diseases.
        4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 (V-RFB)용 격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폴리설폰(psf)에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을 블록 공중합 시킨 폴리머와 여기에 TPA (tungstophosphoric acid)를 첨가하여 양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막은 1M H2SO4용액을 사용하여 막 저항을 평가하였다. 제작한 Psf-PPSS와 Psf-TPA-PPSS 양이온교환막의 막 저항은 약 0.94Ω·㎠를 나타냈다. 제작한 양이온교환막과 Nafion117을 격막으로 사용하여 V-RFB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4 A의 전류에서 측정한 V-RFB의 충 방전 셀 저항은 막의 종류에 따라 Nafion117 < Psf-TPA-PPSS < Psf-PPSS 의 순서로 값이 낮았다. 막을 5가 바나듐 수용액에 침적하여 침적시간 변화에 따른 V-RFB의 총 방전 셀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내구성은 제작한 Psf-PPSS 막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Nafion117막과 제작한 Psf-TPA-PPSS막이 서로 동등하였다.
        4,000원
        4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 (V-RFB)는 대용량 전력저장 시스템의 하나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지구온난화의 해결을 위한 태양광, 풍력 발전 등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과 함께 이 전력 원들의 부하 평준화 및 전력 공급 원활화 등을 위한 전력 저장 시스템의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V-RFB 에 대한 원리 및 구성, 최근 연구 동향, 경제성, 요소기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4,200원
        4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erilization of strain and algae in sea water was studied to see the possibility to apply the redox reaction of metal alloy to meet the international marine organization(IMO) regulation, which was to regulate deballasting concentration of strain and algae above 99% of sterilization. Two different kinds of brass were heat treated at different temperature and cooled rapidly to conserve the specific character of β brass. Untreated Muntz metal showed the best result of antimicrobial rate in sea water, and 7:3 brass showed similar result to Muntz metal. Heavy metal elution rat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terilization capability.
        4,000원
        47.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vo redox reaction is involved in the processes of oxidative diseases. Thus, direct and non-invasive measurement of in vivo free radical reactions in living animals should be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roles of free radicals in pathophysiological phenomena. Electron spin resonance (ESR) technique has been utilized in analysis of free radicals, which are generated through imbalance of in vivo redox status. In vivo ESR/spin probe technique using nitroxide radicals as spin probes was developed for estimation of in vivo free radical reactions in whole living animals. This technique using a probe may become a powerful tool for use in clarifying mechanisms of disease and in monitoring pharmaceutical therapy. The application of ESR was introduced and discussed in this article.
        4,000원
        4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용 격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폴리설폰(Psf)에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을 블록 공중합 시킨 폴리머를 사용하여 양이온교환막을 제작하여, 막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작한 양이온교환막은 Nafion117보다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TG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고, 1몰 황산용액에서의 막 저항은 3 cc의 CSA를 도입하였을 때 0.96 Ω⋅cm 2로 제일 작은 저항 값을 나타냈다. 제작한 양이온교환막의 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에서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제작한 양이온교환막을 사용한 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의 100% 충전상태에서의 기전력은 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의 기전력 값인 1.4V를 나타냈으며, 각 충전상태에서의 충 방전 셀 저항은 Nafion117을 사용한 전지의 값보다 작은 값을 나타냈다.
        4,000원
        5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yanobacteria Microcystis aeruginosa by the reduction and oxidation reaction of copper and zinc alloy metal fiber filter. Cu/Zn ion is easily makes radicals with molecular hydroperoxide. Especially, hydroperoxide radical shows strong toxicity to the strains. Plasma membrane causes conformational change when hydroperoxide radical binds to plasma membrane. Elution of copper ion from copper and zinc alloy metal fiber is detected in the cyanobacteria solution as 0.5 ppm, and that of zinc ion is 0 ppm respectively. Zinc ion is figured to form a hydroxide in the cyanobacteria solution and precipitated to form a sludge.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 the cyanobacteria solution was proved to be the index of antimicrobial level of Microcystis aeruginosa.
        4,000원
        54.
        200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VRFB) has been studied actively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s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 vehicles, photovoltaic arrays, and excess power generated by electric power plants at night time. CPCS has been shown to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n excellent current collector for VRFB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pecific resistivity 0.31 Ω cm, which were composed of G-1028 80 wt%, PVC 10 wt%, DBP 5 wt% and FS 5 wt%. Energy efficiencies of VRFB with the CPCE and the existing electrode assembly were 84.14 % and 77.24 % respectively, in charge/discharge experiments at constant current of 200 mA, and the CPCE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as the electrode of VRFB.
        4,000원
        55.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복합막의 합성을 위한 기초연구로 상용막에 대한 전기화학적 물성과 레독스-흐름전지의 충방전실험을 통해 셀저항과 막저항을 특정하였다. 셀저항율과 막저항율은 충전할 때보다 방전할 때가 더 높았으며 동일한 막에서는 충전심도가 커질수록 저항율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hydrocarbon type인 Selemion CMV막이 perfluoro type인 nafion 117, 551막보다 저항율이 작음을 알 수 있었으며 2N 염산수용액에서 충전심도가 0%일 때 셀 저항율과 막저항율이 각각 12.864Ωcm2 , 8.751Ωcm2 였다.
        4,000원
        56.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폐자원에너지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유기성 폐자원의 경우 생성되는 메탄가스 및 가연성 가스를 이용한 가스발전이 가장 대표적인 활용 예이다. 그러나 폐자원으로부터 생성되는 가스는 생산량 조절이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스 발전은 계속적으로 가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기사용량이 적은 심야에는 버려지는 가스가 존재한다. Energy Storage System (ESS)은 낭비되는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요구가 있을 때 사용하는 장치로서 폐자원 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없어서는 안될 부분이다. 또한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있어 어떠한 환경오염이나 CO2가 발생되지 않는 청정의 에너지 저가 요구된다. 이러한 ESS 중의 하나로,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Vanadium Redox Flow Batter)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기존의 리튬전지를 이용한 저장보다 에너지 수명이 10배 이상 길고, 환경에 무해한 물질을 사용하는 친환경적이 물질이다. 그러나 VRFB의 경우 낮은 에너지 밀도와 값비싼 분리막등 보완해야할 점들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Nafion 계열의 분리막의 경우 값비싼 가격과 활물질의 Crossover 현상을 막아주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polybenzimidazole로 구성된 분리막을 사용함으로서 분리막의 표면에 positively charged functional groups을 달아주어 Crossover를 막아주어 에너지효율과 밀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었다.
        5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 화산회 기원 토양시료들은 전형적인 안디졸에 해당하는데 낮은 pH, 높은 수분함량, 높은 유기물함량, 식질-미사질 토성을 보여주었다. 결정질 광물 중 현무암 기원의 감람석, 휘석 등의 철고토광물과 자철석 및 적철석 등의 산화철이 주구성광물로 관찰되며 이차광물인 깁사이트가 일부 심토에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밖에 제주도 화산회 토양은 비정질 알로판 광물과 ferrihydrite 등의 결정도가 낮은 광물을 상당량 포함하고 있다. 주성분원소는 비화산회토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SiO2 함량과 높은 A12O3 및 Fe2O3 함량을 보이는데 이는 전형적인 화산회토의 특성을 반영한다. 토양 내 중금속 함량 중에서 Zn, Ni, Co, Cr은 각자 84~198, 56~414, 38~150, 132~1164 mg kg-1의 범위를 보여 일반적인 세계 토양 내 함량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r의 경우 1,000 ppm 이상의 함량을 가지는 토양 시료도 존재하는 등 제주도 화산회 토양은 높은 Cr 함량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제주도 토양의 환원능은 평균 6.53 mg L-1 reduced Cr(VI)로서 내륙의 비화산회토양에 비해 5.1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화산회토양의 경우 토양 환원능은 토양의 이화학적 인자 중 총 탄소함량과 매우 좋은 상관관계(R = 0.90)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총 탄소함량이 일반 토양에 비해 20배 이상 큰 제주도 화산회 토양의 경우 환원능은 탄소함량과는 오히려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R = -0.469). 이러한 결과는 제주도 화산회 토양의 환원능을 제어하는 인자가 탄소함량뿐만 아니라 또 다른 토양 이화학성에 있음을 지시한다. 주성분 원소조성과 환원능의 상관관계분석결과 화산회토 특성을 반영하는 Al과 Fe 원소와 정의 상관관계(R = 0.793, R = 0.626)를 보여주었다. 또한 중금속 원소 중 Ni, Co, Cr 등은 제주도 화산회 토양의 환원능과 정의 상관관계(R = 0.538, R = 0.647, R = 0.468)를 보이고 있다. 산화환원전위에 민감한 Cr 원소의 경우 제주도 화산회토양의 높은 환원능으로 인해 유해하고 이동성이 높은 6가 크롬의 생성 및 이동이 매우 제한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주도 화산회 토양의 환원능을 제어하는 인자는 비정질인 알로판 광물 및 ferrihydrite 등의 화산회토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