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3

        4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 suggérer un échantillon d’ensembles d’outils de test pour évaluer l’évaluation basée sur les performances des tâches dans l’enseignement intégratif de la langue et de la culture françaises. À cette fin, cette étude a analysé les caractéristiques de l’évaluation basée sur la performance des tâches, la compétence communicative de Hymes, Canale, Swain et, Bachman et la compétence culturelle. En outre, cette étude a examiné les compétences de l’apprenant/utilisateur fournies par le Cadre européen commun de référence. Les résultats montrent: 1) les critères d’évaluation: compétence linguistique(connaissance du système linguistique, compétence du discours, compétence sociolinguistique), compétence culturelle(connaissance culturelle, attitude, compétence), compétence d’exécution de la tâche(connaissance procédurale, compétence d’exécution, compétence stratégique), 2) sous-catégorie et construction, et 3) auto-évaluation et évaluation par les pairs.
        5,200원
        4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군에서의 신체적, 정서적 피로도가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업무과부화 인식의 매개효과와 자기규제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업무과부화의 상위요인인 직무요구와 과업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거나 피로도와 과업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군에서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연구 결과, 신체적, 정서적 피로도는 업무과부화 인식의 정(+)적 영향을, 과업성과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업무과부화 인식 역시 과업성과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과부화 인식은 신체적, 정서적 피로도와 과업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규제는 모형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자기규제가 높은 인원들이 부(-)적인 과업성과와 직무자원의 소모를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결과가 되겠다. 본 연구는 신체적, 정서적 피로도가 업무과부화 인식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간의 내재된 매커니즘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5,700원
        43.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ntence-writing task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sentence-writing task can be explained based on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Laufer & Hulstijn, 2001); yet, there has been no consistency i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is hypothesi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the sentence-writing task on vocabulary learning were re-examined in comparison with the gap-filling task.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re have been no studies addressing the effects of autobiographical elaboration (relating the meaning of a certain word to one’s own experience) on memory, the effects of the autobiographical sentence-writing task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imaginary sentence-writing task. Forty high proficiency and 40 low proficiency learners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of the sentence-writing or the gap-filling task.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entence-writing task is more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than the gap-filling task, regardless of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ffects of the autobiographical sentence-writing task and the imaginary sentence-writing task. Based on the result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chapter.
        5,700원
        44.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plored whether task complexity, operationalized by the two types of writing prompts, affects EFL high school students’ narrative writing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lexical complexity, fluency, cohesion, and text quality. 32 intermediate EFL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prompt groups completed a written narrative task based on a series of sixteen pictures. Task complexity was operationalized as a bare versus frame promp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ask complexity had an impact on lexical sophistication measures. The students in the framed prompt group were able to include more sophisticated vocabulary in their narratives than those in the bare prompt group.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Limited Attentional Capacity Model in that the students in the bare prompt group might have prioritized meaning rather than form in order to ease attentional overload. The findings of our study could assist teachers in selecting writing prompts that have the potential to elicit the targeted features of writing performance.
        5,200원
        4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의 지속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만 7세 이상 13세 미만의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8주 동안 진행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와 놀이기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포함된 총 24가지 주제에 맞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의 사전․사후․추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사전․사후․추적조사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고,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사전․사후․추적조사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중재 이후 대상자들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4주후 실시한 추적조사에서 치료의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능력의 증진뿐만 아니라, 또래상호작용이 필요한 학령기 아동들에게 모방과 그룹 안에서의 연습을 제공하고, 일상생활까지 그 효과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다.
        4,800원
        4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nipulating cognitive task complexity on high school English learners’ narrative and persuasive writing. Participants were 156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group was given one of four different types of writing that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genres (narrative vs. persuasive writing) and dimensions of task complexity (resource-directing vs. resource-dispersing). All participants completed both simple and complex writing tasks for their assigned type of writing. Participants’ written products were measured in terms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The results revealed that increased task complexity, along with the resource-directing dimension, somewhat positively affected the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of both narrative and persuasive writing. However, increased task complexity, along with the resource-dispersing dimension, showed differential effects of cognitive complexity on participants’ written products between the genres. It resulted in decreased scores in fluency and accuracy, and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lexity of narrative writing. As for persuasive writing, on the other hand, it lowered the fluency, increased the complexity, and had no impact on the accuracy. The pedagogical suggestions drawn from the results are provid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6,300원
        4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ED 조명의 조도와 과제 난이도가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도는 400 lx와 1,000 lx 조건으로 처치하였으며, 과제 난이도는 4단어 학습(쉬운 과제)과 7단어 학습(어려운 과제)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학습한 과제의 기억률을 종속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참가자는 총 64명이며, 각 조건 당 16명의 참가자가 할당되었다. 연구결과 상대적으로 어두운 400 lx 조건이 68.49%로 1,000 lx 조건의 56.03% 보다 기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쉬운 과제 조건이 67.97%의 기억률을 보여 56.55%의 어려운 과제에 비해 기억률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도와 과제 난이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조건에서 장기기억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재검증하였고, 아울러 장기기억은 요커스-도드슨 법칙을 따르지 않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탐색하였다.
        4,000원
        48.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5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how three task activities with receptive (R) reading, cloze (CZ) and receptive-productive (RP) integration differently lead to L2 idiom recall and retention by Korean EFL adult learners when they are enhanced with bolding, L1 glossing and three repetitions. It further looks into what features of the enhanced input tasks influence L2 idiom gains. The theories of input enhancement, receptive and productive task input are the basis for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overall the three tasks contributed to high score of L2 idiom gains in immediate receptive, productive recall and delayed receptive retention, except delayed productive ret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diom recall and retention by the three tasks. The descriptive analysis showed R group performed better on immediate receptive recall, while CZ group led the highest score of immediate productive recall. In terms of retention gap between immediate and delayed tests, the three tasks yielded high percentage of receptive idiom retention. The CZ task yield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ceptive retention but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productive retention, while the R group retained most memory of productive knowledge. The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effective L2 idiom teaching materials using input enhanced tasks such as bolding, L1 glossing and repetition.
        5,800원
        51.
        201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growing number of task-based learning (TBL) research has employed a processoriented research framework to analyze second language data in L2 classrooms using a task-in-process vs. task-as-workplan dichotomy (e.g., Seedhouse, 2004). Adopting the task-in-process framework, the current study analyzes how students in Korean EFL classrooms interact during information gap task activities. How do sequences of interaction during information gap tasks differ from the task-as-workplan? What are the specific institutional goals that the participants orient to while completing these tasks?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analyzing the interactions that occur during a series of information gap tasks performed by different group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show how information gap tasks create minimized and truncated sequenc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task-as-workplan as well as from how people would interact in ordinary conversation. Rather than promoting more talk by engaging in negotiation of meaning, learners engaged in a series of completion-oriented sequences to find the correct response in the most efficient way possible. The paper ends with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design of tasks in pedagogical settings.
        6,700원
        5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집단 내 갈등연구는 갈등의 유형을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으로 분리하여 집단성과에 미치는 서로 다른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대다수의 선행연구는 관계갈등뿐만 아니라 과업갈등도 집단성과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사이에서 관찰되는 밀접한 정(+)의 상관 관계로 두 갈등 유형간의 전이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집단 내 갈등유형 간의 전이과정을 약화시킬 수 있는 집단 내 전반적 공정성 풍토의 조절역할을 살펴보고, 둘째, 집단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전반적 공정성 풍토가 과업갈등이 집단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하나의 상황 조건인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83개 작업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절회귀분석 결과, 관계갈등과 과업갈등 간의 관계에 전반적 공정성 풍토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전반적 공정성 풍토가 낮을 때, 관계갈등과 과업갈등 사이에 정(+)의 상관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지만, 전반적 공정성 풍토가 높을 때, 두 갈등 유형간의 상관관계는 많이 약화되었다. 또한 과업갈등과 집단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전반적 공정성 풍토의 조절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전반적 공정성 풍토가 낮게 지각 될 때, 과업갈등은 집단성과에 부(-)의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지만, 전반적 공정성 풍토가 높게 지각될 때, 집단성과에 대한 과업갈등의 부(-)의 효과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5,100원
        5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손과 가까운 시각 정보의 처리적 특성이 과제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연구들은 손과 가깝게 제시된 정보에 대한 인지통제가 향상됨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인지통제 향상효과를 손 근접성과 주의의 관계를 통해 규명하고자 두 번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제전환 수행에서 단서와 목표자극의 감각양상에 따라 손 근접성의 효과가 달라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손에 근접한 자극에 대한 전환비용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선행 연구들에서 전환비용의 감소원인으로 지목되었던 특징결합 문제를 제외시켰을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즉, 손 근접성이 전환비용을 감소시켰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손 근접성과 감각양상의 상호작용이 전환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과제전환에서 목표자극은 시각으로 단서는 시각 또는 청각으로 제시하였고, 단서의 준비성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단서-목표자극 간격을 조변하였다. 연구결과 손에 근접한 시각 단서는 과제 준비 시간을 단축시켜 전환비용을 감소시켰으나, 청각 단서의 경우 손에 근접할 때 오히려 과제 준비 시간이 더 오래 걸렸다. 시각 단서의 결과는 손에 근접한 시각 정보에 대한 신속한 주의정향으로 인한 이득으로 설명될 수 있다. 반면에 청각 단서에서 나타난 손실은 청각 단서와 시각 자극 간의 감각 간 전환이 손 근접성의 주의 범위 고정 효과로 인해 방해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손 근접성의 주의효과로 인해 달라지는 전환비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4,900원
        5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자동차와 IT기술의 융합으로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운전자에게 편의 및 오락 기능을 제공하며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운전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조작하는 것은 동시에 시각 리소스를 요구하는 과제로 과제를 전환하며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전 중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조작 상황에서 조작 과제의 난이도와 motor cue가 과제 전환과 운전 주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motor cue의 효과가 조작 과제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motor cue와 조작 과제 난이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되는 숫자가 청크 단위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두 종류의 번호를 사용하였으며, 터치 키의 크기로 난이도 수준을 조절했다.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모의 주행을 하며 스크린에 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받았고, 과제 수행 중 번호 입력시간, 차선 유지능력, 숫자 키 입력 시간 간격과 핸들 움직임을 측정했다. 그 결과, 난이도 수준에 따라 운전 주행 능력과[F(1, 26) = 8.521, p < .001], 번호 입력 시간의 차이가 유의미했고[F(1, 26) = 35.372, p < .0001], 번호 종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Incongruent 번호 입력 시, 청크로 구분된 두 숫자를 입력하는 시간의 간격과 핸들 움직임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반복된 숫자가 청크로 구분되어도 청크를 무시하고 한 번에 입력하였음을 나타낸다. 종합하면, 다중 과제 상황에서 청크 단위는 motor cue에 의해 상쇄되며 과제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데에 motor cue의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4,600원
        56.
        201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ask complexity may affect L2 speaking performance as predicted by the Cognition Hypothesis (Robinson, 2011), and whether the effect of task complexity may interact with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A total of twenty Korean advanced-level EFL learners performed two separate picture description tasks, which were different in task complexity along [+/- here and now] dimension. Their working memory was measured by an L1 version of a reading span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re-and-Now task (i.e., a simple task) and There-and-Then task (i.e., a complex task) in terms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of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rejecting the prediction of the Cognition Hypothesis. Yet, it found that working memory correlated with accuracy in L2 performance on the complex task, but not on the simple task. This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individual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is observable only when a task demands a high control of attentional resources. Conversely, when a task is simple,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do not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L2 speaking performance.
        5,500원
        5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the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hildren Down syndrome. ABA single case research design was applied to this study. Study subjec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task oriented training by wearing weighted vest 12 times in total at the rate of 2 times a week and for 40 minutes each during the intervention, and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measured 3 times in total at the baseline, intervention line and the 2nd baseline stag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s in accordance with the baseline, intervention line, the 2nd baseline stages (p<.05). This study suggests that task-oriented training by wearing weighted vest improve the total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s in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4,300원
        58.
        201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fluence of task complexity on second language (L2) writing performance has been researched near-exclusively in relation to the linguistic complexity of the learners’ written products, while only limit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online writing processes. In order to fill this gap,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task demands on writing processes as reflected in keystrokes. Forty-four L1 Korean speak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simple or complex condition, and asked to write an argumentative essay. For the simple condition, content support was provided, whereas no such additional information was provided for the complex condition. During the writing task, participants’ entire keystroke loggings were recorded, and analyzed in terms of fluency, pausing, and revision behaviors. The lexical and syntactic complexity of the written products was also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task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eater task demand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pauses and revisions, having negative influence on fluency. Also, lexical rarity and phrasal complexity decreased under the complex condit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fuller understanding of the task-based approach to L2 writing.
        5,800원
        59.
        201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EFL learners’ attentional allocation changes during task repetition with or without self-reflection and how this change affects their task performance. A total of 3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a task repetition only group, a task repetition with self-reflection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Each group repeated the same picture-based storytelling task according to its group condition and then performed a new task. Participants’ task performances were analyzed in terms of fluency, complexity, and accuracy and their retrospective interviews were categorized in order to explore their attentional allocation during task planning and performanc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earners placed most attention to conveying the message while planning and performing their first task. However, when repeating the same task, the learners paid more attention to structures and forms leading to improvement in complexity and accuracy. These learners were also more likely to employ strategies they had learned previously when doing a new task, which was helpful. Self-reflection raised learners’ awareness on the target form and positively influenced accuracy.
        6,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