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41.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개발에 의하여 해양으로 유입되는 부유토사는 해양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를 이용하여 부유토사 농도 변화에 따른 폐사율 및 글리코겐 함량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0~2,000 mg/L의 부유토사 농도구에서 96시간 동안 노출을 행한 결과 전복의 폐사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연체부의 글리코겐 함량에 있어서는 1,500 mg/L 이상의 농도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부유토사가 전복의 폐사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부유토사에 의하여 건강상 장해를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유토사의 영향을 고려하여 양식장으로의 토사유입을 방지 할 수 있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4,000원
        4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정 선량에서 감마선은 조직의 성장을 자극하거나 호르메틱 효과를 나타낸다. 참전복에 다른 양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성장과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관찰하였다. 각장의 성장은 평균 3.45~0.4cm 참전복에게 0~20Gy방사선을 조사한 후 48주 동안 관찰하였다 가장 높은 성장은 4 Gy 조사군에서 관찰되었고, 20 Gy 조사군에서 가장 낮은 성장이 관찰되었다.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전복내의
        4,000원
        44.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haracterize the female or male transcriptome of the Pacific abalone and further increase genomic resources, we sequenced the mRNA of full-length complementary DNA (cDNA) libraries derived from pooled tissues of female and male Haliotis discus hannai by employing the Iso-Seq protocol of the PacBio RSII platform. We successfully assembled whole full-length cDNA sequences and constructed a transcriptome database that included isoform information. After clustering, a total of 15,110 and 12,145 genes that coded for proteins were identified in female and male abalones, respectively. A total of 13,057 putative orthologs were retained from each transcriptome in abalones. Overall Gene Ontology terms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pathways analyzed in each database showed a similar composition between sexes. In addition, a total of 519 and 391 isoforms were genome-widely identified with at least two isoforms from female and male transcriptome databases. We found that the number of isoforms and their alternatively spliced patterns are variable and sex-dependent. This information represents the first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ex-preferential genomic resources of the Pacific abalone. The availability of whole female and male transcriptome database and their isoform information will be useful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molecular responses and also for the analysis of population dynamics in the Pacific abalone.
        45.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is a key neuropeptide regulating reproduction in humans and other vertebrates. Here, we evaluated the reproductive control system mediated by GnRH in the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 cloned a prepro-GnRH cDNA (Hdh-GnRH) from the pleural-pedal ganglion (PPG) in H. discus hannai, and analyzed its spatiotemporal gene expression pattern. The open reading frame of Hdh-GnRH encodes a protein of 101 amino acids, consisting of a signal peptide, a GnRH dodecapeptide, a cleavage site, and a GnRH-associated peptide. This structure and sequence are highly similar to GnRH-like peptides reported for mollusks and other invertebrates.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demonstrated that Hdh-GnRH mRNA was more strongly expressed in the ganglions (PPG and cerebral ganglion [CG]) than in other tissues (gonads, gills, intestine, hemocytes, muscle, and mantle) in both sexes. In females, the expression levels of Hdh-GnRH mRNA in the PPG and branchial ganglion (BG)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ripe and partial spent stages than at the early and late active stages. In males, Hdh-GnRH mRNA levels in the B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artial spent stage. Unexpectedly, Hdh-GnRH levels in the C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amined stages in both sex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dh-GnRH mRNA expression profiles in the BG and possibly the PPG are tightly correlated with abalone reproductive activities.
        46.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복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복에 식물류를 혼합한 전복 복합물의 in vitro 항산화능을 측정하였으며, 정상군, 대조군, 전복 복합물의 성인 1일 1회분(APM-1) 급이군(EAPM-1) 및 3회분(APM-2) 급이군(EAPM-2)으로 구분하여 4주간 실험사육하였다. 전복 복합물의in vitro 항산화능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APM-2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중 총 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운동과 전복 복합물을 병행급이한 EAPM-2군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LDH 활성 및 BUN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전복 복합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AST 활성은 전복 복합물 급이 시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으며, ALT 및 ALP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 및 간 조직에서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전복 복합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군에 비해 전복 복합물의 급이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전복 복합물은 항산화능 및 페놀 화합물에 의존하여 트레드밀 운동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해소 및 피로 회복 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7.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복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과정 중 이 화학적 변화와 제조된 젓갈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복내장의 영양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미네랄이 풍부하여 젓갈발효에 우수한 성분특성을 갖고 있었다. 젓갈 발효중 pH는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도가 pH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발효중 염농도에 따라 현저한 영향을 받았으며 고염발효의 경우 저염발효에 비하여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발효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나 염농도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발효과정중 protease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고염에서 활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발효 30 일경 최고 활성을 보였다. 전복내장과 발효 전복내장젓갈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젓갈 중 7종의 아미노산이 내장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26 종의 아미노산이 높게 나타났다. 전복내장 젓갈의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62.75 mg/g 으로 전복내장 30.37 mg/g에 비하여 약 2배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과 종합기호도에서 우수하였으며 상품화를 위해서는 맛과 향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복내장젓갈에 대한 최초의 연구논문으로 향 후 타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8.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study o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with mtDNA, it is essential to measure genetic diversity at each mtDNA regions. Also, to evaluate the variation according to the each region should follow as well as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delved into the variations and dendrogram among samples of seven mtDNA regions (NDⅡ, NDⅤ, NDⅣ, NDⅣL, NDⅥ, NDⅠ, 12SrRNA) from wild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collected in Yeosu, Korea. The region with the highest genetic variation was NDⅣ region (Haplotype diversity = 1.0000, Nucleotide diversity = 0.010823) with two to five times higher variation than the others. Furthermore, the study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s of samples showed that similar aspects of dendrogram in NDⅡ and NDⅠ(divergence of 90% and 87%), which forms a group with hd4, 7, 8 and 10 at bootstrap support, based on 1000 replications. Also, pair-wise FST between clusters within the regions showed high values; 0.4061 (P=0.0000), 0.4805 (P=0.0000) respectively. Therefore we can infer that it is the most efficient and accurate way to analyze the region of NDⅣ with the highest variation in addition to the regions of NDⅡ and NDⅠ, which formed clusters with high bootstrap value, for study o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in this species.
        4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결빙억제제(CPA)의 종류, 농도 및 침지시간이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발생배의 생존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세포, 담륜자 및 피면자를 dimethyl sulfoxide,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농도별로 10분, 20분 및 30분간 침지하였다. CPA 침지 후 각 발생배의 발생진행률은 각 CPA 농도가 낮을수록, CPA 침지시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또한, 피면자에서 비틀림전까지의
        50.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의 일반성분을 비롯한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을 비교 분석하여 전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자연산 말전복과 양식산 참전복을 육과 내장으로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육의 경우 자연산 말전복이 양식산 참전복에 비해 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내장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조단백질 함량은 자연산 말전복에 비해 양식산 참전복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조지질 함량은 자연산말전복과 양식산 참
        51.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복의 생육 단계, 즉 1, 2, 3 및 4년생의 육과 내장의 이화학적 성분분석 결과를 비교 하였다. 육의 조단백질은 4년생이 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조지방은 4년생이 로 가장 많았으며, 회분은 1년생이 로 2년생의 와는 유의적인 차이로 가장 많은 함량 이었다. 그리고 3, 4년생 전복의 탄수화물 함량은 1, 2년생과는 유의적인 차이로 다소 높은 함량 이었다. 육과 내장을 비교하면 육이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이 많고, 내장이 조지방, 회분
        52.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전복과 3가지 건조방법, 음건법, 냉풍건조법 및 진공동결건조법으로 건조한 전복의 육과 내장에 대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생전복 육은 수분이 , 조단백질 및 탄수화물 이었다. 건조 전복 육의 경우 수분은 냉풍건조가 로 가장 많았으며, 진공동결건조 한 것이 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다. 생전복 내장은 육과 비교하여 조단백질은 적었지만 다른 성분은 많았다. 생전복은 구성아미노산 총함량이 이고, glutamic acid가 로 가장
        53.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amount of food consumption and the change of total weight of abalone under a vibration with noise that can be occurred due to piling work.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aquarium in Yosu National University. In normal situation the juvenile stage shell`s(total length is 1~1.5cm) amount of food consumption was 0.81g, the middle stage shell(total length is 3~3.5cm) was 13.61g, and the adult stage shell (Total length is 7~7.5cm) was 43.19g per 5 organisms in 24 hour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observed low numerical value compared normal groups. The abalones' food consumption and total weight in both groups, the intermittent and continuance impact with noise and vibration, was reduced during this experiment. The abalones' food consumption and total weight in the experimental groups without vibration were recorded slightly high numerical value than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noise and vibration. Based on this experimental data we could conjecture the noise and vibration are harmful factors to bring up a physiological stress to abalones. Especially, the vibration impact by piling works could produce a considerably unfavorable effect to the abalones than noise impact.
        54.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present study, attempts were made to preserv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sperm in liquid form at low temperature,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diluents in short-term storage on sperm, and cryopreservation procedures were optimized for the cryoprotectants as well as freezing rates, in terms of the motility and survival rate, an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sperm after short-term storage and cryopreservation were observed. The abalone sperm reached maximum motility until about 4min after activation. The motility was constant for about 16min, after which it dropped gradually, and about 50min later all motility ceased. Threshold activation of sperm was found in 40% artificial seawater (ASW), and motilit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SW increased. In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without calcium (Ca-Free HBSS, 300 and 400 mOsmol/kg) and 10%, 20%, and 30% ASW the sperm was immotile, and motility once again restored incompletely only in HBSS of 300 and 400 mOsmol/kg, 20% and 30% ASW after 100% ASW was added. Sperm motility was extended following 20 days of cold storage only in 70% and 100% ASW. A high motility index of 3.5-4.5 was observed for the first 8 days in 70% and 80% ASW. In other diluents sperm motility was constant less than 10 days, and the motility index was obviously lower than that of sperm in 70% and 100% ASW. After 20 days of cold storage survival rates of 10.2%-20.7% were obtained in ASW and 300 mOsmol/kg HBSS, and that in 400 HBSS (65.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The constant period of sperm motility stored in 70% ASW was longer obviously than that in 100% ASW after 6 days of storage, and the time to maximum motility of sperm stored in 70% increased gradually, while the difference in which of sperm in 100% ASW was not significant. The sperm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all died except that sperm using 15% glycerol as cryoprotectant restored 10.4% of motility. The highest motility index (3.4) was obtained with 5% glycerol and freezing procedure: 50℃/min from to .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