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

        4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반위에 놓인 콘크리트 슬래브가 수직 하중을 받을 때 지반의 전단저항과 슬래브 하부와 지반과의 마찰 등에 의해 생기는 슬래브 하부의 수평저항을 고려하여 지반위에 놓인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슬래브 하부의 수평 저항을 고려하기 위한 해석 공식을 유도하였고 퓨리에변환을 이용한 변환영역에서 이러한 공식의 해를 구하였다. 또한 판요소와 쉘요소를 이용한 유한요소법에 의한 모델을 개발하여 수치 해석 결과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해석 공식과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한 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매우 비슷한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콘크리트 슬래브의 응력 분포에 슬래브 하부의 수평저항이 미치는 민감성을 여러 가지의 다른 슬래브의 두께, 탄성계수, 그리고 지반의 수직탄성계수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에서 슬래브 하부의 수평 저항은 슬래브의 응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4,000원
        4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충격 및 폭발하중에 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괴 및 구조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콘크리트 재료모델인 최신 Microplane model을 개발하고, 콘크리트의 분쇄효과를 도입한 재료모델을 기존 상용 hydrocode에 탑재한 정밀 해석기법을 개발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폭발해석을 수행하고, 그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4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충격 및 폭발하중에 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괴 및 구조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콘크리트 재료모델인 최신 Microplane model을 개발하고, 콘크리트의 분쇄효과를 도입한 재료모델을 기존 상용 hydrocode에 탑재한 정밀 해석기법을 개발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충돌해석을 수행하고, 그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45.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스팔트 콘크리트(AC) 궤도는 열차 하중에 의한 궤도 하부노반의 발생응력을 최소화하고, 적외선에 민감한 AC의 노출면적을 감소시켜 온도 영향에 따른 AC 도상의 소성변형을 줄일 수 있는 슬래브 패널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형상 설계 및 실내성능시험을 통해 AC 궤도용 슬래브 패널을 개발하였으며, KRL-2012 표준열차하중 모델 및 KR-C코드에 의한 다양한 정적 하중조합에 따른 슬래브 패널에 작용하는 휨 인장응력 및 설계모멘트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AC 궤도용 슬래브 패널의 설계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EN 13230-2에 의거 슬래브 패널 주요 위치별로 정적 휨 강도 시험, 동적 휨 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성능 시험 결과, AC 궤도용 슬래브 패널은 균열 하중 및 균열 확대 여부 등 유럽 표준에서 요구되는 성능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4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non-destructive methods were applied to detect cavities behind face-slab of concrete-faced rockfill dam (CFRD).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the field IE, MASW, MIRA shear wave tomography and GPR findings. IR techniques also reviewed as an additional method of exploration to reinforce the proposed methods of exploration. Among previous methods, IE exploration was concluded most appropriate as an efficient way to detect cavity of the CFRD. Nevertheless, additional reinforcement investigation is required because the result of a single exploration is difficult to reduce the uncertainty.
        4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thickness of concrete slabs using the impact echo method based on the stress waves, which is one of the nondestructive test method, to evaluate the safety and construction conditions of concrete slabs. If the correlation and reliability of the impact echo method and the slab thickness are secure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quality control of the concrete slab is possible in existing structures and structures under construction.
        4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ncrete slab with insulation and non-insulated formwork was used to monitor and control its strength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equivalent age metho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tructures were monitored without any problems, which revealed a good management tool.
        4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amined the strength of wall concrete using insulated molds and non-insulated forms by monitoring the strength of the structure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by maturity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tructures are monitored in real time, along with effective strength control.
        5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about design optimiz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composite PC slabs using improved horizontal shear connectors. As a result of the tests, the improved shear connectors show structural performance even when they are placed only in the required section.
        51.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의 LB-DECK는 레티스바와 현장에서 배근되는 철근과의 간섭이 시공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HB-DECK는 레티스바의 형태를 단순화하고, 방향을 주철근 방향에서 배력근 방향으로 전환하였으며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면에 리브를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B-DECK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로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로교설계기준(2015)에 의한 구조검증과 HB-DECK와 현장타설 콘크리트와의 합성거동 분석을 위해 정적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IDAS FEA를 이용하여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HB-DECK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완전한 합성거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로교설계기준(2015)에서 요구하는 구조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about the optimization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horizontal shear connectors for composite PC slabs. As a result of test, the improved horizontal shear connector shows a structural performance that can displace the lattice horizontal shear connector.
        53.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거푸집 작업과 철근 배근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의 단순화를 통한 공기단축 합성 슬래브 시스템의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활용하여 거푸집 및 인장철근의 배근을 대체하고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온도철근의 역할을 대 체하는 단순슬래브 시스템의 장기거동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활용하는 기존 합성슬래브 공법은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제어를 위해 용접 철망을 배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균열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하중 조건으로 제작 된 연속 두 경간을 갖는 강섬유보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장기적인 균열 및 처짐 거동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체의 비 내력부에서는 장기균열의 개수 및 폭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균열 제어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처짐량도 강섬유보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부모 멘트가 작용되는 슬래브 연속단부에서는 사용하중 단계에서 균열폭을 제어하고 하중 제거 시 처짐을 회복하기 위한 디테일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5.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Concrete-Faced Rock-Filled Dam)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개선에 관한 것이다. 댐은 영구 구조물이 며 그 중요성을 감안할 때 충분한 내구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플라이애시와 PVA 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차수벽 콘크리트의 내 구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플라이애시와 PVA 섬유 혼입율에 따른 내구성능 향상 검증을 위하여 기본물성 (강도, 소성수축, 자기수축)을 포함한 내구성능 검증 실험(염소이온 침투, 마모 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플라이애시 15%와 PVA 섬유 0.1%를 혼 입하였을 때 내구성능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된 차수벽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을 통해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의 안전성 및 내 구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cases utilizing the composite slab with a deck-plate for the simplicity of construction process and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by eliminating the formwork and reinforcement placing works. General method of an existing deck-plate slab places welded wire fabric(w.w.f) for the crack control by drying shrinkage, however it was pointed out as its potential possibility for a number of cracks. In this study, long-term cracking behavior of deck-plate slab with the steel fiber was evaluated on the continuous two-span slab specimens that was designed on the general building loading condition.
        5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fresh concrete is exposed to extremely low temperature, the free water in the concrete transforms into ice, which causes de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For estimating the frost damage of the conrete structure, we use ultrasonic velocity method and estimate the compressive strength.
        58.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량콘크리트와 GFRP 보강근을 휨보강근으로 사용하여 제작되는 GFRP 보강근 경량콘크리트 슬래브를 교량 슬래브 등에 활용해보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와 GFRP 보강근 경량콘크리트 슬래브의 휨 거동 차이점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일련의 슬래브 실험체들을 제작하고 3점 휨 실험 및 수치해석을 행하였다. 실험 결과, GFRP 보강근 경량콘크리트 슬래브 실험체는 GFRP 보강근의 과다보강으로 인하여 실험체 하부에 발생된 초기균열이 하중 재하면의 콘크리트 압축부까지 연결되면서 전단파괴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된 슬래브 실험체에 비하여 무게는 72%이었으며 휨 실험에서의 파괴하중은 58%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idas FEA를 이용하여 행한 수치해석 과정은 실험에서 나타난 전단파괴 하중까지 잘 모사하였다. 그러나 GFRP 보강근의 인장강도 대신 탄성계수가 입력값으로 요구됨에 따라 가력되는 하중과 처짐은 실험에서 나타난 전단파괴 이후에도 계속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s in technology, the use of complex composite section, such as composite truss girder is increasing. These sections, the tensile stress will be generated internal and external constraints caused by other materials. Thus, the effects of the panel point on the concrete slab was studie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60.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preliminary research has been attempted by design and strength analysis on a series of precast ultra high-strength concrete slab systems in order to evaluate. To compare with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slabs, current slab systems can improve serviceability and ultimate load capacities, crack control, and durability, so as to apply in long span, lightweight, and slender building slab system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