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suggested by Kawashima (2006), the most abundant Tetranychidae was Tetranychus sp. as a pest in persimmon orchards. The observatory orchards were selected 16 in total, 2 from Gurye, 2 from Gwangyang, and 2 from Suncheon in Jeonnam Province and 3 from Jinju, 4 from Sacheon, and 3 from Sancheong in Gyeongnam Province. Number of mites in 100 persimmon leaves were observed from each orchards nearly every ten days. Careful rearing of the mites sample collected from the four observaory persimmon fields at which the mite had occurred the most seriously among 16 fields and results from taxanomical identification process indicated that the species was identified Tetranychus urticae. Maximum number of T. urticae reached to 436 on 27 June at Jeongdong, Sacheon, 108 on 1 August at Sinann, Sancheong, 406 on 26 June Okgok, Gwangyang, and 509 on 15 June Muncheok, Gurye. When the number reached to more than 400 mites, the persimmon leaves changed from clear yellow dots, to pale yellow, and to grey in the backsid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trol T. urticae and to select highly active miticide in persimmon orchards in Jinju and Sacheon. Spiromesifen 20SC and acequinosyl 15 SC were effective.
        42.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dnavirus is a mutualistic DNA virus found in some braconid and ichneumonid wasps. Its genome is integrated into host chromosome as a provirus. Its replication occurs at ovarian calyx epithelium during host pupal stage to form episomal viral particles. The viral particles are delivered into hemocoel of the parasitized insect along with eggs during wasp oviposition. Several polydnaviral genomes, which are isolated from the episomal virus particles, have been sequenced and exhibit some gene families with speculative physiological functions. This review presents the vir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its parasitic physiology. For developing new insect pest control tactics, it also discusses several application strategies exploiting the viral genome to manipulate insect physiology.
        5,400원
        50.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합적 유해생물 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라는 용어가 최초로 제기된 것은 30년 전의 일이었다. 물론 그 기원은 방제에 있어서 생태학적 지식이 기초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기 시작한 19세기 후반이었다. 그 후 종합적 유해생물관리의 개념은 해충 뿐 만 아니라 식물병이나 잡초 등 유해 생물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며 그 철학은 식물보호학의 기본으로 확고한 자리를 잡게 되었다. IPM의 개념은 현재 널리 인식되어 있으나 그 개념의 내용이 다면적이기 때문에 연구자나 기술자들 간에도 상당한 혼란이나 오해가 있어 왔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이론상의 혼란을 정리하고 IPM의 이념과 기술개발 간에 존재하는 괴리를 해소하려 노력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념 발달의 역사적 배경과 개념의 기본이 되고 있는 EIL의 개념을 설명하여 기본개념의 이해를 돕고 관리 수단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적용에 필수적인 해충 개체군 생태학과 관련 표본조사법과 밀도변동동태를 논하여 이론발전을 위한 중요한 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한편 IPM의 이론이나 실험적 연구가 아무리 발전하여도 IPM은 과학이기 이전에 기술이기 때문에 그것을 사용하는 현장의 조건에 맞는 것이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자인 농민에게 신속히 전달되어야 하며 현재와 같은 다양화된 농업생산 체제에서는 농민각자의 자발적 참여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우리나라 병해충 발생예찰 체제와의 관계에 대하여 단견을 피력하였다.
        5,200원
        51.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계통과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함양 계통의 병원성을 실내와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곤충병 원성 선충에 의한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선충의 종, 농도, 온도 및 긴수염버섯파리의 발육단 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 carpocapsae가 H. bacteriophora보다, 긴수염버섯파리 2령충보다는 3령충과 4령충에서 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온도에 따른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보다는 에서 높았다. 반수치사농도가 가장 낮았던 값은 에서 S. carpocapsae의 긴수염버섯파리 2령 충에서 20.0마리, 3령충에서 27.5마리였다. S. carpocapsae에 의한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알과 1령충을 제외한 전 발육단계에서 병원성이 높았으며, 가장 치사율이 높았던 것은 암컷 성충으로 2에서 74.0%, 에서 80.0%였다. S. carpocapsae는 긴수염버섯파리 암컷의 산란수를 감소시 켰고, 긴수염버섯파리의 성충에 의하여 감염이 된 후 전파가 되었다. 포장실험에서 S. carpocapsae를 당 마리로 처리한 14일째 유충감소율은 42.2%와 81.6%였으며 ,버섯재배사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14일까지 지속되고 있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은 느타리버섯의 생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000원
        53.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ect growth regulator, juvenile hormone, antihormone, pheromone, repellent, chemical ecology
        4,000원
        54.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비량의 증시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지만 어느 일정수준 이상 과용하던 병충해발생을 유발하여 수량의 감소를 초래하므로 시비량을 현행수준 보다 올리는 반면 병충해 방제를 강화하여 병충해피해를 줄이고 최대한의 증수를 가져 올 수 있는 적정시비수준과 병충해 방제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시침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발병율은 다 같이 시비량과 수준에서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인산과 가리를 과용하면 삼요소 표준구보다 발병이 훨씬 많았다. (2) 병충해방제를 실시하지 않을 때는 시비량을 질소기준 8-8.5kg/10a 시용하였을 때 347-378kg/10a의 최고현미수량을 얻었는데 비하여 병충해방제를 실시하면 질소기준 18.5-19kg/10a수준에서 453-462kg/10a의 최고수량을 나타내었고 병충해방제 실시여부에 따른 수량의 차이는 평균 100kg/10a을 상회하였다. (3) 질소비료만 증시한 구와 삼요소비료를 동시에 증시한 구 사이의 수량에 미치는 영 향은 유의 차가 없었다. (4) 현미수량지수로 환산한 병충해탕제효과는 최고 에서 최저 까지 나타났으며 평균방제효과는 였다.
        4,000원
        55.
        202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ompanion planting to improve vegetable productivity on extensive green roofs through urban agriculture with limited substrate depth. From May to July 2021, the study conducted on the rooftop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rigold (Tagetes patula) planting ratio on the growth and pest control of cabbage (Brassica campestris). The experiment plot measured 1 m in width × 1 m in length × 0.25 m in height and 0.2 m in substrate depth. Fifteen plots were planted in varying proportions of cabbage and marigold for three repetitions per treatment: cabbage control (CC), 2:1(C2M1), 1:1(C1M1), 1:2(C1M2), and marigold control (MC). We found that companion planting marigolds with cabbage significantly increased cabbage growth and reduced pest infest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C1M1, when cabbage and marigold have the same proportion, is an efficient companion planting ratio. Companion planting, in which non-crop vegetation manages pests and increases crop productivity, improves natural pest control and preserves biodiversity on rooftop urban agriculture.
        56.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cultivation area of Jujube in Korea but also the number of pest species has increased. The farmers far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re in great difficulty because there are no effective control devi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rol effect of the insect screen net on three pest species (Apolygus spinolae, Dasineura sp. and Carposina sasakii) in Jujube orchard when the pests were blocked by insect screen net. For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the damage rates by A. spinolae were 9.06, 13.95% in 50 mesh, 4.75, 10.17% in 25 mesh, 5.68, 11.84% in 18mesh mesh of insect screen net and 21.6, 36.34% in untreated insect screen net, respectively. The damage rates by Dasineura sp. were 0.54, 0.13% in 50 mesh, 0.93, 2.84% in 25 mesh, 1.05, 13.45% in 18 mesh mesh of insect screen net and 11.1, 26.65% in untreated insect screen net. Carposina sasakii were completely blocked in all the treatments. Damages on Jujube were not observed by insect screen net. Therefore, insect screen net is effective on insect pest control for Jujube.
        5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lications of pest management system for agrarian improvement institute. We analyz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pest management by listening to opinion of farmers and researchers includi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it’s affliated organization. In result, They evaluated that the agriculture development institutes very well progressed pest management researches in principle. However, some chronic bottleneck problems still existed such as pesticides resistant pests, lack of effective control methods. For designing proper direction, these problems should be considerated preferently.
        60.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택사 2모작 재배시 몇가지 진딧물 살충제 처리가 살충효과와 택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진딧물 방제가는 약제 살포후 5일 조사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Methomyl-Lf, 24.1%(메소밀 액제 )·, Imidacloprid-Wp, 10%(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코니도]·, Carbosulfan-Wp, 20%(카보설 수화제)[포수]·, Methomyl-Wp, 45%(메소밀 수화제)[란네이트] 처리에서 97.5%, 98.9%, 98.4%, 97.0%로 각각 높았으며 약제 살포후 10일 조사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Methomyl-Lf, 24.1%·Imidacloprid-Wp, 10%·Carbosulfan-Wp, 20%·Methomyl-Wp, 45% 처리에서 92.3%, 92.8%, 93.0%, 93.1%로 각각 높았다. 2. 10a당 건근수량 역시 무처리 232kg에 비하여 Methomyl-Wp, 45% 처리에서는 313kg으로 134%로 증수였으나 Methomyl-Lf, 24.1%·, Imidacloprid-Wp, 10%·, Carbosulfan-Wp, 20% 처리에서는 333kg, 341kg, 325kg으로 각각 143%, 146%, 140%의 높은 수량성으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3. 약해 조사에서는 기준량에서는 약해증상이 전혀 없었고 배량에서는 약하게 증상이 보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