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61.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망어업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제주도 주변 해역어장(33˚37.8' N, 126˚31.1' E)에서 단선조업이 가능하도록 건조된 시험 조업선인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실습선 아라호(990톤)를 사용하여 투망과 양망 등의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에 사용한 선망은 뜸줄의 길 829.1m, 발줄의 길이 995.7m이다. 초소형 메모리 계측기와 망심계, 장력계를 사용하여 그물 아랫자락의 수심과 선망의 장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투망과 양망할 때의 그물어구의 운동특성과 장력특성을 해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선식 조업방법에 의해 실시한 시험조업에서 선망의 투망과 양망이 가능했다. 2. 선망을 투망할 때 그물 아랫자락의 침강수심(Dp)과 경과시간(Et)의 관계는 값의 설정범위에서 다음과 같은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Dp=7.58Et-6.48 3. 죔줄을 죌 때 그물 아랫자락의 침강수심과 경과 시간의 관계는 값의 설정 범위에서 다음과 같은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Dp=-0.8Et2+7.42Et+92.04 4. 죔줄을 죌 때 선망의 장력은 경과시간 8분일 때 최대값(14.7톤)을 나타냈으며, 장력과 경과시간의 관계는 값의 설정범위에서 다음과 같은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0.13Et2+3.23Et-5.72
        4,500원
        63.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체역학적 해석을 이용하여 선망 어구 운동을 동적으로 시뮬레이션하였다. 선망 어구는 조업 과정 중에 어구의 형상이 크게 바뀌는 특성이 있고, 모든 조업단계에서 어구요소가 3차 시스템이며 대부분 망지라는 유연한 물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외력에 대해 그 형상이 비선형적으로 변하므로 모델링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질량-스프링 모델을 이용하여 수학적으로 기술하였다. 선망의 조업 과정중 그물의 투망, 침강, 죔줄을 죄는 과정의 어구운동을 시뮬레이션하였다.
        4,000원
        64.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 어장에서 어획하는데 적합한 어구 구조 및 규모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현용 전어 선망 어구의 침강 속도와 조업 과정별 수중 형상 변화 및 어구에 대한 어군의 행동 특성 등을 실제 조업 어장에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의 침강 속도는 투망 시작부인 어포부에서 평균 13cm/sec, 중앙부인 170m부분과 280m 부분은 각각 9.0cm/sec와 9.5cm/sec, 투망 종료부에서 4.9cm/sec로 투망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느려지다가 종료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어구 하단부인 발줄은 투망 직후부터 인양되는 시점까지 대부분 해저에 닿게되고, 탈출방지장치로 사용중인 목봉이 발줄을 유지하는 수심은 평균 2.7m 이내로 현장에서 어민들이 의도하는 것보다 실제 깊이는 훨씬 낮았다. 3. 전어 어군은 표층보다 저층에서 훨씬 농밀한 군집 형태를 보이고 대부분의 시간을 해저에서 머물다 조류가 약해지면 표층으로 부상하는 연직 운동을 반복하였으며, 조류의 흐름이 빠른 사리 때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4. 그물에 갇힌 전어 어군은 투망 후 곧바로 침하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수직 행동을 반복하였으며, 그물 벽을 돌기 시작하는 어군과 일정한 유영 패턴 없이 포위권내를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어군으로 구분되었고, 그물 벽을 타고 도는 어군은 쉽게 그물감에 갇히는 경향이었다. 5. 어군의 탈출은 수심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수심이 낮은 어장에서는 표층에서 해저까지 그물이 어군을 차단하게 되므로 어구의 양 끝단 쪽에서만 탈출하고, 수심이 20m 이상 되는 해역에서는 그물의 침강 속도보다 침하하는 어군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그물에 조우한 어군은 어구의 하단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경우가 번번하였다. 6. 어구의 양 섶 개구부에서 어군은 탈출 방지 장치인 목봉을 설치한 후에도 목봉의 하방으로 계속 탈출하여 목봉의 역할이 미비한 것으로 보아졌다.×10-6kg/m3〈/TEX〉이었다. 3. 1999년도 대비 2000년도의 단위체적당의 어밀도는 트롤정점별에 대한 상호비교에서 개체수 및 중량에 대하여 2000년도가 1999년도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우점종 13종에 대한 비교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작게 나타났다. 7. 저항계수는 펄에서는 체인형 발줄이 약 10.0~55.7, 와이어형은 약 3.0~l6.0, 기본형은 약 1.5~8.5이며, 모래에서는 체인형 발줄이 약 10.0~60.0, 와이어형은 약 3.0~l4.0, 기본형은 약 1.2~6.0이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절과 모래 모두에서 저항계수가 체인형이 다른 두 종류의 발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크고,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2는 여자가 1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NAR 중에서도 낮은 영양소는 비타민 A (남 0.52, 여 0.42 (p〈0.05), 칼슘 (남 0.68, 여 0.54 (p〈0.001)), 비타민 B2(남 0.77, 여 0.67 (p〈0.01))이었다. MAR은 남녀 각각 0.82, 0.73 (p〈0.001)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주지역 노인들은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유제품군과
        4,000원
        65.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present research is to develop and efficient numerical method for the calculation of potential flow and predict the wave-making resistance for the application to ship design of tuna purse seiner. Havelock was considered the wave resistance of a post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s through the water from the surface, its section by a horizontal plane being the same at all depths and having its breadth small compared with its length. This enables us to elucidate certain points of interest in ship resistance. However, the ship has not infinite draft. So, the problem which is investigated ind detail in this paper is the wave resistance of a mathematical quadratic model in a uniform stream. The paper deals with the numerical calculation of potential flow around the series 60 with forward velocity by the new slender ship theory. This new slender ship theory is based on the asymptotic expression of the Kelvin-source, distributed over the small matrix at each transverse section so as to satisfy the approximate hull boundary condition due to the assumption of slender body. The numerical results using the panel shift method and finite difference method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wigley mono hull.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wave resistance. However, it costs much time to compute not only wave resistance but also wave pattern over some range of Froude numbers. More improvements are strongly desired in the numerical procedure.
        4,000원
        66.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ecificity of catches has been analyzed to japanese tuna purse seine 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shing and increase sustainable production and productivity of Korean tuna purse seine.The result are as follows;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fish catche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Z1) to promote principal component score was skipjack Kastsuwonus Pelamis, LINNAEUS and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BONNATERRE (Small : smaller than 10kg) and proportion was 86.8% of total.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Z2) to increase principal component score was yellowfin tuna (Large : larger than 10kg) and proportion was 9.5%.On the other hand, fish operating that have caught skipjack and yellowfin tuna (Small and Larger) was not so much. Fish catches for one species raised volume of the catches while catches for multi-species decreased it since principal composition score for one species and both species together has been increased.Fish school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schools each of which wa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payaho and ship, school associated with shark, whale and porpoise and school of breezing, feeding and jumping from proportion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fish catches of school types. However, the biological pattern is different among school associated with ship, payaho and school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for analysis eigen vector. School associated with ship, payaho and school associated with drifting object associated is judged as school which be assembled to vessel and drifted log temporary.
        4,000원
        67.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ondition of fishing ground gave what kind of effect school type in relation to the property for the target school after the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and school type were observed when tuna purse seiner for tuna purse seine was operated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around the equator between December 12, 1993 and January 26, 1994. The results are as follows;1. This study divided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a one targeted-operation, and the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s that are another one for the property. The total of 23 operations were complected including 6 that targeted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and 17 that targeted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s. It was known that the main operation was conducted on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2.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depth of the surface mixing layer was 86.0m and 13.8m for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61.6m and 13.0m for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s, respectively. The average depth of the surface mixing layer of the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s was lower when compared to the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standard deviation was higher than those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ed objects. Accordingly, it was assumed that the effect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for pelagic migrating fish school was higher than the fish schools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4,000원
        68.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mperal and spacial analysis for catches have been drawing up a catch distribution chart and analysing catches and CPUE(Catch Per Unit Effort) using catch data with purpose of obtaining basic data to establish a selective method of effective fishing the tuna purse seine fishing ground.The temperature profile section and catch was surveyed to analyse the effect of catch in relation to the fishing ground environment.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for the catch variation between 1983 and 1984, the catch mainly took place on150˚E, and after that it moved eastward enlarging the range of catch. In the monthly catch variation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the catches mainly happened on 135˚~ 150˚E, and then moved to the gradually westward. However, from July it moved to the South and from October Southeast.2. As to the eatch ratio for the school associated with the drifted object, the pelagic migrating school and the school associated with the biological objects, the catch ratio for the school associated with the drift objects was the highest. The catch ratio for the school associated with the drifted object was high in June, July and November whiles between January and March for the pelagic migrating school.3. SST(Sea Surface Temperature) was around 28~29〈/TEX〉C〈/TEX〉 on the observing line of 137˚E〈/TEX〉 and the catches took place in the north equatorial counter-current situated on around 5˚~6˚N. SST in the northern summer was 1〈/TEX〉C〈/TEX〉higher than winter and it was about 29~30〈/TEX〉C〈/TEX〉. The catch happened with the center of north equatorial counter-current. The reason why the catch mainly took place on the north equatorial counter-current is that main catch of tuna purse seine was the school associated with drift objects. It is thought that the fishing grounds are made in waters that have many drift objects like drift logs from the coast.
        4,000원
        69.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에는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망선 120 톤 (총톤수) 급이 사용하고 있는 고등어 선망을 기준 스케일로 하고 그 축척비를 1/200 로 정하여 제작한 선망 모형을 이용했다. 그물실의 직경 (d : 0.45mm) 과 그물코의 발 길이 ( l : 4.5∼7.7 mm)의 비율 (d/l : 0.105∼0.058)이 다르고, 그 이외재료, 그물실의 굵기 등이 모두 같은 6종류의 무결절 그물감 (PES 28 tex ×2×2)을 사용해서 선망의 모형 I, II, III, IV, V 및 Ⅵ 형 그물을 만들었는데 뜸줄의 길이는 450 cm, 그물의 폭은 85 cm였다. 그리고 뜸 160g과 발돌 50g 을 부착해서 그물을 완성했다. 회류 수조의 수로 상에 투망 장치 및 짐줄 체결장치를 설치해서 정지 상태의 수중에 선망 그물을 투망한 후 짐줄을 체결하면서 상방과 전방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그물의 운동상태를 촬영 녹화했다. 그리고, 용적변화에 대해서는 재생화면에서 그물에 표시한 측정점의 좌표를 화상해석 장치로 읽고 실험값을 구했으며, 장력변화에 대해서는 짐줄 체결장치에 부착된 로오드셀로 측정하고 저장된 자료를 사용하여 해석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짐줄체결중 선망의 용적은 d/l 가 가장 작은 Ⅵ형 그물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V, IV, III, II 및 I 형 순으로 작은 경향을 보였으며, 짐줄의 장력은 작게 나타났다. 2. 짐줄 체결시의 그물내부의 용적변화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CVt= 1- EXP [2.79(d/l)+0.35t-33.37 (d/l)+0.57] 3. 짐줄 체결시의 짐줄의 장력변화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T=EXP .57t + 13.36 (d/l)+2.97
        4,000원
        70.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orth-west sea area of Cheju Island is where originate two layer current in the summer season. The case of the fishing operations in this sea area is almost impossible for normal expansion of the net gear for shooting net, and is happened to be frequent occasions for rise of tension suddenly in purseline by changes of the net shapes in the operation. Therefore, the safety of the operations is often obstructed by the above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model experiments on the purse seine in the circulating water tank was carried out in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hanges of tension in the pruseline by deformation of purse seine in the sea area of two layer curren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In the case of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20 minutes in the no current set, the increasing curve for tension of purseline can be expressed as:Y=0.0004x3+0.0098x2+0.3000x(r=0.9989)where Y is tension(metric tons) of a purseline, x is required time(minutes) for pursing. And, the maximum value of tension in this time was an increase of 31.3 percent at 15 minutes, and was a decrease of 30.3 percent at 30 minutes than that of 20 minutes.When the bottom margin of net is held on the position in velocity of 0.5 knot at three-eighths of net in the bottom current to the net height, the maximum tension of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30 minutes in tight set and loose set were decrease of 29.5 percent and 28.7 percent respectively than that of 20 minutes.The work load during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20 minutes were calculated 5.79×106 kgf·m in no current set, 7.89×106 kgf·m in tight set and 5.15×106 kgf·m in loose set, therefore it was an increase of 22.3 percent in tight set, and was a decrease of 11.1 percent in loose set than that of the no current set. Where tight set and loose set is a range of the bottom current with velocity of 0.5 knot at three-eighths of net to the net height.
        4,000원
        71.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72.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물실의 직경과 발 길이의 비율 d/l이 선망의 침강 운동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가를 해명하기 위해서 그물실의 직경은 0.45mm(PES 28 tex×2×2)의 것으로 모두 같고, 발 길이는 4.3, 5.0, 5.5, 6.0, 6.6 및 7.7mm로 각각 다르게 편망된 6종류의 무결절 그물감을 사용해서 뜸줄의 길이 450cm, 그물의 폭 85cm가 되도록 제작하고 뜸 160g과 발돌 50g을 매달아서, 각각 I,II,III,IV,V및 Ⅵ형 그물이라고 했다. 회류 수조의 수로 상에 투망 장치를 설치해서 정지 상태의 수중에 선망 그물을 투망하고 상방과 측면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그물의 침강과정을 촬영 톡화했으며, 그물에 표시한 측정점의 좌표를 화상 해석 장치로 읽고 실험 값을 구했다. 그리고, Runge-Kutta-Gill법에 의한 연립 미분방정식 해법을 이용하여 수치 해석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그물 아랫자락의 침강속도는 d/l이 가장 작은 Ⅵ형 그물이 가장 빠르고, V,IV,III,II및 I형 그물 순으로 늦게 나타났다. 2.그물 벽에 대한 저항 계수는 d/l의 크기에 의존하여 KD=0.081(d/l)-0.5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3.그물 다발의 저항 계수는 d/l의 크기에 의존하지 않은 CR=0.91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4,000원
        73.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망어법의 어회과정에 있어서 어군행동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제주 근해에서 사용하고 있는 고등어 선망어구인 파워불록용 선망(Powetblock seine)과 앞으로 예상되는 단선조작에서의고등어 선망어구인 트리플레스용 선망(Triplex seine)의 두 가지 모형망을 1/180로 제작 하고 선망에 의해 포위된 어군의 망내행동과 양쪽 선단의 개구부를 통하여 도피하는 어군의 행동을 관찰 분석함과 동시에 망단의 개구부의 면적 및 장력변화 등을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죔줄죄기 소요시간 20분일 때, 개구부로 도피하는 아군의 평균 유영속도는 Powerblcok seine에서 9.71cm/sec, Triplex seine에서 9.97cm/sec였다. 2.죔줄죄기 소요시간 20분중 좀줄을 50% 정도 감아들었을 때, 선망내의 어군은 Powerblock seine의 경우 I section 10%, II section방향으로 10% 유영하는 행동을 보였다. 3.죔줄죄기 소요시간 20분중 10분 경과했을 때, 전면 망단 개구부의 면적 감소율은 Powerblock seine이 63.5%, Triplex seine이 어군도피에 대한 수평적 서단능력이 높았따. 그리고, 좀줄에 걸리는 최대장력은 Powerblock seine이 약 8.1톤, Triplex seine이 8.3톤으로 나타 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4,000원
        74.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develop an efficient numerical method for the calculation of potential flow and predict the wave-making resistance for the application to ship design of tuna purse seiner. The paper deals with the numerical calculation of potential flow around the series 60 with forward velocity by the new slender ship theory. This new slender ship theory is based on the asymptotic expression of the Kelvin-source, distributed over the small matrix at each transverse section so as to satisfy the approximate hull boundary condition due to the assumption of slender body. Some numerical results for series 60, C sub(b) =0.6, hull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wave pattern and wave resistance are computed at two Froude numbers, 0.267 and 0.304. These results are better than those of Michell's thin ship theory in comparison with measured results. However, it costs much time to compute not only wave resistance but also wave pattern over some range of Froude numbers. More improvements are strongly desired in the numerical procedure.
        4,300원
        77.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망 어업은 우리나라 연안 어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그 주 대상 어종은 고등어류이고 주 어장은 쓰시마 난류역이다. 이들의 어장과 해황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크기별 고등어 어획량의 평균 분포(1974~1982)를 파악하고, 주요 어장인 제주도 동쪽 및 서쪽에 대한 해양 관측을 1983년 7월과 10월에 각각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등어류의 주요 어장은 역시 한국 남해의 쓰시마 난류역이었으며, 주어기는 5월과 9~10월이었다. 또 고등어류의 어획량은 체장 27~31cm(2~3세)인 소.중 고등어가 약 90%를 차지하였으나, 2~3월에는 체장 22cm (1세)의 콩 고등어가 약 40~70% 이었다. 계절적인 어장의 위치를 쓰시마 난류의 지표수인 15℃ 등온선의 북상 또는 남하 위치로 알 수 있었다. 제주도 동쪽 및 서쪽의 주어장은 쓰시마 난류수와 한국 연안수 혹은 황해 저층 냉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경역 이었다. 또 이들 어장의 투명도 및 수색, 태양광의 투과율의 분포는 수온과 염분의 분포 및 플랑크톤 습증량의 분포와 비슷하였다.
        5,7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