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필수적인 얼굴 인상형성 과정 중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매력도와 신뢰성을 평가할 때 시각적 주의에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이 얼굴 신뢰성과 매력도를 평가하는 동안 안구추적기(eye-tracker)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시선움직임을 측정하고, 이 후 히트맵(heatmap) 분석을 통해 평가과제 간 차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매력도를 평가할 때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평가할 때, 얼굴의 주요요소라 할 수 있는 눈과 코 부위에서 더 많은 시선응시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실험 2에서는 참가자들이 실험 1과 동일한 얼굴 평가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얼굴의 각 요소에 단어를 짧게 제시하였다. 실험종료 후 실시된 회상검사 결과, 신뢰성 평가과제 시 코부위에 제시되었던 단어의 회상률이 매력도 평가과제 시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 신뢰성 판단은 시각적인 주의적 자원(attentional resources)의 할당과 관련된 측면에서 얼굴 매력도와는 구분되는 정보처리과정을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dimensions of the visual evaluation of the costume details of the retro romantic fashion and to research on the costume details and the visual evaluation by evaluators’ gender, age, and major, and on their preferences. Quant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 pictures, 10 costume detail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questions and data were collected. All 446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re college students(males and females) residing in or near Seoul. Data were collected in September,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which included: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reliability analysis, three-way ANOVA, two-way ANOVA,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and the t-test. The results of visual evaluation of retro romantic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costume detail evaluation, five factors including attractiveness, decorativeness, cuteness, retro, and femininity surfaced. Secon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women rated decorative, cute, retro, and feminine characteristics higher than men did.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in attractiveness and femininity depending on costume details and evaluators’ gender. Fourth, subjects majoring in fashion valued attractiveness and femininity of the stimulus over non-fashion majoring subject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of costume details depending on gender.
최근 마케팅 분야에서 기업 이미지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기업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마크 중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로고마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함께 기업의 개성과 특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형태에 의한 이미지 표현이 중요시되며, 따라서 시각디자인의 조형적인 측면이 중요하게 고찰되어야 한다. 그런데 로고타입과 로고마크에 관한 조형적 측면에서의 연구, 특히 글꼴의 형태와 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글 로고타입의 시각적인 형태와, 기업에 따라 선호되는 로고타입의 형태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업의 업종에 따라 선호되는 로고타입의 형태요소에 차이가 있었는데, 건설회사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줄기 굵음, 돌기 없음, 사선형 맺음, 직선곡선형 맺음이 선호되고, 은행의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돌기 없음, 사선형 맺음, 한쪽곡선형 돌기, 줄기는 중간이 선호되며, 연구소의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사선형 맺음, 줄기 굵음, 직선형 돌기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회사, 은행, 연구소의 로고타입 형태에 공통적으로 적용해야 할 요소는 사선형 맺음으로 나타났고, 곡선형 맺음과 줄기 얇음은 피해야 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돌기, 맺음, 굴림은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입체 영상이 가지는 특성과 시청환경의 특성에 따라 입체 영상을 시청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각적 피로도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깊이방향의 운동속도와 응시거리 각각을 입체 영상과 시청환경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삼고 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시각적 피로도는 눈통증 요인, 시각적 스트레스, 어지러움 요인, 신체 통증 요인, 상흐림 요인으로 구성된 피로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깊이 방향의 운동속도를 변화시킨 자극을 40분간 제시하면서 10분, 20분, 40분에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전체 피로도 점수는 시청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운동 속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 개의 하위척도들 중 어지러움 하위척도 점수에 서만 운동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동일한 입체 영상을 응시거리만 변화시켜가면서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피로도 점수는 시청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응시거리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섯 개의 하위 척도들 중 상흐림 하위척도 점수에서만 응시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입체 영상의 특성이나 시청환경에 따라 시각피로도가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시각피로도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시각피로도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Purpose : To provide eye care practitioners with guidelines in selection of lenses based on visual needs of wearer. we measured opt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ng distance, intem1ediate. and near zones of each PAL design. Methods : 34 lenses which are selling in the market currently, were ordered through a shop as if for a patient with a prescription of piano distance and a + 2.000 add for right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tl1e lenses was 34 and they were obtained from the manufacturer directly to get a equatable of lenses. Each lens optics was measured with VM 2000(Visionix Ltd. Israel) three times. Limiting the viewing zone width by 0.500C or + 0.250S. distance. intem1ediate. near viewing zone were analysed respectively by lmm vertical steps. Results : Setting the criterion at addition + 2.000. the maximum unwantcd astigmatism was - 1.95 to -3.560( -2.32±0.37). clistance viewing zone area was 9.17 Lo 91.25 mm2(30.57±17.20 mm2 ) . intermediate vie\ving zone area was 10.52 to 41.21 mm2(19.56±6.88 mm2 ), the highest occurrence of the + 1.750 was apart 10.35 m to 18.16 mm(l3.53±2.02 mm) from fitting cross. and neru· viewing zone area with over + 1.750 was 26.58 to 111.25 mm2(62.31± 18.07 mm2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usage ratings were measured on t11e criterion of the distance zone. intermediate zone. and near zone width and their horizontal width. Conclusions :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cross the progressive addition lenses tested in this study were showed a variance of wide ranges. The ratings of visual needs of wearer on the distance zone, intermediate corridor and near zone can be used in selection of appropriate lenses to match individual specific needs.
To reduce winging scapula, various exercise protocols have been widely used by clinicians. Selective serratus anterior strengthening, and restoring balanced function, are especially recommended to reduce winging scap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ual biofeedback using a real time video camera display system for monitoring scapular winging during arm lowering. For this study, 13 males with winging scapular were recruited during arm lowering. Electromyography (EMG) activity was recorded from the serratus anterior (SA) and upper trapezius (UT) of the right side and compared with normal EMG activity using a paired t-test. The study showed, through visual biofeedback, that EM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A an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UT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sual biofeedback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scapular eccentric control, to prevent scapular winging during arm lowering.
목적 :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시각적 주의력에 대한 Dynavision의 훈련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편측무시 증상을 나타내는 좌측 편마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 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에서는 Dynavision을 이용한 치료를 하지 않고 시각적 주의력을 대변하는 Dynavision 불빛에 대한 반응 시간과 반응횟수를 4회기 동안 측정하였다. 치료 기간에는 Dynavision을 이용한 치료 후 반응시간과 반응횟수를 측정하였다. 치료 프로그램은 visual tracking,
self-paced, digital flash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고 3주 동안 12회기를 시행하였다. 치료 전 편측무시 증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선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에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횟수가 증가되었고 반응시간은 감소되었다. 또한 Dynavision 치료 후에 선나누기 검사의 오류 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 Dynavision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증상과 이와 관련된 시각적 주의력을 향상 시키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도구이다.
국내 게임산업의 성장과 함께 유사한 장르의 후속 경쟁 게임작들이 ‘표절’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은데, 대개는 두 게임의 시각적 요소들이 유사함에서 비롯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게임도 저작물인 한에 있어서는, 저작권침해의 일반적인 판단기준을 적용하면 될 것이나, 게임업계에서는 우리나라의 법원 또는 저작권법에 저작권침해, 특히 게임저작권침해를 판단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다 고 질타한다. 미국에서도 게임의 시각적 요소의 유사성에 관련된 저작권침해 논란이 최근까지도 있었으나, 컴퓨터 또는 장르로 인한 표현매체의 한계를 인정하여 실질적 유사성에 있어 다른 저작물들과는 달리 시각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유사성(virtually identical copying)을 요구하고 있는 경향이다. 최근 우리나라 법원에서도 게임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저작권침해 사례에서 의미 있는 판결들을 선고하였는바, 본고에서는 미국에서 전개된 저작권침해의 성립요건, 실질적 유사성 테스트와 시각적 동일성 기준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사례에 나타난 저작권침해의 성립요건, 실질적 유사성 이론 등과 비교한 후에 우리나라 게임저작권 침해 사례에 있어 시각적 동일성 기준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eoretical framework of motor learning is used to enhance perceptual motor skill in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which can be subdivided into two main types-explicit and implic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brain damage learn implicitly a motor skill using the arm ipsilateral to the damaged hemisphere. Speculation then followed as to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plans and instructions provided to patients with stroke. 20 patients with stroke and 20 norma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ll the subjects practiced serial reaction time tasks for 30 minutes a day and retention tests on the following day. The tasks and tests involved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s to 4 colored circles presented on a computer screen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Patients with stroke responded more slowly than controls. However, both groups showed decreased reaction time in the experimental and retention period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regarding explicit knowledge of consecutive order. Therefore, patients with stoke had the ability to learn implicitly a perceptual motor skill. Prescriptive instruction using implicit and explicit feedback may be beneficial for motor skill learning in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brain damage.
본 연구는 남성 수트소재의 구성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이 남성 수트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시판하는 남성용 검정색 계열의 춘하 소재 20종을 수집하여, 시각적 질감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피험자는 의류학과 대학원생과 의류관련 업체 종사하는 20~30대 전문가 여성으로 구성하였다. 요인분석으로 "부피감", "신축감·드레이프성", "강연감", "평활감"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강연성"과 굽힘특성과의 관계를 제외한 역학적 특성 평가와 시각적 질감 이미지 평가가 일치하였다. 선호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평활감", 압축에너지(WC), 밀도, "강연성"이었으며, 시각적으로 매끄럽고 부드럽고 압축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고 밀도가 성근 직물을 춘하 남성용 정장으로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information and different elevations of medially wedged insoles on the proprioceptive sense of the knee joi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able-bodied men who were not athletic. An electrogoniometer was used to determine the error value between calculated 50% of full flexion (target position) and performed 50% of full flexion in a standing position with the upper extremities crossed. Tests were randomly performed in conditions. Visual variations included open eyes vs. closed eyes, while the elevation was adjusted through the use (or lack thereof) of medially wedged insoles of 10 mm, 14 mm, and 18 mm. The average error value in each condition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as follows: 1) The average error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subjects' eyes open than with their eyes closed (p<.05). 2) The averaged error valu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subjects were elevated 18 mm than with no elevation at all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programs when medially wedged insoles u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적응신경망퍼지추론시스템(ANFIS)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7가지 역학적 특성치를 갖는 면직물의 시각적 질감을 해석하고 두 가지 방법을 비교하는 것이다. AMFIS는 퍼지 소속 함수와 신경망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인간의 비선형적 감성예측에 유용한 도구이다. 상관관계 및 회귀 분석의 통계분석은 7가지 역학적 특성치가 주관적 질감과 선형의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지만 설명력이 높지 않았고, 선형 이외의 관련성과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을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통계분석과 비교하여, ANFIS는 변수들 간의 비선형적인 관련성과 상호작용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데 설명력 있는 유용한 도구였으나, 입력 변수 중 출력 변수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를 변별하지 못하여, 생성된 규칙의 수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ANFIS의 해석이 단순하고 의미있는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영향력 있는 출력 변수를 추출하고 나머지 변수를 유사하게 통제하는 실험 모델의 구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