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63.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을 조사, 분석하여 원예치료에 이용되는 원예활동의 실제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별로 보다 바람직한 원예활동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으며, 그 첫 단계로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에 게재된 원예치료의 치료 및 재활영역의 논문을 대상으로 치료적 문제에 따라 대상자에게 적용된 원예활동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원예치료를 수행하는 영역을 예방영역과 치료 및 재활영역으로 분류하여 원예치료 관련 논문을 조사해 본 결과, 치료 및 재활영역이 51.14%로 예방영역의 2배에 가까운 연구논문이 조사되어 예방영역보다 치료 및 재활영역에서 원예치료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료 및 재활영역 대상자에게 적용된 원예활동을 치료적 문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심리ㆍ사회영역의 연구논문이 92.68%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기르기(재배), 꾸미기(장식 및 이용), 느끼기(감상),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꾸미기(장식 및 이용) 활동이 60.14%로 월등히 많이 행해지고 있었으며, 신체영역이 48.67%, 인지영역이 47.77%, 심리ㆍ사회영역이 62.56%로 세 영역 모두 꾸미기(장식 및 이용)가 가장 높게 조사됨을 알 수 있었다.
        7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dexterity and adaptive behavior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y be opportunities to improve physical integration, coordination, and dexterity, resolve anxiety and stress and set up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making a better human life. Also it provides the opportunities of vocaitonal rehabilitation. To perform the study, the subjects consisted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in the B School, Bucheon. Maximizing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horticultural programs were applied to them for 44 sessions, 3 sessions per week and 50 to 60 minutes each session and limited to smal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purdue pegboard test, adaptive behavior scale, and psychoscial and emotional behavior test to determine their the dexterity and adaptive bahavior. Based on results form the test and analysis, the research could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in promoting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physical dexterity, especially both hands and assemble. Also,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benefit to elevating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adaptive ability, especially psychoscial behavior. In summar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improved the dexterity and adaptive bahavior for occupational adaptive skill a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in horticultural field is expected.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