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

        6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진과 삽화는 현행 과학 교과서에서 핵심적인 시각적 표상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능 분석 결과, 6차와 7차 모두 예시적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7차의 경우 사진과 삽화의 기능들이 6차에 비해 다양해졌는데, 이것은 지구과학 II 보다는 I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6차에서는 극히 미미하게 나타났던 보충적 기능과 설명적 기능이 7차에서는 증가하였으며, 장식적 기능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 분석 결과, 6차에 비해 7차에서 참조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본문과의 연계성 면에서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독 사진이나 삽화에 비해 다중 구성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짝이나 연속 구성에서는 발전된 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과학 교과서 개발에서 사진과 삽화의 기능에서 탐구적 기능을, 구조에서 보완적 구성을 추가할 것과 사진과 삽화를 포함한 시각적 표상의 기능과 구조 측면을 과학 교과서 검정 준거로 활용할 것을 논의하였다.
        4,600원
        6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ponents the writing textbook should have and offer a plan of the textbook for efficient education. Approximately 20 kinds of the textbooks on the market are analyzed in section 2. Components are selected through examination of related materials and preceding research in section 3. Also, the plan of the writing textbook is presented concretely, focusing on components in section 4.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Chinese letter is considered, which means that combination of strokes becomes single-component characters and that of single-component characters becomes multi-component characters are regarded when analyzing the components. In addition, rules of stroke order and number of strokes are classified as their basis and examples are presented. It also examined the standard of selection of entries, order of arrangements, type of letter, appendixes, and indexes. To edit the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above-mentioned standards, the process of selecting entries would be required and this will be made up for by follow-up research.
        5,700원
        63.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분야에 등장하는 과학적 모델을 분류해 보는 것이었다. 과학적 모델을 표상 매체, 표상 방법, 모델의 가동성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도록 개발된 분류틀을 이용하여 11종 교과서의 지구과학 관련 단원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과학 교과서들은 지구과학의 세부 영역의 본성이 반영된 영역-특이적인 모델들을 수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지구의 변동' 단원은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지구의 내부 구조나 판들의 운동을 표상하는 모상 모델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대부분 평면적 그림 모델과 정적 모델에 속하였다. '대기와 해양' 단원에서는 일기도나 해수의 온도와 염분을 나타낸 등치선도 등을 포함한 기호모델과 도해적 모델이 많이 등장하였다. '태양계와 은하' 단원에서는 규모가 큰 천체나 그들의 운동을 표상하는 모상 모델이나 유비 모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지구과학 교육과 관련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4,300원
        6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passive voice in English textbooks in terms of sufficiency, sequencing, variety, interest, authenticity, and appropriateness. A total of thirty textbooks was randomly chosen for the analysis, six exemplars being selected from each grade from intermediate middle school through advanced high school. The results show that the subtypes of passives presented were substantial enough to fully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assive, and that the various sub-types of passives were sequenced reasonably. However, limitations were revealed in providing enough variety of activities/exercises on the one hand and of visual aids on the other. The textbooks were also found to contain several non-authentic language patterns such as wrong choice of the verb, collocation problems, etc. More serious was not only heavy reliance on sentence-level mechanical practices, particularly conversion exercises, but also the lack of attention paid to function-oriented instructions on the passiv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design of new textbook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6,600원
        6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날씨'와 '일기예보'를 다루고 있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회-기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시각적 이미지는 실제 세상의 현상을 묘사하는 '실체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든 시기의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는 대부분 학생들에게 친숙하였음을 의미한다. 시각적 이미지와 학생 사이의 의사소통에 대한 주도권 양상은 복잡하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대부분 기하학적 코드나 숫자 문자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시각적 이미지의 정보의 양과 형태, 구조 및 사회적 의미 등을 해석하는 새로운 분석도구를 제안해준다. 또한 차기 과학교과서의 이미지 선택에 사회-기호학적 관점을 도입하는 하나의 전기가 될 것이다.
        4,300원
        66.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67.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69.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학습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탐구 과제가 제7차 교육 과정의 목표에 따라 제시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11종 과학 교과서의 기본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탐구 과제의 유형과 기본 탐구 기능, 통합탐구 기능, 탐구 활동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제시된 탐구 기능과 활동이 적절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탐구 과제는 평균 24.0개가 제시되었으나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고 제시하는 유형이 달랐다. 탐구 활동의 빈도는 교과서마다 달랐고 제시된 것보다 더 많이 분석되었으며 통합적인 활동으로 제시되지 않고 하나의 탐구 기능처럼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탐구 기능은 77.2%로 기본 탐구 기능 22.8%보다 많은 것으로 보였지만, 실제로 기본 탐구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의 분포 비율은 각각 45.6%와 56.4%로 조사되었다. 각 탐구 기능 중에서는 추리(49.5%)와 자료해석(68.7%)이 가장 많이 있었고, 문제 인식, 가설 설정, 일반화 등의 탐구 요소는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제7차 교육 과정에서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과서마다 본질적 의미와 일치하지 않거나 협소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교육 과정이 탐구,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조작적 수준으로 제시하고, 탐구 활동을 구성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70.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와 서로 다른 출판사의 중·고등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I, II교과서, 각각 4권씩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을 분석하여 화석의 종류, 산출지역과 척도의 표기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교의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의 종류는 32개였으며, 중학교 과학교과서 4권에는 50개, 그리고 고등학교 8권의 교과서에서는 109개였다. 그러나 화석사진에서 표현되는 과학적 정보는 부족하였다. 초등학교의 과학교과서와 실험관찰에서는 수록된 화석사진의 68%에 산출지가 표기되어 있었으며, 척도가 표기된 화석사진은 전체의 6%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 전체 화석의 40%와 16%에 산출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척도는 14%와 18%만이 표기되어 있었다. 보다 효과적인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에 산출지와 척도를 표기할 필요가 있다.
        4,300원
        71.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7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extbook is the materials of teaching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is sorted into the unit by the topics. If such units combine with some factors that are involved with the topic organizationally well, the text may be helpful in its own way. Thu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in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xt with the regard to both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and organization of such that construc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textbook could promote th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to express their target language (Korean language) in the real language context or not.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should follow up on these progresses. First of all, (1)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some of the basic concept related to the textbook in chapter 2, (2) chapter 3 suggests other studies which have been done previously (3) chapter 4 presents the framework in the design of units, (4) chapter 5 analyzes the textbook with the framework suggested above. Finally, in chapter 6, this study sets up some components of the units making topics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organization.
        6,600원
        7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전 학년의 18개 전 과목 교과서 72권의 한자어를 한자로 변환하여 한자어의 빈도와 이들 한자어에 쓰인 한자 빈도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 보고이다. (1) 초등학교 1학년˜6학년 총 18개 과목 교과서에 나온 한자의 종류는 2,687자이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1위 한자는 ‘數’이다. 총 2,687자의 개별 한자 중 교육용 1,800자에 포함되는 한자는 1,665자이며, 포함되지 않은 한자는 1,022자이다. 또한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어에 나타나지 않은 글자도 135자나 된다. (2) 초등학교 교과서 18종에 나온 개별 한자어의 총수는 12,787이다. 한자어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과목은 ‘국어’ 교과로 특히 ‘읽기’ 교과이다. 한자어에는 교과별 특성이 반영이 되어 있다. 국어와 사회 교과서에는 빈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고 많은 한자어가 고루 사용된 반면, 수학과 과학, 도덕 교과서에는 특정 한자어의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100위 안에 드는 한자어를 어휘적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親舊, 數, 個, 內容, 方法, 生活, 活動, 模樣, 點’ 등 10위 안에 드는 고빈도 한자어의 대부분이 명사이다. 이상의 한자어와 한자 조사 결과는 앞으로 한자한문교육은 물론 국어 어휘교육에도 유용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9,900원
        74.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해양영역의 용어, 학습개념, 탐구를 대상으로 학습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제 7 차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7학년, 고등학교 10학년 과학교과서를 사용하였다. 용어의 사용 빈도는 초등학교에서 중 · 고등학교로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증가하였으나, 용어의 해설은 고등학교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학습개념은 초·중·고등학교에 관계없이 구체적 개념이 형식적 개념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구상황은 순수 과학적 상황이 초·중·고등학교 전 과정에서 통해서 가장 높았다. 탐구과정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감에 따라 기본적 탐구과정에서 통합적 탐구과정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구활동은 초·중·고등학교에서의 토의, 실험, 조사의 탐구활동이 많았으나, 고등학교에서는 견학 및 과제 연구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기본 교육자료인 교과서에는 학교급에 상관없이 주요 용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습개념과 탐구상황은 학생들의 인지발달과 과학·기술·사회와의 관계에서 전인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구과학교육에서 탐구활동은 야외학습을 통한 교육적인 효과가 크기에 적절한 적용이 요구된다.
        4,000원
        7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s the high school textbooks for German which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focuses on communicative features of texts/dialogues and the lessons in general. According to 7th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have to practice all four communicative activities in German I, namely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s analysis aims at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elements which are relevant for communicative exercises. For that purpose, the author analyzes the proportion of texts in relation to dialogues, and the therein contained distribution of communicative situations or themes; another aspect of analysis deals with the question, how systematically the lessons are structured in order to enhance the four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skills.
        5,400원
        7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English words that are used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 books of the 6th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For this analysis, an English corpus of a total of 1,230,023 nodes was built out of 63 English textbooks of the 6th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following items for analysis: 1) tokens and types of words us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2) frequency of the words, and the numbers of new words introduced in each school-year, 3) high-frequency words in the textbooks with reference to those in large-scale general English corpora, 4) parts of speech of the words and their frequencies, and 5) the comparison of the words used in reading parts and listening parts. Analysis of the corpu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the average number of tokens and types, th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contain more than those based on the 6th Curriculum. As for the frequency of the repetition of words, the 6th curriculum textbooks are more than the 7th curriculum textbooks. Comparison of vocabularies used in the text corpus and in general large-scale English corpus shows that there a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9,200원
        77.
        200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78.
        200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