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61.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품종별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근경을 실험재료로 하여 total polyphenol 함량, 항균활성, 항균물질의 열안정성 및 pH안정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울금 품종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울금과 강황에서 보라울금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울금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균활성은 ethanol 추출물이 15.4~16.3 mm로 가장 강한 항균
        62.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vious work demonstrated that an ethanol extract (HS0608) of a mixture of three medicinal plants of Curcuma longae radix, Phellinus linteus, and Scutellariae radix markedly inhibits Aβ (25-35)-induced neurotoxicity.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further verify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HS0608 on oxidative and ischemic cerebral injury using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and rats. Exposure of cultured cortical neurons to 100 μM hydrogen peroxide (H2O2) 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At 10-100μg/ml, HS0608 inhibited neuronal death,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H2O2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neurons. In vivo, HS0608 prevented cerebral ischemic injury induced by 2-h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and 24-h reperfusion. The ischemic infarct and edema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rats that received HS0608 (200 mg/k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S0608 may be responsible for it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focal cerebral ischemic injury and that HS0608 may have a therapeutic rol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stroke.
        6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 ethanol extract (HS0608) of a mixture of three medicinal plants of Curcumalongae radix, Phellinus linteus, and Scutellariae radix for possible neuroprotective effects on neurotoxicity induced by amyloid βprotein (Aβ) (25-35)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and antidementia activity in mice. Exposure of cultured cortical neurons to10µM Aβ (25-35) for 36h 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At 1-50㎍/㎖, HS0608 inhibited neuronal death,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Aβ (25-35)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neurons. Memory loss induced by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ICR mice with 15 nmol Aβ (25-35) wasinhibited by chronic treatment with HS0608 (25, 50 and 100㎎/㎏, p.o. for 7 days) as measured by a passive avoidance test. From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antidementia effect of HS0608 is due to it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Aβ (25-35)-inducedneurotoxicity and that HS0608 may have a therapeutic role in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Alzheimer’s disease.
        64.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울금에 들어 있는 curcumin성분의 추출조건 확립 및 HPLC에 의한 최적 분석조건과 쓴맛성분 제거방법 등을 검토한 결과, 메탄올에서 흡수파장은 424 nm 부근에서 최대흡광도를 보였으며, HPLC의 최적 분석조건은 UV 424nm에서 Zorbax eclipse column을 사용하여 분석할 경우, 이동상은 75% MeOH, 유속 0.8 mL/min에서 가장 좋은 분리 결과를 보였다. Curcumin 성분은 메탄올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유량을
        65.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을울금과 봄울금의 채취시기에 따른 유기산, 무기질, 색도, curcumin 및 쓴맛성분 등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주요 유기산 중에 oxalic acid와 lactic acid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나 malic acid, malonic acid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기산 총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점차 증가하다가 다음해인 1월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기질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함량이 증가하다가 이듬해에
        66.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을울금과 봄울금의 채취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아미노산, 유리당 및 환원당 및 비타민 C와 등의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가을울금과 봄울금의 수분, 조회분,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고, 가용성무질소분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성아미노산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다가 다음해인 1월말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유리 아미노
        67.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황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서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쌀밥 부패에 관계하는 Bacillus sp. 대한 항균활성과 쌀밥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강황 에탄을 추출물은 쌀밥부패 미생물인 Bacillus sp.에 대하여 뚜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B. cereus와 B. subtilis의 경우 추출물 0.10% 이상에서, B. megaterium는 0.05% 이상에서 뚜렷하게 성장이 억제되었다. 최소성장억제농도(MIC)는 B. cereu
        68.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에서는 품질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에서 저장한 경우 강황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pH는 높고 산도는 낮았으며, 총균수는 2-3 log cycle 적어 저장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조직감은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하여 강황 추출물 첨가구의 hardness, choesiveness, springiness가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농도가
        69.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황 에탄올 추출물은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5,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73, Salmonella typhimurium ATCC 21541,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그리고 Aeromonas hydrophila KCTC 2358에 대하여 0.05-0.2% 범위에서 뚜렷한 성장억제효
        7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출조건에 따른 울금 (Curcuma longa L.)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은 시료 농도 1,000 μg/ml에서 초임계 추출 시료는 89.0%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3가지 추출법 중 초임계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2. 울금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3가지 추출방법 중 초임계 추출물의 경우 시료 농도 500 μg/ml에서 95.0% 가장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3.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1,000 μg/ml의 초임계 추출물에서 40%의 저해능을 나타내어 물, 에탄올, 1,3-butylene glycol 추출물에 비해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4. 울금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및 초임계 추출물의 경우 1,0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82.0, 89.0%로 높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울금을 이용한 4가지 추출법 중 초임계추출법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나타내어 화장품의 소재로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7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황 (Curcuma longa L.) 색소의 curcuminoid 성분인 curcumin (CUR), demethoxycurcumin (DEM), bisdemethoxy-curcumin (BIS)의 정량분석을 위해 유의성있는 검량선(r2=0.9999**) 을 작성하였다. 사용된 HPLC는 역상칼럼을 장착하고 420nm의 UV 검출조건, 그리고 이동상으로 acetonitrile: 0.1~% acetic acid /water의 50 : 50 혼합용액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분석조건이 확립되었다. 국내 6개 지역에서 재배된 강황들의 색소성분 함량분석 결과, CUR가 91.6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DEM은 56.9 mg/g이고 BIS는 23.0 m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총량은 평균 171.5 mg/g이었다. 강황 색소추출물의 저장시기별 색소성분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 냉동저장은 거의 손실이 없었으나 상온저장은 60일 이후 급격한 감소율을 보였다. 저장 90일째의 색소성분은 암조건에서 약 50~% , 명조건에서 약 30~% 만이 남아 있어 curcuminoid색소성분은 빛과 온도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2.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에서 비교적 온난한 남부 도서지역인 진도지방에서 강황의 멀칭재배를 실시한 바, 진도지역에서 강황을 4월 30일 정식할 경우 4주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0~88%이었다. 강황의 초장은 97~137 cm로서 1주의 근경중은 759~983 g 이었으며, 10a 당 수량은 약 3,567~4,620 kg이였다. 강황의 재배시 초장은 무피복에 비하여 멀칭재배에서 크고, 멀칭은 PE 필름에서 생장이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진도에서 강황을 PE 필름으로 멀칭 재배할 경우 어느 정도 수확이 가능하였다. 특히 흑색 PE 필름으로 밀칭채대를 하면 근경이 비대 되고, 영농의 가장 큰 장해요인인 잡초도 방제할 수 있어 농가에 장려할 만한 재배법으로 판단된다.
        73.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울금의 기내대량번식을 위한 경정배양에 알맞은 기본배지의 종류와 기내증식 및 생장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농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울금의 경정은 MS(Murashige and Skoog)기본배지에 치상한 경우 Wanspojen, LS, White 배지보다 shoot와 root의 형성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기내의 유식물체 생장은 오옥신(NAA 0.5-l.0 mg/l)과 사이토키닌(BA 1.0-5.0 mg/l) 혼용처리가 효과적이었다
        74.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AC) for stimulating growth and productivity of Curcuma longa Linne as affected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C.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ere the highest with the optimum amount of activated charcoal ranged from 10 to 30%. Root growth was elongated by the addition of 30% AC with the highest rhizome length and weight.
        75.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역인 진도 지방에서 울금 다수확의 기 초 자료를 얻고자 차광 재배를 실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도 지역에서 울금을 4월 20일 정식할 경우 4주 지난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3­88%이었다. 초장은 129cm­147cm이였고, 차광의 정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엽장은 47.5cm­49.4cm로 차광 30­60%에서 약간 양호하였다. 또한 엽폭은 16.9­17.9cm로 차광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울금의 1주 근경중은 941­993g으로 비대가 잘되었고, 10a당 3,980­4,200kg을 생산 할 수 있었으며, 15%와 30%차광이 수량이 약간 증수되었으나 45%이상의 차광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으로 차광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울금을 재배할 경우 15%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근경 수량이 약간 증수되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재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