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62.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ponse of chickpea (Cicer arietinum L.) to dual inoculation with Rhizobium (R) and arbuscular mycorrhiza (AM), nitrogen (N) and phosphorus (P) was studied on spore abundance and colonization of AM, nodulation, growth, yield attributes and yield. In all the parameters of the crop the performance of Rhizobium inoculant alone was superior to control. Dual inoculation with Rhizobium and AM in presence of P performed the best in recording number of spore 100g-1 rhizosphere soil and root colonization,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 dry weights of shoot and root, number of pod plant-1 , number of seed pod-1 , seed and stover yields of chickpea. The maximum seed yield of 3.33 g plant-1 was obtained by inoculating chickpea plants with Rhizobium and AM in association with P. From the view point of nodulation, growth, yield attributes and yield of chickpea, dual inoculation with Rhizobium and AM along with P was considered to be the balanced combination of nutrients for achieving the highest output from cultivation of chickpea in Shallow Red Brown Terrace Soil of Bangladesh.
        63.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Ban­gabandhu Sheikh Mujibur Rahman Agricultural University, Gazipur to study the response of chickpea (Cicer arietinum L) to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poultry litter, nitrogen, and phosphorus on spore population and colonization, nodulation, growth, yield attributes, and yield. The performance of Rhizobium inoculant alone was superior to control in all the parameters of the crop studied. Among the treatments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in presence of poultry litter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dry weight of shoots and roots, number of pods/plant, number of seeds/pod, and seed yields of chickpea. The highest seed yield of 3.96g/plant was obtained by inoculating chickpea plants with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in association with poultry litter. Treatments receiving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in presence of nitrogen and phosphorus, Rhizobium inoculant in presence of nitrogen and phosphorus, and that of arbuscular mycorrhiza in presence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similar as that of treatment receiving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in presence of poultry litter. From the view point of nodulation, growth, yield attributes, and yields of chickpea,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inoculant and arbuscular mycorrhiza along with poultry litter was considered to be the balanced combination of nutrients for achieving the maximum output from cultivation of chickpea in Shallow Red Brown Terrace Soil of Bangladesh.
        64.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ponses of five varieties and three cultivars of pea (Pisum sativum) to Rhizobium inoculation on nodulation, growth,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were investigated. The pea varieties were IPSA Motorshuti-l, IPSA Motorshuti-2, IPSA Motorshuti-3, BARI Motorshuti-l, BARI Motorshuti-2 and the cultivars were 063, Local small and Local white. Fifty percent seeds of each pea variety/cultivar were inoculated with a mixture of Rhizobium inoculants at rate of 15g/kg seed and the remaining fifty percent seeds were kept uninoculated. The plants inoculated with Rhizobium inoculant significantly increased nodulation, growth,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Among the varieties/cultivars, BARI Motorshuti-l performed best in almost all parameters including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of the crop.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r=0.987** , 0.909** ),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r=0.944** , 0.882** ), dry weight of shoot (r=0.787** , 0.952** ), N content (r=0.594** , 0.605** ) and N uptake (r=0.784** , 0.922** ) by shoot both at flowering and pod filling stages of the crop,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BARI Motorshuti-l in symbiotic association with Rhizobium inoculant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by pea.
        65.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ponses of six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varieties to Rhizobium inoculation on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were investigated. The mungbean varieties were BARI Mung-2, BARI Mung-3, BARI Mung-4, BARI Mung-5, BINA Moog-2, and BU Mung-1. Two-third seeds of each variety were inoculated with Rhizobium inoculant and the remaining one-third seeds were kept uninoculated. Rhizobium strains TAL 169 and TAL 441 were used for inoculation of seeds. Inoculation of seeds with Rhizobium strains significantly increased nodulation, nitrogenases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of the crop compared to uninoculated control.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nitrogenase activity,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of the crop. It was concluded that BARI Mung-4 in association with Rhizobium strain TAL 169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odulation,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itrogen uptake by shoot of mungbean.
        67.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medicinal mushroom, Poria cocos, is cultured , inoculation method of spawn is cross slice inoculation of which the both sides of pine tree were peeled and spawn of P.cocos was inoculated. However, this method required lots of inoculation amou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culturing method of P. cocos. A good growth of P.cocos was observed in MCM(mushroom complete medium), showing proper mycelia growth and density. In inoculation amount, conventional method(cross slice inoculation) requires 20 bottles of spawn. In contrast, short log method required 8 bottles of spawn and drilling inoculation method 2~3 bottles, which could save by 60% and 85-90% respectively. In the selectrion of tree species, pine and larch had better condition for spawn culture and sclerotia formation condition.In terms of yield , pine was 33.7kg/3.3m2. In the yield of pine, conventional method was 23.4kg/3.3m2, drilling inoculation 29.4kg/3.3m2, short log inoculation 31.7kg/3.3m2, therefore drilling inoculation could increase by 25% and short log inoculation 35%, In addition, management cost was also saved.
        68.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고의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의한 접종량(接種量)의 증가(원목(原木) m3 당 3.0kg - 6.0kg)가 균사(菌絲)의 초기 발육 상태인 활착(活着), 만연(蔓延)과 숙도(熟度) 그리고 우실체(宇實體)의 생산성(生産性)인 5년간 발생량과 개체당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의한 종균(種菌) 접종량(接種量)의 증가는 종균(種菌) 활착율(活着率)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균사(菌絲) 만연율(蔓延率)과 균사(菌絲) 숙도율(熟度率)을 증가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자(字) 실체(實體)의 발생량도 증가되어 대조구인 골목m3당 접종량(接種量) 3.0kg구의 발생량은 16.34kg/m3이었으나 접종량(接種量) 6.0kg구에서는 7.7% 증가되어 17.60kg/m3 이었다. 2.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哉培)에 의한 종균(種菌) 접종량(接種量) 증가는 자실체(字實體)의 조기 발생을 나타내었다. 자실체(字實體)의 2년차와 3년차의 건조 중량 발생량은 대조구인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3.0kg구는 5년간 발생량의 62.7%인 10.25kg/m3인 반면 비교구인 접종량(接種量) 5.0kg구-6.0kg구는 74.0%-82.7%인 12.82kg/m3-14.56kg/m3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4년차와 5년차에서의 발생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3. 표고 자실체(字實體)의 월별 발생량은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자실체(字實體)는 5월-6월과 8월-9월 동안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발생량은 당해 년도 발생량의 11%-33%과 16%-28%를 각각 차지 하였다. 4.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따른 접종량(接種量)의 차이에 의한 자실체(字實體) 개체당 평균 중량(건조 중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4.0kg구가 1.63g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69.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액재배에 있어 근류균의 접종, 양액중의 질소농도 및 재식밀도 등의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추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에 미치는 처리효과는 생육중기 (V7, Stage)에 있어서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개화기미(R3 Stage)에서는 그 효과가 증대되어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경장이 증대되었는데 그 정도는 황금콩과 장백콩에서 더욱 컸고 근류비착생계통에서는 현저히 떨어졌으며 질소시용 또는 195ppm까지의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대되었고 밀식에 의하여 증대되었다. 2. 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은 생육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건물중이 증대되었는데 그 효과는 무질소구에서 더욱 현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에 의하여 장백콩과 팔달콩에서는 건물중이 계속 증가되었으나 황금콩과 Clark에서는 질소증시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건물중이 현저히 감소하여하였는데 특히 팔달콩에서 더욱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3.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은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무질소 또는 저질소 수준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 및 밀식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이 증가되었다. 4. 폿트당 수량이 미치는 근류균의 접종 효과는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증수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현저히 낮았으며 질소증시효과도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증수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밀식에 의한 증수효과도 황금콩에서는 현저하였으나 기타 품종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5. 개체당 수량도 황금콩과 팔달콩에서 근류균 접종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고 질소시용효과는 밀식조건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소식조건에서는 근류균을 접종하였을 때는 증수되지 않았으나 근류균을 비접종하였을 때는 팔달콩과 Clark에서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개체당 수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6. 수량은 건물중,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 그리고 개화기미의 근류수와,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은 경장, 건물중,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그리고 줄기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각각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70.
        198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과목초의 근류균 접종방법 개선책의 일환으로써 3수준의 근류균농도, 즉 10, 20, 30%; 3종류의 접착제 즉 gum arabic, methyl cellulose 및 carboxy methyl cellulose; 그리고 4종류의 석회와 calcium carbonate를 포함한 5종류의 피복재료를 사용하여 근류균을 접종한 후에 plate count법으로 생존하고 있던 근류세포수를 측정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ew Zealand산 peat slurry의 근류균을 사용할 경우 근류균을 10%에서 3.5 109 개로써 표준에 가까운 근류균수를 확보할 수 있었다. 2. 접착제로서 gum arabic은 40% 용액에서 methyl cellulose는 5% 용액 그리고 carboxy methyl cellulose는 4% 용액으로 사용하였을 때 최대착생수를 나타내었으나 그 중에서 methyl cellulose 5% 용액이 적합한 것으로 보였다. 3. 피복재료로서 치과용석회(Lime A)는 타재료에 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71.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성토양에서 Alfalfa에 대한 근류균의 접종효과를 밝혀 우리나라에서 Alfalfa의 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0년 포장에서 Alfalfa 품종 Luna를 공시품종으로 국내에서 분리한 근류균(Rhizobium meliloti)을 공시균주로 하여 근류근 접종과 석회시용의 효과를 단보당 농용석회 100, 300, 600kg의 3가지 석회 수준에서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근류균 접종구에서는 석회의 시용이 생육초기 근류형성량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위근류의 형성이 거의 없었으나 무접종구에서는 생육 초기부터 위근류가 형성되었다. 2. 석회시용 효과는 생육초기부터 나타났는데 석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토양 pH, 초장, 근장, 지상부 건물중, 뿌리의 건물중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예취기별 건물수량은 근류균 접종 및 석회시용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특히 근류균 접종구에서 석회시용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연간 총수량은 무접종구가 약 83kg/10a, 접종구가 약 286ks/10a으로 근류균 접종에 의해 3배 정도의 수량증대를 보였다. 4. 식물체내 전질소함량은 근류균 접종에 의해 잎이 4.0~4.5%, 줄기가 1.5~l.8% 그리고 뿌리는 1.7~l.9%정도로 헌저히 증가되있으며 근류형성률이나 석회시용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72.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falfa에 대한 국내분이 근유균의 유효성과 효과적인 근유균 접종방법을 밝히고져 배지상에서 이들 균주의 근유형성 및 질소고정능력을 검토한 다음 이들 균주에 3가지 종자접종방법을 적용하여 사경재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유균 접종에 따른 근유의 형성은 접종 2주후부터 볼 수 있었고 유묘의 생장은 대조구보다 현저히 증가되있으며 질업처리구(70ugN/ml)와 차이가 없어 두 균주는 모두 유교균주로 평가되었다. 2. 두 균주 모두 Broth-vacuum 방법으로 접종한 것은 근규의 형성은 있었으나 실험기간 중 유묘의 생장에 있어서는 무접종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3. Peat & lime pelleting 방법은 두 균주 모두에서 근유형성과 유묘생장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나 Peat-adhesive 방법은 A1 strain 에서 만 효과적이었다. 4. 근유의 무게와 지상부 건물중 그리고 근유의 무게와 근중사이에는 두 균주 모두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73.
        197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 자반병에 대하여 저항성인 계통 선발을 위한 Mass-screening technique를 확립하고 이 종자잡종법을 이용하여 수집재내종 및 각 품종의 저항성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숙성인 수집재내종 50계통의 자반병 자연감염률과 종자접종에 의한 자주빛 색소 형성률간에 나타난 정의 상관관계는 r=0.121로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이 종자접종법은 효과약인 Mass-screening technique으로서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육종에서 자반병저항성 계통선발에 이용가능성이 높았다. 2. 자반병 자연감염률이 극히 낮은 만숙성 수집재내종 85계통은 종자접종에 의하여 대부분이 이병성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포장에서의 만숙계통의 저항성이 유전적인 특성이기 보다는 병해도피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3. 대두품종의 저항성검정에서 우리나라 대두 36품종을 비롯하여 일본과 대만의 각 16품종, 베트남 11품종, 필리핀 8품종 및 미국 38품종 등 대부분이 이병성이였고 미국품종인 Sac, Hill, Harosoy등이 비교적 저항성 이었다. 4. 각 지역에서 분리한 대두 자반병균 244 isolates 중에서 배지에서 자주빛 색소를 형성하지 않는 두 균주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암조건에서는 감자한천배지에서, 광조건에서는 오트밀한친배지에서 자주빛 색소형성이 잘 되었으며 배지에서의 색소형성 정도는 종자에서의 병원성과 밀접한 상관이 있었다.
        74.
        197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뉴지랜드의 황갈색 고원 토양에 있어 Lucerne의 근류형성 및 생육에 미치는 근류접종, pelleting 및 석회시용의 효과를 시험코저 5개 수준의 종자 처리(블접종, 접종, 접종 석회 pelleting, 접종인산 백운석 50/50 pelleting, 접종활석 pelleting과 석회시용(25kg/10are)을 비교하고 그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성토양에서 Lucerne의 효과적 근류 형성에는 석회시용과 종자의 근류균 접종 및 pelleting이 필요하다. 2. 접종 종자를 적당한 재료로 싸면 근류헝성을 좋게한다. 3. Lucerne의 종자 pelleting은 석회시용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다. 4. 창갈색 고원 토양에서는 석회분말이 좋은 pelleting재료가 된다. 5. 종자에 접종하지 않거나 pelleting을 하지 않은 종자의 파종시는 석회시용이 효과적이다. 6. pelleting 종자 사용은 석회시용에 소요되는 품과 경비를 절감시킬 것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