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

        62.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testicular sperm motility following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such as human follicular fluid (hFF) and temperature. Testicular tissues obtained from azoospermia (n=21) were minced into small pieces by blade and recovered sperm suspension were cultured in Ham's F10 with or without 40% hFF at different temperatures (Group I: 37/with hFF, Group II: 32/withGroup III: 37/without, Group IV:32 /without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 were monitored during culture for 48 hours. Initial motility of testicular sperm was 10.91.9%. After 24 hours culture, sperm motility was 23.52.1% (Group I), 8.11.1% (Group II), 10.4 1.4% (Group III) and 4.00.8% (Group IV), respectively. After 48 hours, the motility had been changed as 322.3% (Group I), 14.31.7% (Group II), 5.3 1.4% (Group III) and 4.30.9% (Group IV). In hFF group (I and II), sperm motility of group I cultured at 37 was higher than those of group II at 32. But, sperm viability of group I cultured at 37 was lower than those of group II at 32 (54.44.1% vs. 59.43.7%) after cultured for 48 hours. We acquired the best motility of testicular sperm when performed in vitro culture for 48 hours in hFF supplemented medium at 37. Increase of sperm motility by in vitro culture could be useful tool fur human TESE-ICSI program.
        4,000원
        63.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자의 동결보존을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 목적은 동결과정에서 최소한의 손상으로, 응해 후 최대한 높은 활력도의 정자를 얻는 것이다 정자가 난자와 수정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생존성과 운동성을 유지해야 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정자의 진진 운동성과 첨체의 정상 여부 및 형태 검사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사람 정액을 동결보존 할 때 semi-programmable freezer를 이용한 완만동결 방법과, 액체질소의 vapor를 이용한 급속동결 방법이
        4,000원
        6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방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약재중의 하나인 녹용을 정자의 처리에 있어 녹용약침액 상태로 배양액에 첨가 후 정자에 미치는 영향을 운동성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다. 정상정액군에서는 Ham's F-10 배양액에 0.3% BSA가 첨가된 배양액과 Ham's F-10 배양액에 0.3% BSA와 녹용약 침액이 같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24시간 배양한 정자의 운동성이 높았으며, 48시간동안 배양 후의 운동성은 BSh와 녹용약침액이 같이 들어간 경우에서 다른
        4,000원
        66.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 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자동결 시 straw size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희석액은 Tris-citric acid extender (Tris-buffer)의 기본용액에 20% Egg-yolk, 8% glycerol, 1% Equex STM paste등을 첨가하였으며, 당 성분으로는 monosaccharid
        4,000원
        69.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ysteine and glutathione on the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of human spermatozoa at the sperm processing in vitro.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medium containing cysteine and glutathione, we measured the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at 0.5 h and 24 h. 1.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0.5 h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the medium containing 0, 1, 5, 10 mM cysteine, curvilinear velocity (VCL)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ontrol than that in all treatments. And straight-line velocity (VSL) was high at 1 mM and average path velocity (VAP) was low at 5 mM and 10 mM. But the motility (MOT) and morphology (NOM)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all treatments.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24 h, the MOT was significantly high in treatment groups (58.9, 74.4 and 62.3%),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28.7%) and the VCL was also high in treatment groups (31.4, 37.9, and 34.0 /s),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21.3 /s). The VSL (18.4, 21.7, and 18.9 /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10.7 /s) and the VAP (20.3, 24.7, and 21.4 /s) in treatments was also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12.6 /s). The NOM was no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2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0.5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the medium containing 0, 1, 5, 10 mM glutathione, the MOT, VCL, VSL, VAP, and NOM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24 h, the MOT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s (82.9, 83.6, 83.4%) than in control (51.1%) and the VCL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s (50.9, 51.3, and 49.4 /s) than control (34.1 /s). The VSL was also higher in treatment (17.1 /s) and the VAP was also higher in treatment groups (30.1, 32.5, and 29.7 /s) than in control (19.8 /s). The NOM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4,000원
        71.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ophylline, pentoxifylline and heparin on frozen-thawed Hanwoo sperm for enhancing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 Frozen-thawed semen collected from one bull was treated in TALP(tyrode-albuminlactate-pyruvate) containing varous concentrations of theophylline and pentoxifylline. After incubated at 5% CO2 in air atmosphere for 6 hours, the motility of sperm after the treatments was characterized by CASA(computer aided semen analysis) system. When monitored notility(MOT) and curvilinear velocity(VCL), theophylline and pentoxifylline exerted their optimal a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30 mM and 3 mM, respectively. No difference of sperm motility was observed when the sperm was treated with both substances compared with a single treatment of each substance. Comparison was then made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theophylline and / or pentoxiophylline on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ignificant treatment effects of each substance, high MOT and VCL values were detected in sperm treated with theophylline. In the case of sperm viability examined by an eosin-nigrosin staining, however, a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after the combined treatment of theophylline+pentoxyphilline than after the treatment with heparin alone or no treatment(P<0.05). In conclusion, theophylline, pentoxiphylline or heparin can be used for enhancing the motional characteristics and viability of frozen thawed Hanwoo seme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ubstances, theophyline may be useful in the artificial insemination system, which requires vigorous sperm motility. While, heparin supporting sperm viability in vitro can be effectively used for improving in vitro-fertilization system.
        4,000원
        73.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같은 천남성과에 속하면서도 정유의 함유성분 및 함량이 서로 다른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가 토끼 적출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점, 또 어떠한 작용양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고저 carbachol pilocarpine, histamine 및 barium chloride등과의 상호작용을 비교,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는 모두 토끼 적출장관 운동을 이완시켰으며,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이완정도는 현저하였고, 장관운동의 이완되는 정도는 두 정유 모두 같은 농도에서는 거의 비슷하였다. 2. ED50에 해당하는 농도는 수창포 정유는 0.0045% 이었고, 석창포 정유는 0.0035%이었다. 3.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에 의해 이완된 토끼의 적출장관은 carbachol pilocarpine, barium chloride에 의하여 정유 투여전의 상태로 회복하였으나, histamine에 의해서는 부분적인 회복을 보였다. 4.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는 carbachol pilocarpine, histamine 및 barium chloride에 의하여 수축된 토끼의 적출장판을 이완시켰다. 5. 이상의 결과로 보아서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는 다같이 향신경성작용 및 향근육성작용에 의해 토끼 적출장관 운동을 이완시킨다고 사료된다.
        4,800원
        76.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oline과 choline esters인 acetylcholine, methacholine, carbachol, bethanechol이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각 약물의 값을 산출하여 각각 비교를 하였다. 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은 이었고 값은 2.619이었다. Acetyl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은 이었고 값은 5.154이었다. Metha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은 이었고 값은 6.045이었다. Carbachol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은 이었고 값은 6.244이었다. Bethanechol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은 이었고 값은 5.480이었다. Choline esters는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대하여 수축을 일으켰으며 각 약물의 potency의 순서는 carbachol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methacholine, bethanechol, acetylcholine, choline의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78.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에서 얻어지는 정유의 한 성분으로 화학구조가 유사한 anethole, eugenol, isoeugenol, safrole 및 isosafrole이 위액분비 및 위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액분비는 rat를, 위운동은 비둘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 anethole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 및 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비량이 각각 , 및 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70.8%, 41.0% 및 12.2%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2. 1% eugenol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 및 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비량이 각각 , , 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77.9%, 39.1% 및 37.6%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3.1% isoeugenol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 및 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바량이 각각 , , 및 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53.6%, 46,0% 및 33.4%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4.1% safrole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 및 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바량이 각각 , , 및 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2.1%, 36.2% 및 13.0%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5.1%의 isosafrole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 및 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비량이 각각 , 및 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86.3%, 67.2% 및 38.6%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이들 다섯가지 정유들의 1% 유제용액을 각각 비둘기의 체중 100g당 를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비둘기의 위운동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이들 다섯가지 정유 모두는 rat의 위액분비를 억제하며, 비둘기의 위운동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알았다.
        4,000원
        79.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에서 얻어지는 정유의 한 성분으로 화학구조가 유사한 anethole, eugenol, isoeugenol, safrole 및 isosafrole이 토끼 적출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potency를 알아 보고 또 어떤 작용 양식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가를 알아보고 carbachol, pilocarpine, barium chloride 및 histamine 등과의 상호작용을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화학구조가 유사한 다섯가지 정유들을 단독 투여하였던 바 각각 억제 정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토끼 적출장관 운동을 억제시켰으며 그 potency는 isoeugenol>isosafrole>eugenol>safrole>anethole의 순으로 그 값은 각각 4.22, 4.18, 4.17, 4.15 및 3.82이었다. 2. 실험에 사용한 정유 모두가 carbachol, pilocarpine, barium chloride 및 histamine에 의하여 수축된 장관을 이완시켰다. 3. Anethole에 의하여 이완된 장관은 carbachol, pilocarpine, barium chloride 및 histamine에 의하여 모두 투약전과 같은 상태로 회복하지 못하였으며 eugenol, isoeugenol, safrole 및 isosafrole에 의하여 이완된 장관은 carbachol, pilocarpine 및 barium chloride에 의하여는 투약전의 상태로 회복하였으나 histamine으로는 부분적인 회복을 나타내었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서 실험에 사용한 정유들은 향신경성(neurotropic) 및 향근육성(musculotropic), 양쪽에 작용하여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을 억제시킨다고 생각된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