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

        62.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method for Meloidogyne spp to medical herbs by applied of nematophagous fungi, Arthrobotrys spp, Fusarium spp, and egg parastic fungi, Paecilomyces lilacinus were applied for root-knot nematodes on medicinal herbs, Paeonia albiflora, Codonopsis lanceolata, Cnidium officinale.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pot experiments, The no. of root gall and egg mass and larvae of Cnidium officinale.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pot experiments. The no. of root gall and egg mass and larvae of Cnidium officinale, Codonopsis lanceolata, Paeonia japonica lowered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compare to untreated control plots. But A. thaumasia F. oxysporum treated plots were less effective. Effect of egg parasitic fungi and chemical treatment at divided root of Paeonia japonica after sterilized in pot were increased in the fresh weight, root weight, control effect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as chemical, Carbo G treated plots compare to untreted control plots. I field experiment, the number of root gall, egg mass and nematode density of Paeonia were also suppressed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It was very effective continuous 2 years and transplanting time on Paeonia japonica infested soil with the M. hapla in field in both region, Chillgok and Euisung treated P. lilacinus as chemical treated plots. Soaking effect of insecticide for Paeonia japonica at diving shoot before transplating in pot were effective for 12hours immersion into 1,000 ppm of Benlate T + Mep Ec, Benlate T + Fenthion EC in pot and field Experiment. In the Examination of fungi activily on P.japonica field 1 year after soil treatment, Number of spore of P. lilacinus were 1,000~1,300 in 3 region except Euisung.
        4,000원
        63.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자리파리와 담배거세미나방을 방제할 목적으로 곤충기생성 선충, S. feltiae와 H. heliothidis를 이용, 실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자리 파리에서 S. feltiae를 유충 한 마리당 30,60,120,240마리를 접종한 모든 구에서 80-100%의 높은 치사율을 얻었고, H. heliothidis 10,20,40,80마리 접종 구에서도 63.3-100%치사율을 얻었다.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 S. feltiae는 유충한마리당 50,100,200,400마리를 접종하여 3령층은 전 선충 접종구에서 100%의 치사율을, 4령충은 76.7-100%, 5령충은 43.3-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어 접종량과 령게에 따라 치아율에 차이를 보였다. H. heliothidis는 20,40,80,160마리를 접종하여 3령층에서는 67.7-100%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4령충과 5령충에서는 36.7-90%, 3.3-90%의 치사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먹이인 케일에 처리한 경우 S. feltiae는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H. heliothidis는 효과가 현저히 검소하였다. 그러나 3령충에서는 효과가 있어 3령충이 가장 방제 적기이며 감수적 영기임이 확인되었다.
        4,000원
        64.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제작물(經濟作物) 주산지(主産團地)의 식물기생선충 종류(種類), 분포상태(分布狀態) 및 기생선충 밀도(密度)에 따른 피해정도(被害程度)를 파악(把握)코자 채 및 깔데기법(法)으로 마늘, 감자 등 18개(個) 작물(作物) 3,226포장(圃場)을 조사(調査)하여 1. 16속(屬)(genus)의 기생선충을 분류(分類)하였음. 2. 마늘의 구근선충은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81% 이며 이중 마늘 1구당(球當) 30마리 이상의 선충이 검출(檢出)된 포장(圃場)은 96%로 이러한 포장에서는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3. 고추, 오이, 토마토, 땅콩에는 뿌리혹선충이 주요(主要) 기생선충이며,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높을 뿐더러 선충밀도가 토양(土壤) 100gr당(當) 100마리 이상되는 포장(圃場)이 각각 35%, 17%, 28%, 31%로 이러한 지역(地域)은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4. 고추에 있어서는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가, 참깨에서는 Helicotylenchus dihystera, 사과에는 Pratylenchus vulnus, P. penetrans, 포도에서는 Meloidogyne hapla, 뽕나무에서는 Paratytylenchus projectus, P. aciculus, P. morius, Meloidogyne arenaria, Helicotylenchus dihystera 가 각각 주요(主要) 선충이었다. 5. 고추의 경작년수(耕作年數)가 많을수록 뿌리혹선충의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5년(年) 연작시(連作時) 토양(土壤) 200gr당(當) 3,500마리나 되었다.
        4,000원
        65.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장중(貯藏中)에 있거나 제조(製造)된 담배를 가해(加害)하는 주요해충(主要害蟲)인 궐련벌레(Lasioderma serricorne F.)의 유충(幼蟲)에 기생(寄生)하는 궐련벌레살이주머니응애 (Pyemotes tritici L.-F. & M.)는 응애아목(亞目)(Trombidiformes)의 Pyemotidae(주머니응애과(科))에 속(屬)하며 국내(國內)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인삼연초연구소(韓國人蔘煙草硏究所)에서 발견(發見), 분류(分類) 동정(同定)되어졌다. 본종(本種)을 개체사육(個體飼育)하면서 조사(調査)한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과 일부(一部) 생활사(生活史)의 요약(要約)은 다음과 같다. 1. 궐련벌레살이주머니응애는 4개(個)의 배판(背板)을 갖고 있으며 첫째 등판에는 세쌍, 두번째에는 두쌍, 세번째에는 한쌍, 네번째에는 두쌍의 센털이 나있고, 첫째 등판에는 한쌍의 기관(氣管)이 있다. 네쌍의 다리에는 사이판(板)과 두개의 발톱이 있고, 특히 맬 앞쪽 발에는 발달된 발톱이 있다. 2. 수컷이 먼저 태어나며 암컷이 태어나는 즉시 교미(交尾)한다. 암컷이나 수컷은 어미의 복부내(腹部內)에서 성적(性的)으로 성숙(成熟)된 상태로 태어난다. 3. 교미(交尾)가 끝난 암컷은 숙주의 체표(體表)에서 일(日) 이 지나면 새끼를 낳기 시작한다. 4. 새끼를 낳는 기간(期間)은 일(日)이고 한마리의 암컷이 낳는 새끼의 수(數)는 마리였다. 5. 암컷과 수컷의 출생(出生) 직후(直後)의 크기는 같았고 체장(體長)은 , 체폭(體幅)은 이었다. 6. 수컷은 48시간(時間) 이내(以內)에 모두 사망(死亡)하였고 암컷은 자라면서 복부(腹部)는 커져 구형(球型)을 이루며 다 자라면 직경(直徑)이 , 체적(體積)이 가 된다. 7. 복부(腹部)의 직경(直徑)은 숙주체액(宿主體液) 흡즙후(吸汁後) 일(日)경에, 체적(體積)은 일(日)경에 증가폭(增加幅)이 가장 컸다. 8. 새끼를 낳기 시작한 후(後) 4일(日)경에 가장 많이 낳았고 9일(日) 이후(以後)부터는 낳기를 중단하였다.
        3,000원
        66.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기생성 선충을 조사중 Tylenchida 목에 속하는 Aphelenchoides parasaprophilus, Paraphelenchus myceliophthorus, Helicotylenchus belli, Quinisulcius capitatus 등 4종의 우리나라 미기록종을 발견하고 형태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중에 Paraphelenchus 속과 Quinisulcius 속은 우리나라 미기록속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식물기생 선충은 2목 18과 44속 102종이 발견되였다.
        4,000원
        67.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에 기생하는 선충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북 및 충북의 15개시군 총 71개포장에서 재료를 채집하여 선충을 분리 동정한 결과, Aphelenchus avenue, Criconemoides informis, Ditylenchus dipsaci Helicotylenchus pseudorbustus, Heterodera glycines, Hischmanniella imamuri,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Paratylenchus panadus, Pratylenchus thornei, Pratylenchus vulmus, Psilenchus hilarulus, Rotylenchus sp. Tylenchu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 Tylenchorynchus, Tylenchorhynchus, Xiphinema americanm 등 총 8과 14속 18종이 검출되었으며, 그중에 Heterodera glycines가 가장 중요한 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선충의 검출율에 있어서 콩 Cyst선충은 충북이 , 지이 로 충북이 높았고 반면에 뿌리혹선충은 경북 , 충북이 로 경북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포장에 있어서 Cyst선충의 절대밀도는 토양 100l당 200.4이며 상대밀도는 로 가장높게 나타났고, 뿌리혹 선충은 절대밀도가 107.1이며 상대밀도는 로 다음이였으며, Rotylenchus, Tylenchorhynchus, Tylenchus, Pratylenchus, Xiphinema, Aphelenchus등의 순이였다. 피해가 심한 포장에는 콩 Cyst의 밀도가 토양 100ml 당 평균 155개이고 경한 포장에서는 평균 35개로 밀도가 높았으며 수확량은 평균 64.2kg/10a로 209.5kg/10a에 비하여 가 감소되었다. 전피해조사포장에 있어서 콩 Cyst선충수는 수확량, 협중, 협수간에는 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200원
        68.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rvey on potato parasitic nematodes has been undertaken in order to find distribution of the nemic fauna. 41 soil samples were taken from potato fields in Gyeongbug, Gyeongnam and Gangweon provinces. Twenty four species belonging to 16 different genera were identified. Potato cyst nematode, Globodera rostochiensis was not found in the areas. Potato-rot nematode, Ditylenchus destructor and stem nematode, Ditylenchus dipsaci were found from several potato fields and population density high and showed damage to the crops.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minyus, Pratylenchus penetrans, Pratytenchus thornei and Pratylenchus vulnus were found and their population of these four species were high depending on the fields.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la and Meloidogyne incognita were found. M. hapla was found only in Gangweon province and the population density was high. M. incognita was found at Milyang in Gyeongnam province. Spiral nematode, Heticotylenchus digonichus, Helicotylenchus dihystera, Helicotylenchus pseudorobustus, Rotylenchus orientalis and Rotylenchus pini were found. Aphelenchoides saprophilus, Criconemoides informis, Ditylenchus destructor, D. dipsaci, Helicotylenchus digonichus, H. dihystera, Hemicriconemoides intermedius, Meloidogyne hapla, Psilenchus hilarulus, Pratylenchus minyus, and Xiphinema americanum were first found from potato fields in Korea.
        4,000원
        69.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원예에 있어서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의 종류와 분포 그리고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밀도을 알기위하여 경남북 주요 시설원예단지 6개소를 대상으로 총 70개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원예단지에 있어서 조사포장에 대한 주요 식물기생선충의 속별 출현빈도는 Meloidogyne가 로 가장 높고 다음이 Tylenchus , Hirschmanniella , Aphelenchus , Aphelenchoides Merlinius , Pratylenchus 순이였다. 2. 지역별 선충밀도를 보면 Meloidogyne는 남지가 2104마리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밀양이 671마리 삼낭진이 401마리 순이며 Tylenchus는 성주가 57마리로 가장 높았으며 Pratylenchus는 구포가 127마리로 가장 높았고 Aphelenchoides와 Criconemoides는 각각 26마리로 34마리로 삼낭진에서 가장높게 나타났다. 3. 지역별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밀도를 보면 남지는 대대분 고추-오이 작형, 밀양은 고추-배추 작형이었으며 Meloidogyne의 밀도가 가장 높았고 삼낭진은 대부분 딸기-휴작 작형이었으며 Meloidogyne와 Pratylenchus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구포는 공히 토마토-배추 작형이며 Pratylenchus와 Meloidogyne의 밀도가 가장 높고 성주와 유천은 수박-벼, 고추-벼 작형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선충의 밀도가 매우 낮았다. 4. 시설원예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선충은 Meloidogyne와 Pratylenchus이고 다음으로 지역과 작물에 따라서 다르나 Tylenchus, Aphelenchoides, Merlinius, Criconemoides라고 사료된다. 5. 시설원예단지에 있어서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은 총 2목 10과 13속 15종이 발견되었다.
        4,000원
        70.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제주도내 제주시를 비롯한 각 읍 면에서 28종의 기생식물, 42개 재료를 채취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도의 식물기생성선충으로는 2아목 10과 16속 22종이 발견되었으며 속별분포율을 보던 Meloidogyne가 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이 Helicotylenchus로 이었으며 Criconemoides , Tylenchus , Pratylenchus , Neolobocriconema , Aphelenchus , Aphelenchoides , Hirshmaniella , Heterodera , Nothotylenchus , Tylenchorhynchus , Merlinius , Rotylenchus , Discocriconemella , Hernicriconenoides 로 나타났다. 2. 제주도에서 새로 발견된 종은 Nothotylenchus acris, Tylenchorynchus dubius, Merzinius nothus, Pratylenchus minyus. Pratylenchus thornei. Hirshmaniella inmamuri, Rotylenchus robustus, Helicotylenchu erythrinae, Meloidogyne arenaria, Discocriconemella hengsungica, Aphelenchoides besseyi 등으로 2아목 7과 11종이었다.
        4,000원
        71.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생봉인 루비붉은좀벌(Anicetus beneficus)을 1975년 일본에서 도입하여 제주도에 방사시키고 루비깍지 벌레 방제를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한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귤의 주요해충인 루비깍지벌레는 년 1회 발생하였고 부화시류는 6월하순부터 8월초순이었고 부화최성기는 7월 중순이었다. 2. 루비붉은좀벌은 1975년 방사이래 16개 지역에 분포되었다. 3. 루비붉은좀벌의 기생율증가로 루비깍지벌레의 밀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평균기생율은 1975년 1976년 1977년 1978연에는 였다.
        3,000원
        72.
        197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북 전매지청관내 14개조합 산하 51개 포장에서 담배 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포장에 대한 선충의 검출률은 이었다. 2. 선리속별 검출포장수는 Tylenchus가로 가장 높고 다음이 Aphelenchus, Tylenchorhynchus , Meloidogyne , Criconemoides Pratylenchus, Hirschmaniella 의 순이였다. 3. 지역별 선충속별 밀도는 Pratylenchus는 영덕이 43으로 가장 높았고 Tylenchorhynchus는 진보, 금천, 영양, 영천이 46-48로 높았으나 전지역에서 검출되었다. Tylenchus는 영일 408, 김천 372, 상주 281의 순이나 전지역에서 검출되었다. Meloidogyne는 진보를 제외한 전 지역에 나타났으나 금천이 168로 가장 높았다. Xiphinema는 의성이 26으로 가장 높고 다음이 상주 12, 영덕 7의 순이였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담배에 기생하는 선충은 11과 16속 18종이 발견되였으며 이중 12종은 우리나라 담배에서는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3,000원
        73.
        197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32개군에서 125종의 농작물에서 식물 기생성 선충을 조사한 결과 9과 28속 42종을 발견하였다. 그중에 다음 8종은 우리나라 미기록 종이며 이미 발표된 종에 대해서는 특이할만한 형태적인 특징만을 언급하였다. Criconemoides morgensis(Hofmanner & Menzel, 1914). Crossonema(Crossonema) menzeli(stefanski, 1924) Metha & Raski, 1971. Macroposthonia ferniae (Luc, 1959) De Grisse & Loof, 1965. Macrobosthonia rustica (Micoletzky, 1915) De Grisse & Loof, 1965. Neolobocriconema aberrane(Jairajpuri & Siddiqi, 1964) Methat & Raski, 1971. Nothocriconema demani(Micoletzky, 1925) De Grisse & Loof, 1965. Rotylenchus pini Mamiya, 1968. Xenocriconemella macrodora(Taylor, 1936) De Grisse & Loof, 1965.
        4,900원
        74.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urvey the incid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187 soil samples from leguminous plant fields in Chungnam province, Korea were assessed from June to August 2018. As the result, four nematode genera ─ the cyst nematode (Heterodera spp.),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spp.),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spp.), spiral nematode (Helicotylenchus spp.) ─ were detected. Among them, the incidence of cyst nematode was the highest in Taean (73%) and lowest in Hongseong (10%). The cyst nematode was detected from the adzuki and kidney bean fields as well as soybean fields. The incidence of cyst nematode in upland fields was higher than in paddy fields. In addition, the extracted cyst nematodes consisted of two species, which was identified as Heterodera glycines and H. sojae. The incidence of H. glycines (22%) was higher than H. sojae (10%), and a few of the fields (5%) was mixed with two cyst nematodes. This result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that the cyst nematode is the major plantparasitic nematode when controlling the nematodes in soybean fields in Chungnam province.
        75.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cancer activity and potential molecular mechanism of 70% ethanol extracts of branches from Taxillus yadoriki parasitic to Neolitsea sericea (TN-NS-B) against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TY-NS-B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growth of A549 cells. TY-NS-B decreased β-catenin protein level, but not mRNA level in A549 cells. The downregulation of β-catenin protein level by TY-NS-B was attenuated in the presence of MG132. Although TY-NS-B phosphorylated β-catenin protein, the inhibition of GSK3β by LiCl did not blocked the reduction of β-catenin by TY-NS-B. In addition, TY-NS-B decreased β-catenin protein in A549 cells transfected with Flag-tagged wild type β- catenin or Flag-tagged S33/S37/T41 mutant β-catenin construct. Our results suggested that TN-NS-B may downregulate β- catenin protein level independent on GSK3β-induced β-catenin phosphory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Y-NS-B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s for human lung cancer.
        76.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의 자연생태계에 확산되고 있는 외래 기생식물인 미국실새삼의 분포와 그에 따른 생육지의 유형을 구분하여 기주식물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생태계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미국실새삼의 확산 저감을 위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미국실새삼의 분포는 전국적으로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생육지 유형은 경작지변(54.3%), 도로변 나지(41.3%), 인공초지(4.3%) 등 3가지로 구분되었다. 총 37과 95속 119종 10변종 1아종 등 130분류군의 기주식물이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이 4.6%를 차지하고 외래식물은 30분류군으로 전체 기주식물 중 23%로 나타났다. 기주식물의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일년생식물(Th)이 68분류군, 52.3%로 가장 높게 출현 하여 미국실새삼의 생육지가 교란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주식물 중 유용식물을 분석한 결과 총 90분류군으로 기주식물 중 69.2%를 차지하였으며, 식용자원 59(45.4%)분류군, 약용자원 54분류군(41.5%), 공업용과 관상용자원이 13분류군(10%), 초지자원 9분류군(6.9%)으로 확인되었다.
        7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rasitic gap is one of the interesting topics in syntactic literature since its existence depends on a real gap in the sentences. Both English and Korean have parasitic gap constructions, but their syntactic behaviors are a little different. Lee (2010b) discussed how parasitic gap constructions in these two languages are different and provided Combinatory Categorial Grammar (CCG) analyses for the constructions. The operation functional substitu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CG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computational implementation based on Korean Type-inherited Combinatory Categorial Grammar (TCCG) system (Lee, 2010a), which is a combination of Steedman’s CCG and the Linguistic Knowledge Building (LKB) system. Two types of output data will be provided as outputs of the implementation. One is the syntactic parse tree, and the other is the semantic representation. In the parse trees, category combinatorics is encoded. For the semantic representations, Minimal Recursion Semantics (MRS) is adopted, and all the semantic relations are represented in the MRS structure.
        80.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urvey was conducted during April~May 2004 to determine the occurrence and population density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growing fields, in major ginseng growing regions of Chungbuk, Chungnam, Gyeongbuk and Kyongki provinces. The survey revealed presence of eleven species of plant-parasitic nematodes namely, Criconemoides morgensis, Ditylenchus destructor,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incognita, M. hapla, Paratylencgus lepidus, Pratylenchus penetrans, Psilenchus hilarulus, Trichodorus similis, Tylenchorhynchus claytoni and Xiphinema americanum. Frequency and density of each species were highly variable. M. incognita and M. hapla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their infestation observed in 46.3 and 39.4% fields with an average density of 78~254 and 76~211 nematodes per 300 cm3 soil, respectively. Whereas, T. similis and X. americanum were rarely observed; only in 2.3 and 1.8% of surveyed fields and their density was 10~17 and 7~10 individuals per 300 cm3 soil, respectively. They are recorded herewith for the first time from ginseng fields of Korea. In nematode-infestated fields, stunted plant growth with chlorotic leaves, and wilted plants were observed in patch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