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08

        64.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vel eco-friendly adsorbents were prepared through pyrolysis and acid activation of raw almond leaf (RAL) to form almond leaf biochar (ALB) and chemically activated almond leaf biochar (CAL), respectively. The prepared adsorbents were characterized using TGA, FTIR, SEM–EDX, BET and XRD techniques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vestigated. RAL, ALB and CAL were utilized for adsorption of BPB dye from aqueous solution using batch technique under optimum conditions. The optimum dye adsorbed by RAL, ALB and CAL were 92.83, 93.21 and 94.89%, respectively at pH 3, dye initial conc. (100 mg/L), adsorbent dose (0.04 g/25 mL), 60 min contact time and 301 K adsorption temperature. Although, Langmuir maximum monolayer adsorption capacities were found to be 365.36, 535.62 and 730.46 mg/g for RAL, ALB and CAL, respectively, but isotherm conformed to Freundlich model. Kinetic study confirmed suitability of pseudo-second-order model with rate constant 9.33 × 10–4, 9.91 × 10–4 and 12.60 × 10−4 g mg−1 min−1 for RAL, ALB and CAL, respectively. Negative values of thermodynamic parameters (ΔG and ΔH) established sequestration process to be spontaneous and exothermic. RAL, ALB and CAL were discovered to be highly efficient adsorbents that could be used in place of expensive commercial adsorbents.
        4,600원
        65.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딸기 재배는 시설 재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농가의 급액 관리는 재배자의 경험을 토대로 타이머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타이머 급액 방법은 재배 환경, 작물의 생육 단계, 배지 수분 함량 등을 고려하기 어려워 작물을 최적 수준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급액 관리의 정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적산 일사량과 배지 수분함량을 이용한 급액 방법은 작물의 생육 상태에 따라 정밀하게 양액을 공급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코이어배지를 이용 한 딸기 수경재배에서 적산일사량과 배지 수분함량을 이용한 복합 급액 제어와 타이머 제어 급액 방법을 비교하고 복합 급액 제어 시 최적의 적산 일사량 기준을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적산일사량 급액 방법은 외부 일사량을 기준으로 100, 150, 250J∙cm -2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급액하며 배지 수분함 량이 60% 미만이면 강제 급액하고, 1회 급액량은 50mL로 공급하였다. 타이머 제어는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급액을 개시 하는 적산 일사량 기준이 작을수록 일일급액량이 많았으며 100J∙cm -2 기준 급액 시 급액량은 250J∙cm -2 처리구 대비 46% 많았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복합 급액 제어 방법이 타이머 제어보다 높았으며, 100, 150J∙cm -2 처리구에서 지상부 생체중이 높았고 100J∙cm -2 처리구에서 건물중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수량 또한 타이머 제어 방법보다 복합 제어 방법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적산 일사량 기준이 작을수록 초기 수량이 증가하였다. 평균 과중은 타이머 제어 급액 시 가장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딸기의 정밀 급액 관리를 위하여 적산 일사량과 배지 수분 함량 센서를 이용한 복합 제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66.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lgorithm to solve the user equilibrium traffic assignment problem using soft link capacity constraints. This model is used to relax the hard capacity constraints model. METHODS : In the traffic assignment model that imposes the hard capacity constraints, the well-known solution algorithms used are the augmented Lagrange multiplier method and the inner penalty function method. The major drawback of using the hard-capacity constraint model is the feasible solution issue. If the capacities in the network are not sufficient to absorb the flow from the diverged flows through the hard capacity constraints, it might result in no solution; whereas, using a soft capacity constraint model guarantees a feasible solution because the soft capacity constraint model uses the penalization of constraint violation in the objective function. In this study, the gradient projection (GP) algorithm was adapted. RESULTS : Two numer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features of the soft capacity constraint model and the computational performance of the solution algorithm. The results revealed that imposing the soft link capacity constraints can ensure convergence. CONCLUSIONS : The proposed model can be easily extended by considering other traffic assignment models, for e.g., non-additive traffic equilibrium problem, stochastic traffic equilibrium model, and, elastic demand traffic equilibrium problem. Furthermore, the model can exist regardless of the sufficient capacity for each O-D pair to cater to their demands.
        4,000원
        67.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액 pH가 에케베리아 생육과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에케베리아 ‘Perle von Nurnberg’ 품종을 선택하여 미국 유타주 프로보(Provo)시 소재 브리검영대학교 Plant and Wildlife 학과의 연구온실에서 수행되었다. 이 품종에 pH 4, pH 7 및 pH 10 3종류의 양액을 공급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액 pH 4 처리구에서는 초폭이 120.6mm로 pH 10 처리구의 105.3mm 보다 크게 자랐으며 유의성도 있었다. 하지만 엽장, 엽폭, 엽수에 있어서는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pH meter를 통해서 식물체 즙액의 pH 를 측정하였는데 4.5에서 4.7 범위의 값을 보였으며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위의 결과로 양액의 pH는 식물체의 pH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값을 측정하였을 때 pH 4 처리구에서의 적색도(a)는 -4.0이었으며 pH 10 처리구보다 더 녹색을 띠었다. 명도(L)과 황색도(b) 값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HPLC를 통한 안토시아니딘 분석에서는 주로 cyanidin, delphinidin 및 pelargonidin의 함량이 모든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급양액의 pH가 상승함 따라 그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etunidin, malvidin 함량은 미량으로 존재하였으며, peonidin은 분석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양액을 pH 10으로 처리하였을 때 에케베리아의 생육억제와 잎 착색에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8.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NaHA)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를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계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특정 농도에서 최소값(Cmin)을 나타내는 포물선 모양의 그래프를 보여주었다. 이 최소 농도 이상에서 계면장력의 증가는 공기와 물의 접촉면에서 NaHA사슬과 이합체 계면활성제들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형성과 관계있다고 생각된다. NaHA와 계면활성제의 착물결합체에서 하나의 NaHA 음전하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양전하 비율을 보면 약간 양전하가 우세하나, 전체적으로 전하의 균형은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NaHA/이합체 계면활성제의 착물결합체에서 계면활성제 농도와 점성도의 관계가 비 선형성을 나타내는 것은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이 비 선형성은 착물체의 성장에 따른 크기 증가와 Cmin 농도 이상에서의 수축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4,000원
        69.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such as water treatment, water reuse, and seawater desalination using CDI (Capacitive deionization) technology. Also, applications like MCDI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FCDI (Flow-capacitive deionization), and hybrid CDI have been actively studied.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s by an experiment on the TDS (Total dissolved solids) removal characteristics using MCDI module in aqueous solution. As a result of the TDS concentration of feed water from 500 to 2,000 mg/L, the MCDI cell broke through faster when the higher TDS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TDS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flow rate, 100 mL/min was stable.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sorp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DS concentration and method of backwash water used for desorption. As a result of using concentrated water for desorption, stable adsorption efficiency was shown. In the case of the MCDI module, the ions of the bulk solution which is escaped from the MCDI cell to the spacer during the desorption proces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oncentration of ions during desorption. Therefore, the MCDI process can get a larger amount of treated water than the CDI process. Also, prepare a plan that can be operated insensitive to the TDS concentration of backwash water for desorption.
        4,000원
        70.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pergillus flavus (A. flavus) and Aspergillus fumigatus (A. fumigatus) are the main fungi that cause stonebrood in honey bees. Additionally, these fungi cause the declines of honey bee population and the economic loss in the beekeeping industry.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a disinfectant, composed to chlorine dioxide (10%, w/v) and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12.5%, w/v), was evaluated against A. flavus and A. fumigatus. A fungicidal efficacy test by broth dilutio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lowest effective dilution of the disinfectant following exposure to test fungi for 30 min at 4°C. The disinfectant and test fungi were diluted with low and high organic matter (OM) suspension according to treatment condition. On low OM condition, the fungicidal activity of the disinfectant against A. flavus and A. fumigatus was all 2.0 fold dilutions. On high OM condition, the fungicidal activity of the disinfectant against A. flavus and A. fumigatus was all 1.25 fold dilutions. The recommended dilution ratio of the disinfectant in low and high OM was 1.6 and 1.0 fold dilution, respectively. As the disinfectant possesses fungicidal efficacy against A. flavus and A. fumigatus, the disinfectant can be used to prevent the stonebrood in honey bees.
        3,000원
        7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yopreservation is a widely-used efficient means of long-term sperm preservation. However, unlike other types of semen, cryopreserved boar semen has reduced fertility and the efforts continue to optimize post-thawing sperm recover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various washing solutions (Hulsen solution, labmade DPBS and commercial DPBS) on post-thawing porcine sperm kinematics (CASA system), viability (SYBR-14/PI) and acrosome integrity (PSA/FITC).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washing-centrifugation on frozen-thawed semen kinematics. The results indicate that type of washing solution and post-thawing centrifugation alters parameters linked to sperm quality (total motility, progressive motilit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Significantly higher (p < 0.05) motility and progressive motility were obtained when cryopreserved semen was processed with Hulsen solution. The postthaw percentage of live and intact acrosomal sper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Hulsen solution) as compared to other groups. Following thawing-centrifugat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otility and progressive motility in group 1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 latter two DPBS groups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Taken together, Frozen-thawed spermatozoa motility, acrosome integrity and viability can be affected by the type of washing solution used. Moreover, centrifugation of frozenthawed semen has an unfavorable effect on total motility and progressive motility.
        4,000원
        7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TAB)에 의한 크레졸 이성질 체의 가용화에 미치는 치환기, 온도 그리고 NaCl과 n-부탄올과 같은 첨가제의 효과를 UV-Vis법으로 측정하였다. 가용화상수(K8)값은 o-크레졸<m-크레졸<p-크레졸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온도의 증가에 따라 이들 K8값은 감소하였다. 크레졸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하여 계산한 ΔG0값과 ΔH0값은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ΔS0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ΔG0값은 n-부탄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그러나 NaC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더욱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크레졸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는 엔탈피와 엔트로피가 동시에 기여하고 있으며, 또한 크레졸분자들이 가용화되는 위치는 미셀의 표면이나 palisade층에서 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4,000원
        7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칭과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두 분야의 철학, 관점, 내용에서의 맥락과 공통점을 고찰하고 코칭과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어떻게 코칭 분야에서 실제로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칭과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핵심적인 주제를 탐색하여 핵심 개념을 구축하였다. 또한 코칭의 철학과 방향에 주요한 근거가 되는 개정된 ICF 핵심역량 8가지 주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코칭과 해결중심 단기 상담의 접점을 찾고 이를 변증법적으로 통합하여 모델을 구축했다. 연구결과 코칭과 해결중심 단기 상담은 ‘자원 발견’, ‘고객 중심의 협력적 관계’, ‘목표 중심’, ‘변화를 달성하기’라는 4가지 핵심 주제로 도출되고 있음을 확 인했다. 또한 코칭과 해결중심 단기상담을 활용한 임상적 증거의 교류와 활용 가능성,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철학과 코칭의 체계적 고찰을 활용한 가족 및 다 양한 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코칭의 확장, 예방과 교육적 측면에서의 코칭과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간 학문적 활용,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모델에 근거한 질문의 활용적 측면을 고찰하고 논의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5,700원
        78.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sorption characteristics of SRCM 120569 biomass on anionic Congo red (CR) dye. SRCM 120569 strain isolated from Korean turbid rice wine (makgeolli) was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e analysis as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licheniformis SRCM 120569 (Genbank Accession No. MW819861) showed superior CR dye biosorption capacity in an aqueous solution. Maximum adsorption capacities of 61.2 and 133.1 mg/g were obtained at pH 3.41 and 0.01 g/50 mL dried cell dosage, respectively. The CR dye adsorption properties by the Bacillus licheniformis SRCM120569 strain were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point of zero charge (pHpzc) analysis, and phylogenetic analysis. The biosorption isotherm and kinetic models are well described with the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and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