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

        6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raeocoris brevis Knight (Hemiptera: Miridae) is a generalist predator and is a key natural enemy in pear orchards in the northwestern United States. Although D. brevis undoubtedly contributes to the regulation of major pear pests, pesticides often disrupt its activity and reduce its effectiveness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 temperature-dependent stage-structured matrix model was developed to analyse the population dynamics of D. brevis influenced by insecticides. In this study, impacts of acetamiprid on field populations of D. brevis were analysed. The age class of D. brevis was categorized into four stages: eggs, small nymphs (1st to 3rd instar), large nymphs (4th to 5th instar), and adults. Probabilities for each element in the projection matrix were estimated using published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al data of D. brevis. Transition probabilities from an age class to the next age class or the probabilities of remaining in the age class were obtained from development rate function of each stage (age classes). The fecundity coefficients of adult population were the products of adult longevity completion rate (1/longevity) and temperature-dependent total fecundity. Also, direct and indirect residual effects of acetamiprid were incorporated into the model. The model results were much overestimated compared with observed actual data from 25d after model running. Such a discrepancy might be occurred from various reasons such as an intra-species competition, successful fecundity rate, etc. Further,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the model were discussed.
        6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Schizaphis graminum (Rondani) was studied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32.5℃, with 65±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Mortality of the 1<SUB>st</SUB>-2<SUB>nd</SUB> and the 3<SUB>rd</SUB>-4<SUB>th</SUB> stage nymphs were similar at most temperature ranges while at high temperature of 32.5℃, more 3<SUB>rd</SUB>-4<SUB>th</SUB> stage individuals died. The total developmental time ranged from 13.8 days at 15℃ to 4.9 days at 30.0℃ suggesting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faster the development. However, at higher end temperature of 32.5℃ the development took 6.4 days.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 and effective accumulative temperatures for the total immature stage were 6.8℃ and 105.9 day-degrees, respectively and the nonlinear shape of temperature related development was well described by the modified Sharpe and DeMichele model. The normalize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s of developmental period for each life stage were fitted to the three-parameter Weibull function. The attendance of shortened developmental times was apparent with 1<SUB>st</SUB>-2<SUB>nd</SUB> nymph, 3<SUB>rd</SUB>-4<SUB>th</SUB> nymph, and total nymph stages in descending ord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 ranged between 0.80 and 0.87.
        4,000원
        6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studies of two aphid species, A. egomae and A. gossypii occurring in green perilla greenhouse were conducted at 15~35℃, and 16:8 (L:D h) of light period in the laboratory. The mortality of two aphid species was high in young stages (1st and 2nd). In A. egomae, the mortalitiy increased with increasing and decreasing temperature: the mortalitie at 15℃ and 35℃ were 22.3% and 15.6%, respectively. While the mortalities of A. gossypii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mortality at 35℃ was 50.0%.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A. egomae and A. gossypii ranged from 20.8days to 5.4days and from 22.6days to 9.1days at 15℃ to 30℃ of temperature resion, respectively, and were 7.2days and 10.7days at 35℃ for each species.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s for total nymphs of A. egoame and A. gossypii were 9.9℃ and 4.9℃, respectively and an effective degree-days (DD) for the developmental completion of total nymph were 108.0 DD for A. egomae and 221.2DD for A. gossypii. In green perilla greenhouse, the occurrence period of A. gossypii was earlier about 15 days than that of A. egomae. When the occurrence period of two aphid species was estimated by degree-days based on lower threshold temperatures, A. gossypii occurred earlier than A. egomae in the field. A. gossypii occurred from early April and showed dominant position to late May compared with A. egomae. Whereas, A egomae started to occur from mid April and then were abundant after late May followed by abrupt population crash around late July.
        4,000원
        69.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의 성충수명, 산자수는 15-32.5, 습도는 , 광주기는 16L: 8D조건에서 조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를 기준으로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서 수명이 길어지고 산자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에서 산자수가 61.8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와 다르게 성충의 일일 출산 수는 까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고(일일평균 5.6마리) 이후 감소하였다. 온실에서 성충수명은 20.0일, 산자수는 59.6마리로 의 항온조건보다 수명은 길고 산자수는 더 많았다. 목화진딧물의 생명표를 작성한 결과 순증가률(Ro)은 에서 54.9이였고, 내적자연증가률()과 기간증가률()은 에서 0.5와 1.6으로 최고 값이었고, 배수기간(DT)과 평균세대기간(T)은 에서 1.4와 6.8로 가장 작았다. 따라서 이들 수치를 통해 보았을 때 목화진딧물이 생활사를 완성하는데 최적 조건은 라 생각한다.
        4,000원
        7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 발육실험은 15-35, 습도는 60-70%, 광주기는 16:8 (L:D h)에서 수행 하였다. 진딧물 약충 사망률은 초기 1-2령의 사망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온도의 상승에 따라 사망률이 높아져 32.5에서 36%였으며, 35에서는 1-2령의 사망률이 44%, 3-4령이 56%로 이 온도에서는 진딧물의 발육이 이루어지지 많았고, 3-4령의 사망률이 1-2령의 사망률보다 높게 나타난다. 전체약충의 온도별 발육기간을 보면 15-3까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발육기간이 11.5에서 4.6일로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고온의 영 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는 32.5에서는 오히려 발육기간이 5.5일로 길어졌다. 발육영 점 온도는 5.이였고, 유효적 산온도는 106.8일도였다. 온도별 발육율은 변형된 Sharpe와 DeMichele의 비 선형 모형 에 잘 적합되었다.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표준화하여 누적시킨 값들은 3개의 변수를 갖는 Weibull function에 적합되었다.
        4,000원
        71.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루깍지벌레 방제적기 예측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포장에 서 가루깍지벌레 발생시기 조사 및 온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으며 각 발육단계 전이(우화)모형 을 작성하였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1세대 6월 중하순,2세대 8월 중하순,3세대는 10월 하.순으로 수원지방에서는 연 3회 발생하였다. 가루깍지벌레 각 발육단계의 발육기간은 까지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 온도에서는 증가하였다. 발육영점온도 추정결과 알 14.5, 1령 약충+2령 약충 8.4, 3령 약충 10.2, 산란전기간 11.8, 그리고 1령 약충부터 산란전까지는 10.1 이었다. 발육완성을 위한 적산온도(DD)는 알 105 DD, 1령 +2령 315 DD, 3령 143 BD, 산란전기간 143DD이었다. 알부터 산란기까지 필요한 적산온도는 599DD이었다. 생물리적 발육모형과 발육완료시기 분포를 나타내는 Weibull함수를 이용 가루깍지벌레의 특정 발육단계에서 다음 발육단계로 전이되는 개체수의 비율을 추정하는 발육단계 전이모형을 작성하였다. 1령부터 산란전기간까지 적산온도를 이용하여 성충발생 세대별 50%산란시기를 예측한 결과 Mean-minus-base 추정법을 사용한 경우 실측일과 비교하여 1992년과 1993련 1세대와 2세대 모두 2-3일의 편차를 보였고,Sinewave추정법을 이용한 경우는 1-7일의 편차를 보였다. Rectangle추정법은 0-6일의 편차를 보였다. 발육모형을 이용 일별 발육률을 추정하고 이것을 누적하는 발육률 적산모형의 경우 1세대와 2세대의 성충산란 시기 예측 결과 모두 50%산란시기까지는 1-2일의 편차를 보였다. 매립, 방문 및 생물채취 등은 자제되어야 하며, 갯벌 환경교육 지역전문가 및 갯벌 관리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saturase활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콜레스테롤이 식이에 첨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4 desaturation index (22:46⇒22:56)는 young군에 비해 old군에서 높았으며, elongation index(20:46⇒22:46)는 old군에서 낮았다. 대부분의 elongation과 desaturation 단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3계 지방산의 전체적 elongation-desaturation 단계를 나타내는 products-fatty acid(3)/a-LNA(3) 비율이 old군에서 young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연령에 따른 PUFA 대사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 상에서와 같이, 콩 단백질의 섭취로 흰쥐 혈장 인지질의 ∑MUFA조성은 낮고 ∑SFA 조성은 높아 다른 지질 강화성 분의 섭취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은 old군에서 체내 막조직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PUFA의 합성 특히 3계 지방산의 elongation-desaturation이 증가하여 총 PUFA 조성이 young군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로 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콩 단백질의 혈중 지질저하 기전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은 할 수 없지만, 콩 단백질이 혈장 지방산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혈관의 건강과 관련된 콩의 유익한 효과는 이소플라본과 같은 콩
        4,000원
        7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배를 가해하는 나무이과(Psyllidae) 해충은 배나무이(Cacoosylla pyrisuga)와 꼬마배나무이(C. pyricola) 두 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정확한 생태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꼬마배나무이의 생태를 구명하여 방제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월동생태 및 발생소장, 온도발육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꼬마배나무이는 겨울형 성충태로 배나무 거친 껍질 밑에서 월동하였으며, 월동성충은 2월 중순경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성충과 약충이 배나무 잎이나 과실을 흡즙하면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피해가 발생하였다. 꼬마배나무이의 포장발생 정도는 이상저온이었던 1993년에는 연중 다발생되었고, 한발고온이었던 1994년에는 7월 이후 발생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기온이 평년수준이었던 1995년에는 7~8월에 발생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9, 10월 발생이 다시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꼬마배나무이 알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 20, 25, 30, 에거 각각 13.33, 9.32, 7.82, 6.60, 7.75일 이었으며, 1영에서 5영까지 온도별 발육기간은 15, 20, 25, 에서 각각 33.75, 23.77, 15.21, 17.40일 이었다. 고온영역에서 꼬마배나무이의 발육기간은 증가하였고 사망률도 증가하였다. 또한 온도와 꼬마배나무이 발육율과의 관계를 비서형 발육모형과 선형발육모형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4,000원
        73.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루깍지벌레 월동안 부화시기 예찰모형을 수립하기 위하여 월동알에 대한 온도발육 실험이 수행된다. 5개온도(10, 15, 20, 25, 27)와 채집시기별로 월동알 부화기간을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Wagner 등 (1984a)의 비선형발육모형이 온도별 평균발육률에 대하여 적용되었으며 (=0.9729). 발육영점온도는 15~ 영역에서 얻은 직선회귀식에 의하여 로 추정되었으며, 발육완료를 위해서는 154.14일도가 필요하였다. 적산온도 모형과 발육률전산(Wagner 등 1985) 모형이 부화시기 예측에 이용된다. 적산온도 모형은 평균온도에서 발육영점온도 이상의 온도를 적산하는 방법(Mean-minus-base 추정법), Sine wave 추정법(Allen 1976),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Arnold 1960)을 잉요하여 계산하였다. 50% 부화예측일을 실측일과 비교한 결과 적산온도를 이용하는 경우 Mean-minus-base 추정법은 18~28일, Sine wave 추정법은 11~14일,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은 3~5일의 편차를 보였고, 발육률 적산모형은 2~3일의 편차가 있었다.
        4,000원
        74.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failure mechanisms of polypropylene resin composites filled with calcium carbonate particulates have been studied in the temperature range -50℃ to -50℃ The fillers used are both untreated and surface treated with stearic acid. The impact fracture toughness is evaluated from the impact energy absorbed divided by the uncut ligament area of the specimen. Impact fracture toughness increases as temperature is raised whether the fillers are coated or not. The static fracture toughness of these particular composites is evaluated based on the linear clastic fracture toughness of these particular composites is evaluated based on the linear clastic fracture mechanics. Static fracture toughess de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hether the fillers are coated or not. An extended stress whitened zone are observed through a large number of availabel sites for cavitation/debonding along particle matrix interface and matrix deformation.
        4,000원
        75.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velopmental ecology and temperature-dependent growth model were calculated to develop the Scotinophara lurida control technology, which is mainly affecte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rice cultivation. The survival rate of S. lurida after overwintering in 2019 showed that 167 of 224 survived and the survival rate was 72.8%. Overwintering adult of S. lurida occur in rice fields in mid-June, spawn in early July, and first-generation adults develop in mid-August. In order to determine the temperature-dependent growth model, the growth periods by temperature and development stage were investigated in a incubator at 18, 21, 24, 27, 30℃ and 14L: 10D. The period from egg to adult at the temperature of 18, 21, 24, 27, 30℃ was 119.8, 73.1, 53.5, 39.4, and 82.0 days, respectively. The best development temperature was at 27℃. The regression curve was obtain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growth rate using the Excell program, and the base temperature threshold and effective cumulative temperature for each development stage were calculated. From eggs to 5 nymphs of S. lurida the base temperature threshold was 17.9℃ and the effective cumulative temperature was 380.2 DD.
        7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itotic intervals (τ0) of two consecutive cell divisions and synchronous embryonic cleavage in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18, 20, 22, and 24℃). The color of the fertilized egg was light yellowish. The egg type was demersal and unadhesive. Egg weight was 0.09±0.002 mg. The sizes of unfertilized eggs were smaller than fertilized eggs in major axis and minor axis at 20℃ (p<0.05). The size of the fertilized egg of 18℃ water temperature group at the blastodisc stage was the smallest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other water temperatures group except 18℃ water temperature group (p>0.05). The first cleavage stages at 18, 20, 22, and 24℃ were at 75, 90, 105, and 120 mins, respectively. As water temperature was increased, embryonic development and formation time of the first cleavage furrow were accelerate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τ0 and water temperature for grass puffer (Y=–1.225X+70.05, R2=0.988, n=10, where Y was τ0 and X was temperature). This study confirmed that successful hatching of grass puffer was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Chromosome manipulation will be helpful for this species using cleavage frequency and τ0.
        7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ropylea japonica Thunberg (Coleoptera : Coccinellidae), a predator of aphid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he development times of the egg and immature stages of Propylea japonica were investigated at ten constant temperatures(15, 17.5, 20, 22.5, 25, 27.5, 30, 32.5, 35 and 38±1℃; 14L:10D; 60±5% RH). Development time was longest at 17.5℃.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P. japonica from the time of egg oviposited to adult emergence was 36.9 days at 17.5℃, and it decreased ash temperature increasing. Threshold temperature of development and degree days of the P. japonica from egg to adult were 11.9℃ and 196.0 respectively. The Briere 2 and Lactin 2 modes were best fitted for all development stages. The distribution of completion of each development stage was explain relatively well that 2-parameter, 3-parameter and Logistic model except egg and pupal stage.
        78.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was collected from the Kum River areas of Kangkyung-eup, Nonsan city, Chungcheongnam-do, Korea, from April to June, 2012 and was fertilized in order to observe egg development and temperature-related cleavage rates and mitotic intervals (). The fertilized eggs were separative, demersal and light yellowish with in diameter, and did not contain oil globules. The first cleavage stages were 90 min, 80 min, 60 min and 50 min at , , and , respectively. At higher temperatures, eggs developed faster and underwent further identical development. For Korean bullhead, were min at , min at , min at and min at .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and water temperatures at all points studied (Y=-1.13X+58.15, =0.98, n=30, where Y is and X is temperatur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work will be helpful for chromosome manipulation by use of cleavage frequency data and data in Korean bullhead.
        79.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열전도 역문제의 해를 통해 온도의존적 열전도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온도의존적 열전도도의 추정은 실물모형 화재실험에서 측정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쉴드터널 라이닝의 시간 및 깊이별 온도분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추정된 온도의존적 열전도도는 실험시간이 짧은 시점에서는 상온 영역에서 열전도도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깊이 25mm 위치에서 최대온도가 측정된 실험시간대에서는 온도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변화 및 강섬유 혼입 효과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온도의존적 열전도도 추정 시 가열면 부근에서 최대온도가 측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실험시간을 결정해야 한다. 추정된 열전도도는 유사배합을 사용한 기존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