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2

        6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부여에 위치한 임업화훼단지내의 유리온실에서 아치형재배(Arching method)장미에 피해를 주는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밀도를 엽당 응애수로 조사하였다. 이항표본 조사법은 엽당 점박이응애의 평균밀도(m)와 점박이응애가 T 개체보다 많이 존재하는 엽의 비율()과의 관계를 기본으로 하며, T는 경험적 이항분포모형(ln(m)=+1n(-1n(1-)))에서의 tally threshold 로서, 본 실험에서는 1, 3, 5, 7, 9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표본단위 수의증가는 T와 상관없이 이항분포 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상이한 T에 따라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가 차이가 났으며 T가 증가할수록 정확도가 높아졌다. 본 실험결과 점박이응애의 밀도추정을 위한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T=7인 경우가 최적의 tally threshold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항분포조사법의 검정을 위하여, 동일한 포장의 독립적인 표본을 추출, 조사하였다. 본 실험결과 이항표본조사법을 이용한 상업적 유리온실의 아치형재배 장미해충인 점박이응애 평균밀도 추정에는 T=7인 경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2.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과 캐나다는 한국에 분포하는 잎응애속(Tetranychus)중 범세계적 분포종인 점박이응애(T. urticae Koch)를 제외한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ensis Zacher), 차응애(T. kanzawai Kishida), 뽕나무응애(T. truncatus Ehara)를 검역대항으로 하고 있다. 잎응애속 응애들은 암컷성충으로 월동휴면에 들어가는데 기존의 수컷생색기의 형태를 위주로 한 동정방법으로는 이 휴면태의 암컷을 정확히 동정하기 어렵다. 월동을 위해 사과 과실 꼭지부에 우발적으로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되는 잎응애속 응애들의 월동휴면태에 대한 신속, 정확한 동정법이 수출검역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사과의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와 과수원 주변에서 발견되는 벚나무응애, 뽕나무응애, 차응애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내 cytochrome oxidase subunit I(CO-I) 유전자를 PCR로 증폭하고 증폭된 DNA의 종간 변이를 이용하여 발육영기나 암수에 관계없이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쌍의 primer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일부(680 bp)를 중복되게 증폭하였고 증폭된 유전자는 제한효소 AluI, DdeI, Sau3A 대하여 응애종간 특이적 인식부위를 가지고 있었다. 제한효소에 의해 절단되는 특이적 DNA 단편은 Tetranychus 응애류를 동정하는데 유용한 표식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증폭한 CO-I 유전자내의 제한효소 인식부위에 대한 이들 4종 응애의 유전자지도를 작성하였다.
        4,000원
        63.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한 fenpyroximate의 독성에 비교하기 위하여 농도별로 처리한 강남콩 엽편에 두 종의 자성충과 난을 접종하여 시험한 결과, fenpyroximate는 점박이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6.25~50ppm에서 58~74%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는 처리농도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점박이응애 자성충은 6.25~50ppm에서 32~40%가 잔존하였지만 모두 활동불능되었으며, 산란수도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한 유.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 유.약충의 생존율은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6.25~50ppm에서 16~48%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그러나 점박이응애의 경우는 6.25~50ppm에서 성충태에 이른 개체가 전혀 없었다. 중독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생존율과 산란수 및 차세대의 성비에 실질적인 변화가 없었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농도라 할 수 있는 6.25~12.5ppm의 농도는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에서 긴텅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밀도비율을 조절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4.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tradifon에 저항성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계통을 얻기 위하여, 1995년 3월 경북 안동의 농가 사과원에서 채집한 월동성충을 실험실에서 Tetradifon으로 4개월 동안 누대 도태시켰다. 5회 도태시킨 계통(Td5계통, 저항성배수 371.8배)으로써 Tetradifon 저항성의 유전양식과 8종의 살란성 살비제에 대한 교차 저항성 정도를 生妹殘留法(wholeplant residual method)으로 검정하였다. 난(RS 교배, Td5femaleSmale, 또는 SR 교배, SfemaleTd5male)의 log농도-미부화율 선이 S계통 보다는 Td5계통에 치우쳐 있어 점박이 응애 난의 Tetradifon에 대한 저항성은 우성으로 유전된다고 할 수 있으며, 저항성의 우성도는 RS난이 0.998이고, SR난이 0.262이어서 이 저항성의 유전에는 세포질적인 요소 또는 어미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RS 교배의 경우에는 완전우성으로, SR 교배의 경우에는 불완전우성으로 유전되는 것 같다. Td5 계통은 clofentezine . benzoximate . chlorfenson에 대해서 교차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fenazaquin . pyridaben . flufenoxuron . tebufenpyrad . fenothiocarb 등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65.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원에서 사용되는 살비제 5종, 살충제 4종, 살균제 6종올 추천농도로 희석하여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상대독성을 엽침지법으로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Dicofol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 독성이 매우 강하였으며, 이들의 난에 대해서도 각각 46%와 40%의 致死效果가 있었다. Abamectin 용액에 침지된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의 사망율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점박이응애의 암컷성충은 24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다. Tetradifon, Clofentezine, Hexythiazox등 3종의 살란성 살비제는 점박이 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90%이상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Teflubenzuron, Triflumuron, Diflubenzuron, lmidacloprid 등 4종의 살충제와 Propineb, Fenarimol, Polyoxin-B.captan 등 3종의 살균제는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에 대해 살비효과가 없었으며, Chlorothalonil, Nuarimol . Mancozeb, Folpet 등 3종의 살균제도 23% 이하의 낮은 살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긴털이리응애 난이나 암컷성충에 저독성을 나타내는 4종의 살충제와 4종의 살비제 및 6종의 살균제는 사과원 병해충 종합관리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6.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 간자와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abanectin 의 독성을 leaf disc 법으로 시험하였다. A-bamectin은 점박이응애나 간자와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0.38~6ppm에서 8~78%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도 농도 증가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 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 유.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유.약충의 생존율은 농도 증가에 딸라 감소하여 0.38~3ppm에서 42~90%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중독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암컷 성충은 생존율에는 별 영향이 없었지만, 산란수와 차세대의 성비에는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농도라할수 있는 0.38~0.75ppm에서의 abamectiondms 점박이응애나 간자와응애의 종합관리에서 긴털이리응애와 식식성응애류의 밀도비율 조절에 유요할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7.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긴털이리응애와 간자와응애에 대한 포식량과 억제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에서 강낭콩 잎을 이용하여 시허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긴털이리응애는 간자와응애의 난, 유충, 약충의 먹이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의 증가율은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 반응공석 제 II형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긴털이리응애의 간자와응애에 대한 억제능력은 에서 32:1의 비율까지, 에서 16:1 비율까지 억제하였으나 에서는 어느 비율에서도 억제를 하지 못하였다.
        4,000원
        68.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자와응애의 주요한 포식성 천적인 긴털이리응애의 생태적 특성에 대해 조사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긴털이리응애의 발육기간은 15, 20, 25, 3에서 난에서 우화까지의 기간은 각각 22.8, 9.6, 4.8, 3.6일이었으며, 난에서 후약충까지의 발육영점은 12.7, 유효적산온도는 61.4일도였다. 온도별 성충의 산란전기간은 산란기간이나 산란후기간보다 짧았다. 또한 자성충의 산란수는 21.7, 28.1, 34.2, 48.0개로 고온일수록 산란수가 많았다. 긴털이리응애의 내적자연증가율은 위의 각 온도에서 0.064, 0.139, 0.349, 0.402였으며, 평균세대기간은 36.0, 19.3, 8.6, 7.7일이었고, 개체군이 두배로 증가하는데는 10.8, 5.0, 2.0, 1.7일이 소요되었다. 긴털이리응애는 잡초, 낙엽, 토양에서 월동하고 있었다. 긴털이리응애의 산란 자성충의 포식량은 15, 20, 25, 3에서 각각 3.0, 4.9, 15.7, 19.4개의 간자응애 난을 포식하였으며, 에서 전약충은 4.6개, 후약충 6.3개, 산란기 간중에 19.4개, 산란후기간에 6.8개의 난을 포식하였다.
        4,000원
        69.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긴덜이리응애와 dicofol 저항성 및 감수성 점박이응애에 대한 아바맥틴의 선택독성을 실험실 내에서 엽침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아바멕틴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낮은 반면,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살균효과가 높았다. 0.12 ppm과 0.6 ppm의 농도에서 점박이응애는 두 계통 모두 침지 후 48시간 0]내에 사망하였고, 0.06 ppm과 0.012 ppm의 낮은 농도에서 120시간 이후에는 77% 이상이 사망하였다. 그러나긴털이리응애의 암컷성충은 0.12ppm에서는 생존솔과 활동력이 영향을 받지 않았고, 0.6ppm과 6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사망솔이 약 20~23%이었다. 아바맨틴은 산란후 l일 이내의 점박이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패화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산란후 4일된 란에서는 패화솔이 멸소하였다. 반면에0.006-6ppm 용액에 긴털이리응애 난을 침지한경우 난의 패화솔과 그 난에서 부화한 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의 암컷 성충을 0.6 ppm과- 0.12ppm에 침지했을 때 산란수가 줄어들지 않았으나 잠박이응애의 산란수는0.006-0.6 ppm의 농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바맥틴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선택독성이 높은 약제로 점박이응애의 결합방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점박이응애에 대한 아치사농도(0.012-0.06 ppm)는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밀도를 조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7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 6개 지역의 사과원에서 점박이응애를 채집하여, 15종의 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공시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약제감수성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제의 종류별 감수성은 지역에 따라 다향하게 나타났는데, 지역 계통별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비가 20이상인 약제들을 성충과 알로 나누어 정리하며, 성충의 경우, 수원 계통은 azocyclotin, cyhexatin,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청주 계통은 dicofol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cyhexatin,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알의 경우는 수원 계통은 bifenthrin, clofentezine, hexythiazox, tetradifon에 대하여, 군위, 청주, 광주 계통들은 bifenthrin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amitraz, bifenthrin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amitraz, bifenthrin, clofentezine, dicofol, tetradifon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bamectin, chlorfenson, fenpyroximate에 대한 약제감수성은 채집 지역에 관계없이 실내 감수성 계통과 차이가 없었다.
        4,000원
        71.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S)과 dicofol 저항성계통(R)을 공시하여 dicofol저항성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Dicofol 저항성계통(저항성비 23.0)의 약제도태없는 조건하에서 사육된 암컷성충의 dicofol에 대한 저항성 수준은 1년이 경과된 후에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년 이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2년째에는 저항성비가 15.8배, 3년째에는 10.7배로 감수성쪽으로 기울었다. 점박이응애의 dicofol 저항성계통과 감수서계통의 상호교배 에서 얻어진 세대별 약제 감수성도 세대가 경과됨에 따라 감수성쪽으로 기울었다.
        3,000원
        72.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 8개 지역별 각 사과원에서 채집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일본 감수성 계통과 비교한 결과 지역별 현저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Azocyclotin, fenpropathrin, propargite 및 abamectin에 대해서는 낮거나 중간 정도의 저항성을, dicofol, fenpyroximate 및 pyridaben에 대해서는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계통은 한종 또는 두종 이상의 약제에 대해 감수성을 보여 특정 지역에 대해서는 적당한 살비제의 선택적 이용으로 점박이응애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내에서 사육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S)을 유기염소계 살비제안인 dico-fol을 공시하여 인위적으로 도태선발하여 저항성 발달과 저항성 유전을 조사하고, 교차저항성 유무를 검토하였다. Dicofol을 150회 처리하여 얻은 선발계통({{{{ { R}_{d } }}}})은 감수성계통에 비하여 {{{{ { LC}_{50 } }}}}값이 27.5배증가하였다.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의 상호교배에서 얻어진 {{{{ { F}_{1 } ({ R}_{♀ }X{ S}_{♂ },{ R}_{♂ }{ S}_{♀ })}}}}의 우성도는 암컷성충에서 각각 -0 .2 9, -0.72, 수컷성충에서 각각 -0.42, -0.93로 나타났다. 따라서 dicofol 저항성 유전자는 불완전열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 R}_{d } }}}}계통 은 아미트라즈계인 amitraz에 대해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pyethroid 계 살비제인 acrinathrin, bifenthrin에 대해서도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chlofenson, clofente-zine, cyhexatin, fenbutation oxide, fenpyroximate, hexythiazox, monocrotophos, propargite, tetradifon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기주석계인 azocyclotin과 fenbutatin oxide에 대해서느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74.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 알에 대한 긴털이리응애의 전반적 채식행동을 연구하였다. 먹이가 충분히 존재할 때, 긴털이리응애는 섭식-섭식후이도.휴식-탐색 등 일련의 과정을 반복햇을며, 각각의 시간 소비(평균표준편차)는 6.831.73, 3.001.33, 93.5730.19 분이었고 탐색시간은 9분에 가가웠다. 섭식후이동은 이동 속도가 느리고 (초속0.09mm)한쪽 방향으로연속하여 회전하는 범위제한적 탐색행동을 보였으며 이탕행동은 속도가 빠르고(초속 0.31mm) 반응면적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 특징을 보였고, 탐색행동은 중간의 특징을 보였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의 섭식위치는 집중분포를 따랐다.
        4,000원
        75.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계통 점박이응애에 대한 amitraz와 bifenthrin, propargite, fenbutatin oxide, dicofol을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연합독작용을 시험한 결과, 살비제 혼합에 의한 협력작용은 살비제 조합 또는 그들의 혼합비율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모든 약제조합에서 협력작용이 나타나, amitraz와 bifenthrin의 혼합에서 2:8, amitraz와 fenbutatin oxide의 조합에서 8:2, amitraz와 propagite의 혼합에서 4:6 그리고 amitraz와 dicofol의 조합에서는 6:4의 비율에서 최대의 협력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76.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ncae)의 알밀도(10~80), 공간분포〈집중 빛 균일분포) 및 서석면적크기 (3, 9, 16 )에 따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longispinosus)의 가능반응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긴털이리웅애의 점박이응애 발견효율은 밀도와 공간분포의 영향을 받았으나, 면적의 영향은 없었다. 포식량과 피식자간의 거리와는 매우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강.85, p=0.0001). 포식반응은 제2형의 기능반응을 보였다. 긴털이리응애의 기능반응은 random predator equation으로 잘 설명되었으며, 탐색률은 피식자의 집중분포하에서 반응면적에 따라 0.1030 - 0.1504였고 균일분포하에서는 0.0546~0.0276였다.
        4,000원
        77.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살비제저항성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서, 유기인계 carbophenothion과 ethion, 유기염소계 dicofol, 유기주석계 cyhexatin 및 합성 pyrethroid계 biphenthrin으로 누대도태한 각 저항성계통과 감수성계통을 공시하여,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 차이점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을 비교한 결과, carbophenothion 저항성계통은 감수성계통에서 나타나지 않은 Est. 1, Est. 3이 검출되었고, ethion과 cyhexatin 저항성계통에서는 각각 Est. 3이, dicofol 저항성계통에서는 Est. 1, Est. 3, Est. 7이, biphenthrin 저항성계통은 Est. 3, Est. 7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영동대와 기질분해량의 차이점으로 미루어 보아 공시살비제들의 저항성발달에는 esterase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8.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感受性系統에 대하여 有機燐系 殺婢劑인 ethion, 有機濾素系인 dicofol과 有機朱錫系인 cyhexatin 및 合成pyrethroid系인 biphenthrin 등으로 交互累代潔凉를 實施하여 각 殺婢劑의 抵抗性發遠 差異와 複合抵抗性의 有努 및 程度를 試驗.調宜하었다. Ethion/dicofol(13-13世代) 洵流系統은 ethion에 대하여 49.4浩, diceo떼 대하여 18.1倍의 抵抗營,이, othiohjcyhexatin(9-9世代) 洵淪系統은 ethion에 대해서 28.1倍, cyhexatin에 대해서 5借의 抵抗性이, ethionjbiphenthrin(10-10世代) 海治系統은 ethion에 대하여 39,8倍, thrin 에 대하여 19.2倍의 抵抗性이, ficofoljcyhexatin(9-9世代) 海流系統은 dicofo떼 대해서 11.3倍,cyhexatin에 대해서 4.9倍의 抵抗性이, ficofoljbiphenthrin(12-12世代) 海流系統은 diceof 에 대하여 11.2借, biphenthrin에 대하여 9.4倍의 氣抗性이, oyhexatinjbiphenthrin(9-9代代) 海流系統은 cyhexatin에 대하여 3.7倍, biphenthrin에 대해서 7.7倍의 抵抗性이 發達하여 海流親婢劑의 組合에 따라 抵抗性發連 水準의 差異가 있었다. Ethion/dicofol 抵抗性系統은 洵流에 駱與하지 않은 biphenthrin에 대하여 率度의 複合抵抗性을 나타내었고, jcyhexatin, ethionjbiphenthrin 抵枕性系統들은 각각 biphenthrin과 dicofe떼 대해서 비교적 낮은 水準의 複음抵抗性을 보펄으며, Oicofaljcyhexatin, Oicofoljbiphenthr운 그리고 cyh訓stinjbiphenthrin 海社系統들은 모두 ethion에 대하여 각각 高虜의 複合抵抗性을 나타내었다.
        4,000원
        79.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에 대하여 유기찬계 살충제인 carbophenothion, ethion과 유기소계인 dicofol, 유기주석계인 cyhexatin 및 합성 pyrethroid계인 biphenthrin등으로 단제루대도태를 실시하여 각 살충제의 저항성발달 차이와 약제상호간의 교우저항성의 유무 및 정도를 시험.조사하였다. carbophenothion과 ethion은 22세대와 24세대 도태에 서 각각 156배와 64.1배의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ofol은 28세대 도태에서 39.7배로 biphenthrin은 24세대도태에서 13배로 화학적계통이나 동일계통내에서도 약종에 따라 저항성유발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Carbophenothion 도태계통은 도태에 관치하지 않은 ethion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dicofol과 biphenthrin에는 낮은 수준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고, ethion 도태계통은 carbophenothion에 대해서 고도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ofol이과 biphenthrin 도태계통들은 모두 carbophenothion과 ethion에 대해서 중도의 교우저항성을 보였으며, cyhexatin 도태계통은 ethion과 carbophenothion에 대하여 고도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 었다.
        4,000원
        80.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gainst extracts of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Camellia sinensis, Cinnamomum cassia, Lantana camara and their mixtures was evaluated. The plant extracts tested were much less toxic to P. persimilis than to T. urticae. The plant extracts tested had little effect on the survival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Moreover, reproduction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and eclosion of eggs deposited by treated predators were not seriously affected. The treatments of the plant extracts tested showed no serious toxic effect on P. persimilis eggs and exhibited 84∼100% hatchability. The treatments with mixtures 3 and 1 were effective against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and yielded 76.0% and 72.7% adulticidal activity at 7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The treatment of mixture 2 revealed 63.3% adulticidal activity. Generally, the acaricidal activity of the individual treatment of each plant extract was lower than the mixtures.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treated with mixtures 3 and 1 produced only 29.5∼31.3% as many eggs as the control females did. All the plant extracts tested exhibited no noticeable toxic effect to the eggs of T. urtic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tures 3 and 1 might be used for the control of T. urticae, and expected to be promising candidates for use in integrated mite management program with P. persimili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