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0

        6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등상시가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시안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우세안에 콘택트렌즈를 착용시켜 부동시를 유발하고, 안경렌즈로 교정한 후 발생한 부등상시를 대상으로 입체시 검사 및 원거리와 근거리, 명소시와 암소시의 조건으로 VCTS(Vistech Consultant INC)를 이용한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입체시는 7~9% 부등상시와 0% 부등상시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CTS 검사에 의한 대비감도는 7~9% 부등상시에서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대비감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거리와 근거리에 따른 대비감도의 변화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7~9% 이상의 부등상시는 양안시에 의한 대비감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67.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the acquisition process of the ellipsis at the end of sentences for Koreans who learn Japanese through the contrast of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The sample of analysis comes from OPI data. The two results below are described in detail: First, Koreans who learn Japanese use more frequently the ellipsis at the end of sentences under the “Existing-Verb-Clauses” than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However, the acquisition level goes up, the frequency of usage is getting higher to the point where the acquisition process is inclined to be equal at both side (Koreans who learn Japanese vs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 Second, the formality varies more than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as well as it appears at the beginning level. The formality includes “「けど」,「から」,「て」,「ので」”.The formality of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is similar to Koreans who learn Japanese at the end of the learning stage.
        4,900원
        7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절력과 나이의 변화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 눈의 굴절상태가 근시쪽으로 변화하 는 야간근시 와 Contrast sensitivity( 대 비 감도) 및 Glare sensitivity( 눈부심 감도)의 상 관성을 암아보기 위하여 안과적 질환이 없는 20-61 세 사이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현 성굴절상태 (31 명 62 안)와 조절마비굴절상태 06 명 32 안)에서 조절력, Mesotest II b 륜 이용한 야간근시도, 대비감도 빛 눈부심감도, 적외선 동공측정계를 이용한 일반조명 과 암실에서 동공크기, 근거리검영법에 의한 암소초점 및 현성굴절상태에서 야간끈시 를 교정하여 대비감도 빚 눈부섬감도의 변화틀 측정하였다. 현성굴절상태에서 야간근시가 높을수록 대비감도 및 눈부섬감도가 증가하였으며 (CS: r = -0.65 GS: r = • 0.46) 조절 력 이 높을수록 야간근시 가 증가하고 (r = -0.88) 대 비감도 및 눈부섬감도가 증가하였다 (CS: r = 0.68; GS: r = 0.58) 암실에서 동공직경 은 야간근시 (r 二 0.39), 대비감도 빚 눈부심감도와 낮은 상관성이 있었다 (CS: r - 0.36 ; GS: r = 0.36). 암소초점이 높을수록 야간근시가 증가하고 (r = 0.88), 대비김도 벚 눈 부섬감도가 증가하였다 (CS: r = -0.79; GS: r 二0.64). 현성굽절상태에서 대비감도 (2.25) 와 눈부심감도 0.56) 는 모두 야간근시플 교정하였을 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 < 0.05). 조절마비굴절상태에서 야간근시가 높을수록 대비감도는 감소하였으나 눈부-심감도 는 관계가 없었으며 (CS: r = 0.33; GS: r 二0.09) 나이가 많을수콕 야간근시가 증가하 고 (r 二-0.32) 대비김도 및 눈부심감도는 감소하였다 (CS: r = -0.83; GS: r = -0.71). 동공직경은 야간근시 (r = 0.15) 와 상관성이 없었으나, 동공직경이 클수록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가 증가하였으며 (CS: r = 0.48; GS: r 二0 .42) 암소초점은 야간근시와 관계 가 없었고 (r = 0.05) 암소초점이 높을수록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는 증가하였다 (CS: r = -0.32; GS: r = • 0.33) 현성굴절상태에서 야간근시( -1.04D)와 암소초점 (-2.22Dl은 조절마비 굴절상태 에 서 0.15D와 -0.63D로 각각 감소하였다 (p < 0.05) 특히 20 대군은 현성굴절상태에서 대비감도 (2.57) 와 눈부심감도(1. 76) 는 조절마비꿀 절상태에서 각각 3.42와 2.73으로 증가되었고 (p < 0.05), 현성굴절상태에서 야간근시틀 교정했을 때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는 각각 0.84와 0.97 증가하였다. 따라서 조절력과 나이는 야간활동에 불편을 줄 수 있는 야간근시, 대비감도 및 눈 부심감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야간근시의 교정으로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틀 개선시킬 수 있었다.
        4,300원
        74.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nique colors of paper, that is, blue, green, red, and yellow were used in the estimation of color from the subjective feeling. The monochrome with unique color or the unique color surrounded with the background color was presented. subject gazed the monochrome or the unique color, which was tailed target rotor. The target and background color were the complementary color each other. The various ratios of the area of gazed color and background were taken. Subject answered the level of subjective feeling consisted of pair of adjective items for unique color presented. With the use of the subjective feeling for the target color presented, the estimation of the unique color was cai\ulcornerlied out due to Fuzzy theory and neural networks. The results of color difference between unique color presented and the estimated color gave very small value for the case without background, while the results of the case with background color depended on the ratio of area of presented color and background color till the ration of 2:1, The relation showed the Kirschman's law, The color difference saturated In the increase of area of background with the ratio more than 2:1.
        4,000원
        80.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ightness와 contrast의 적절한 조절은 자연색 재현 및 다양한 분위기 창출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사용자들은 OSD(On-Screen-Display)를 통해 brightness와 contrast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나, 조절에 따른 영상의 변화를 예측하지 못하므로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rightness와 contrast가 각각 영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자연색 재현이 가능한 최적상태와 4가지의 감성적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는 조절상태를 정의하였다. 5가지 조절상태를 OSD에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영상의 이미지에 적합한 brightness와 contrast상태로 조절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brightness/contrast 통함 조절방법을 제안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