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흡수에 대한 연구 보고가 부족하며, 인체에서의 in vivo 피부 흡수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in vivo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8종 성분의 인체 표피 투과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in vitro 결과와 비교하여 주요 성분의 피부 흡수 자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사용한 성분의 피부 투과도 측정한 결과를 보면, in vitro 평가에서 ascorbyl-2-glucoside, retinol, retinyl palmitate, 그리고 kojic acid가 우수한 피부 투과율을 보였으며, in vivo 평가에서는 retinol, vitamin C, 그리고 arbutin 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n vitro 평가와 in vivo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투과율을 보인 성분은 각각 ascorbyl-2-glucoside와 retinol이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in vitro평가의 경우 무모생쥐 모델의 피부를 모두 관통하는 물질을 평가하였고,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의 경우는 표피의 각질층을 평가하였으므로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표피 및 진피층의 영향에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대부분 물질의 투과 장벽은 각질층이므로 각질층에서 물질 이동을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 흡수에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자료는 추후 많은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개별 매립지의 매립가스 발생량을 추정을 위해 폐기물의 분해를 일차분해반응으로 가정한 수학적 model들인 Scholl Canyon model, Palos Verdes model, Sheldon Arleta model과 IPCC GL 그리고 EPA의 LAEEM(Landfill Air Emissions Estimation Mode)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차분해 model을 이용한 온실가스 발생량의 추정은 매립된 폐기물의 양 및 조성, 매립시기와 경과시간 등의 기초자료, 폐기물의 메탄최대발생량(L0)와 메탄발생속도계수(k)를 사용되기 때문에 온실가스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보다 적절한 값이 선정되어야 한다. 현재 선진국들은 매립지 특성을 반영한 메탄발생속도상수(k)를 제시하고 있으나 국내에의 경우 이러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2곳(H, Y 매립지)의 소규모 매립장에 대한 매립지 특성 자료수집과 현장측정을 통해 2006 IPCC FOD방법의 입력변수로 사용되는 메탄발생속도 상수(k)를 산출하여 보았으며, 또한 이 결과를 default valus 적용한 2006 IPCC GL의 FOD방법에 의한 메탄 배출량 산정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2006 IPCC GL에 제시된 FOD방법의 메탄 배출량 산정식을 이용한 k값 산정 결과, H 매립지의 산정된 평균 k값은 0.0413 yr-1, Y 매립지의 산정된 평균 k값은 0.0117 yr-1로 나타나 IPCC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기본값이 0.09 yr-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현장측정에 의해 산출된 k값들과 2006 IPCC GL의 default value을 이용하여 H, Y매립장에 대하여 메탄가스 배출량을 비교해본 결과, H매립지(1994년~2012년)와 Y매립장의 메탄가스 총배출량이 현장측정에 비하여 492.7%와 166.5%나 과다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을 위해서는 각각의 매립지별 현장 측정을 통한 고유의 k값 결정을 통한 산정이 진행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Discharge data examine the process of hydrologic cycle and used significantly in water resource planning and irrigation and flood control planning. It makes high quality discharge data, they carry out research on standard and method of discharge measurement, and equipment improvement. Now various flow meters are utilized to make discharge data in Korea. However, accuracy of equipment and exprerimental research data from measurement are not enough.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have been introduced and utilized for flow measurements since the end of 1980’s.
ADCP flow method is a formal method for flow measurement can easily applyd to relatively large rivers gradually recognized. This equipment can measure the non-contact three-dimensional velocity and water depth data very quickly and efficiently. Also,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of the data is more accurate than any other flow measurement methods which measure flow rate by velocity - area measurement method.
In this paper, the velocity is measured using various flow meter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by applying from the ADCP in Geum-river. Various flow meters which are med for discharge measurements are VALEPORT002 , FLOW TRACKER, PRICE AA and ADCP. The average of five times flow measurement result by ADCP was 10.412 ㎥/s,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0.68.
The repeat test by ADCP and comparison between ADCP and other flow devices to verify the most import factor, flow measurement accuracy. In the result, repeat test of the ADCP showed similar values, flow values were similar to other velocity device results and the average error is 7.7%.
현재 의료기관은 의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방사선 발생장치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방사선으로 인해 환자가 받는 직접적인 피폭을 가능한한 줄이는 목적도 중요하지만 촬영시 공간 내에서 받을수 있는 간접적인 피폭을 줄여 의료업에 종사하는 의료인, 방사선 작업종사자 및 보호자의 피폭을 줄여야 한다. 엑스선촬영실에서는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보호자에게 방호복의 착용을 권고하고 있으나 불가피하게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보호자가 환자의 촬영 보조를 할 경우, 방호복 착용에 의한 중량감 및 불편함 때문에 방호복 착용이 등한시 되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호복 유무에 따라 공간산란선량을 측정하고 거리, 가로면 각도 및 높이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방호복 착용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도로의 발달과 교통량의 증가에 따라 도로교통소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도로변 소음피해에 대한 민원 또한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도로교통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저소음 포장과 방음벽, 방음터널과 같은 방음시설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음 저감방안의 소음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소음 측정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여건을 고려한 소음 측정방법에 따른 소음 측정결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소음 측정기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소음을 측정하는 고정식 측정방법(CPB(Controlled Pass-by Method))과 소음 측정기를 차량에 부착하고 주행하면서 소음을 측정하는 이동식 측정방법(CPX(Close Proximity Method))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 고정식 측정방법의 경우 측정장소의 현장여건에 따라 소음 측정기의 설치 높이와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한다면 소음 저감효과 비교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변소음에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식 측정방법의 경우 마이크로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마이크로폰 위치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Several samplers using gravimetric methods such as high-volume air sampler, MiniVol portable sampler, personal environmental monitor(PEM) and cyclone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n atmospheric condition. Comparative evaluation between high-volume air sampler and MiniVol portable sampler for PM10, and between MiniVol portable sampler and PEM was undertaken from June, 2003 to January 2004. Simultaneously,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wind speed, wind direction,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was measured to check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n addition, particle concentrations by cyclone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of 4 ㎛ were measure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high- volume air sampler and portable air sampler for PM10 was 0.79 (p<0.001). However, the mean concentration for PM10 by high-volume air sampl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y MiniVol portable sampler (p=0.018).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inivol portable sampler and PEM for PM2.5 was 0.74 (p<0.001), and the measured mean concentrations for PM2.5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Difference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 might be explained by wind speed and humidity among meteorological conditions. Particle concentration differences by measurement samplers were proportional to the wind speed, but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humidity, though it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