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8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보리와 월동 콩과작물인 사료용 완두와의 혼파재배를 통해 사료작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작부체계로서의 혼파비율을 구명하고, 조단백질, ADF, NDF 등과 같은 사료가치와 수량을 만족하는 적정한 혼파비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였을 때 청보리의 생육특성에서 출수일과 초장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청보리의 경수는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지만, 사료용 완두의 개체수는 증가하였다.
        4,000원
        83.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ain nutritional problem of sorghum×sudangrass (sudangrass) silage is low quality and dry matter (DM) content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agricultural byproducts addition of sorghum×sudangrass silage increases DM content and forage quality of the silage. Sorghum×sudangrass silage with added byproducts had low pH values, however sorghum×sudangrass silage (control) had a high pH value because of its high moisture content. Silage added with byproduct had lower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than control silages, while its non-fiber carbohydrate (NFC),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nd lactic acid contents showed the opposite results. Silages added with crushed rice and green grain of rice were higher in lactic acid content than othor treatments as well as high DM, NFC, and TDN contents. Silage added with crushed rice and green grain of rice can be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creasing forage quality and DM content of sorghum×sudangrass silage.
        84.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winter rye is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but silage quality of the winter rye produced from farmer's fields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forage quality of winter rye which was participated in Forage Quality Contest in 2008. These data were classified by resign, forage production, added inoculants, planting date, and harvest date. Difference on lactic acid of rye silage was detected in forage production (p<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ye silage tested. The moisture and lactic acid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y matter yield of rye silage.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silage added inoculants and control. The pH, ash, CP, NDF and ADF of rye added with inoculants were higher t㏊n those of control silage, however, the TDN and lactic acid were increased in silage added with inoculants. The ash and CP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ting date, but lactic acid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vest date. This experiment indicates t㏊t lactic acid of silage was good indicator for evaluation of rye silage. Differences in forage quality were also observed among winter rye silage. Therefore, nutritional quality as well as lactic acid is important in silage quality contest of winter rye silage.
        85.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rley is an important substrate for forage production in winter season of Korea. In this study, field trial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rvest time and cultivar on the yield and quality of forage barleys developed in Korea. Four whole crop barley cultivars (Youngyang, Wooho, Yuyeon and Dami) were selected and harvested on five separate growth stages (heading, and intervals of 1, 2, 3, and 4 weeks after heading) in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were determined.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harvest time and cultivar in dry matter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for forage. The interaction between harvest time and cultivar was not significant. The TDN yield trends were increasing with later harvest time due to higher dry matter yield and TDN content. This experiment provides some interesting results with respects to optimum harvest time, feed value and ultimately yield for the different whole crop barley cultivars.
        86.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whole crop barley are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but silage quality of the whole crop barley produced from farmer's fields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forage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which was participated in Korean quality contest in 2008. These data were classified by region, forage production, added inoculants, planting date and harvest date. Difference on lactic acid of barley silage was detected in the region (p<0.05), however, th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chemical composition. The moisture and lactic acid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y matter yield of barley silage.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silage added inoculants and control. Differences between planting dates in ash and crude protein (CP) were detected in barley silage (p<0.05). From comparison within harvest date, lactic acid ㏊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arley silage. Differences in forage quality were observed among whole crop barley for silage. Therefore, nutritional quality as well as lactic acid is important in silage quality contest of whole crop barley.
        88.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clipping time and height on the yield and quality of forage in the meadow grassland were investiga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yield of forage clipped on August 1st and kept the clipped height 5㎝ was high.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the phosphorus of forage were the highest on August 1st, with 9.66% and 0.13%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the crude fat of forage kept the stubble height of 7㎝ were high, with 8.21% and 4.23% respectively. The crude fiber content of forage (24.85%) kept the clipping height of 3㎝ was high.
        9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료맥류의 최적 수확시기를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청보리,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및 총체밀) 수확시기(출수기, 출수 후 10, 20 및 30일)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일리지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건물수량은 모든 맥종에서 출수 후 생육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는 추세를 보였는데, 청보리와 총체밀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귀리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학성분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한
        4,000원
        9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사료용 청보리 전용품종들의 수확 시기별 수량과 품질을 검토하여 적정 수확 및 이용시기를 도출하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시험은 수확시기를 주구로 5회 (출수기로부터 7일 간격), 품종을 세구로 4품종 ('영양', '우호', '유연', '다미')을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실시하였고,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지상부 이삭비율은 출수기 이후 직선적으로 증가
        4,000원
        9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예용 사초의 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수행하였다. 근적외선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사초의 분석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07년에 거쳐 생산된 각종 사초 258점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즉 시료는 조단백질, 조섬유, NDF, ADF 그리고 건물소화율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NIR System으로 사이의 파장을 얻었다. 그리고 파장과 습식분석치를 이용하여 중회귀식을 만들고 이것을 사용하여 미지의 시료를
        4,000원
        9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남부지방에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파종하여 조사료를 생산하는데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2품종과 도입품종 4품종 등 6품종 을 시험한 결과 광평옥 품종이 간장이 198cm 로 다른 품종들보다 크고 경직경이 굵으며 내습성 및 후기 녹체성이 좋고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수량 측면에서도 생초수량은 ha당 생초 수량
        4,000원
        9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및 귀리)의 단파 및 혼파시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국립축산과학원 제주출장소 조사료포장에서 2003년 10월 상순부터 2004년 6월 중순까지 수행하였다. 시험처리는 예취횟수를 주구로 하여 1회 예취구, 2회 예취구 2수준으로 하고 세구는 혼파방법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파구(T1), 귀리 단파구(T2),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25%+귀리 75%(T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50%+귀
        4,000원
        9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호밀과 보리의 혼파에 의해 수량성과 품질이 높은 조사료 생산방법을 강구하고자 2004년 9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재료는 청예용 호밀인 Koolgrazer와 대면보리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호밀 100%, 호밀 60+보리 40%, 호밀 50+보리 50% 및 호밀 40+보리 60% 등 호밀과 보리의 혼파비율을 4수준으로 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
        4,000원
        9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마 3품종을 재식거리,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료성분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2005년 5월 20일부터 2005년 9월 12일까지 수행되었다. 시험배치는 3반복 분할구 배치로 주구는 재식거리와 수확시기를, 세구는 양마 3품종(Dowling, Everglade 및 Tainung)을 배치했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일수에 따른 건물 생산량은 93일까지는 재식거리가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건물생
        4,000원
        99.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을에 무경운 귀리 재배에 퇴비, 화학비료 및 퇴비+화학비료를 혼용한 처리로 시험결과 사초의 생산성과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3 처리 3 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처리는 화학비료구, 퇴비구 및 혼용구를 각각 두었다. 무경운 귀리에서 화학비료는 퇴비보다 유식물 활력은 우수하였으나, 수확시 녹체성은 화학비료구가 퇴비구보다 떨어졌다. 귀리의 건물률은 퇴비구가 다른 처리보다 높았다 (p<0.05). 귀리의 사초생산성 비교에서는 생초 수량은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