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8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topoisomerase inhibitors가 배양 각막 상피세포에서 세포고사를 유도하 는지를 조사기 위해 시행하였다. Topoisomerase inhibitors'{l camptothecin과 etoposide 를 제조사의 추천농도로 1-2 일 동안 배양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검 정하여 농도틀 정하고 세포고사를 확인하였다 세포고사의 형태적인 특징은 Hoechst 33342 staining, Annexin V - FITC/PI staining, DePsipher assay and CytoDEA TH staining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DNA fragmentation은 TUNEL파 agarose gel 전기 영동으로 확인하였다. Camptothecin 과 etoposide는 농도 의존성으로 세포고사룹 유또 하였는데 각막상피세포에서는 저l 조사의 추천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 세포고사플 유 도하여 다른 세포보다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파로 볼 때 topOlsomerase l띠1ibitor는 각막상피세포에서 홀륭한 양성 대조군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mushrooms have received attention because they are material of nutritious food health-stimulating properties and medicinal effects.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the antihypertensive Pholiota adiposa and S. cerevisiae into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traditional rice wine,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functional traditional rice wines were investigated and further its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ies were determined. Addition of antihypertensive Pholiota adiposa ASI 24012 into the mash was unaffected to ethanol production. The best acceptability showed in the PS-1 traditional rice wines which was brewed byaddition of 0.1% Pholiota adiposa ASI 24012 fruiting body into mash containing antihypertensive S. cerevisiae and cooked and also showed high ACE inhibitory activity of 78.3%.
        83.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derived from the inner cell mass of blastocysts have the ability to renew themselves and to differentiate into cell types of all lineag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the Wnt signaling pathway is related to maintaining self-renewal of hESCs. Glycogen Synthase Kinase 3 (GSK-3) inhibitor, BIO ((2''Z,3''E)-6-Bromoindirubin-3''-oxime) was treated to Miz-hES1 line for activation of Wnt signaling pathway. BIO-nontreated hESCs (control) and BID-treated hESCs were cultured for 5 days in the modified feeder-free system. During the culture of hESC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lony morphology between 2 groups. Controls were spread outwards whereas BIO-nontreated hESCs were clumped in the center and the differentiated cells were spreading outwards in the edges. The results of stem cell specific marker staining indicated that control were differentiated in large part whereas BIO-treated hESCs maintain self-renewal in the center of the colony. The results of lineage marker staining suggested that outer cells of the hESC colony were differentiated to the neuronal progenitor cells in both control and BIO-treated hES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nt signaling is related to self-renewal in hESCs. In addition, control group showed higher composition of apoptotic cells (23.76%) than the BID-treated group (5.59%).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IO is effective on antapoptosis of hESCs.
        4,000원
        93.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antiplatelet effect of a newly synthesized guanidine derivative KR-32558, a sodium-hydrogen exchanger-1 (NHE-1) inhibitor, together with the elucidation of the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KR-32558 concentration -dependently inhibited the aggregation of washed rabbit platelets induced by collagen (10 μg/ml) with an IC_(50) value of 85.9 μM, but with much weaker potency against aggregation induced by thapsigargin (0.5 μM) or A23187 (5 μM). And had no effect on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rachidonic acid (100 μM), thrombin (0.05 U/ml) and U46619 (1 μM) up to 100 μM. KR-32558 completely inhibited the [Ca^(2+)] mobilization induced by collagen at concentration of 100μiM. Taken together,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KR-32558 selectively inhibited collagen-mediated platelet aggregation by blocking the cytoplasmic calcium mobilization in addition to NHE-1 inhibition.
        4,000원
        94.
        200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체외수정 후 체외배양48시간에 난구세포의 제거 유ㆍ무에 따라 CR/sub 1aa/ 배양액에 homoglobin을 0, 1, 5 ㎍/㎖를 첨가한 구의 상실배기 이상 체외발육성 적은 난구세포를 제거한 구에서 23.8%, 33.3% 및 26.8% 였으며,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구에서는 각각 39.5%, 54.8% 및 48.8%로서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구에 Hb를 1 ㎍/㎖를 첨가한 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결과를 얻었다(P<0.05). 체외수정 후 체외배양 96시간 후 난구세포를 제거 유ㆍ무에 따라 Hb를 0, 1, 5 ㎍/㎖를 첨가하였을 때, 상실배기 이상 체외발육성적은 난구세포를 제거한 구에서 각각 28.6%, 46.2% 및 39.1%였으며,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구에서는 각각 33.9%, 67.2% 및 46.0%로서,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구에 Hb를 1 ㎍/㎖를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CR/sub 1aa/ 배양액에 L-NAME를 0, 10, 50 및 100 mM을 첨가한 구에서 상실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성적은 각각 55.6%, 64.9%, 58.8% 및 66.7%로써 L-NAME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모든 처리구에 배반포까지 발육된 체외수정란의 세포수에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000원
        95.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이, 토마토 고추 작물의 고온기 플러그 육묘시 묘의 도장 방지와 과번무 억제를 위한 UV-B와 생장 억제제의 처리가 플러그묘 식물체의 생리적 특성 변화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합성능력은 UV-B 처리묘의 경우 무처리에 비해 처리 직후에는 크게 떨어졌으나 10일 후에는 비스하게 회복되었고 생장억제제 처리묘는 무처리에 비해 토마토가 다소 떨어졌어나 오이와 고추는 비슷하였다. 엽록소함량은 3작물 모두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UV-B 처리한 것이 다소 높았던 반면 생장억제제 처리한 것은 무처리와 비슷하였다. SOD, CAT, POD 등의 항산화효소의 활성은 3작물 모두 UV-B 처리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처리 직후에는 크게 증가되었다가 10일 후에는 그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다. 한편 생장억제제 처리묘는 무처리에 비해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다소 높았으나 UV-B 처리묘에 비해서는 낮았다.
        4,000원
        9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V-B(4 kJ·m-2·d-1) 조사와 생장억제제(50 mg·L-1 diniconazole, 500 mg·L-1) 처리가 오이, 토마토 및 고추 플러그 묘의 도장 억제와 정식 이후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플러그 묘의 경장은 UV-B와 diniconazole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각각 오이 38, 35%, 토마토 37, 41%, 고추 23. 23% 억제되었으며 hexaconaxole,은 억제효과가 낮았다. 그리고 엽면적과 건물중도 UV-B와 생장억제체 처리에 의해 감소되엇다. 뱐면 잎 두께는 UV-B와 생장억제제 처리에 으해 두꺼워지는 경향이었다. 건묘지수는 3작물 모두 UV-B와 생장억제제 처리에 의해 증가외었고 특히 diniconazole와 UV-B 처리가 Hexxonazoile처리에 비해 더 높았다. UV-V를 처리한 플러그 묘는 3작물 모두 정식 시에는 무처리에 비해 초장, 엽면적 등이 짧고 작았으나 정식 후 20-30 일경에는 무처리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에 반해 생장억제제를 처리한 묘는 회복이 늦어 UV-B 처리한 것에 비해 생장이 저조하였다. 과실 수랴은 오이의 경우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토마토와 고추 UV-B를 처리한 것이 생장억제제를 처리한 것에 비해 다소 맣았다. 따라서 UV-B 조사는 과채류 플러그 묘의 도장 억제를 위한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4,000원
        100.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imulatory effect of EGF and FSH on oocyte maturation have been reported in various mammalian species. And some reports presented FSH enhanced the effect of EGF on oocyte maturation. But, the interaction between EGF and FSH on nuclear maturation of mammalian oocytes is not fully understood. We observed the effect of EGF and FSH on nuclear maturation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mouse oocytes. Also, we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EGF and FSH on nuclear maturation of mouse oocytes using the EGFR inhibitor or FSH inhibitor. Germinal vesicle (GV) stage oocytes were obtained from 3-4weeks PMSG primed BCFI hybrid mice and cultured in TCM-199 medium with 0.4%PVP supplemented with/without EGF (1ng/ml), FSH (1ug/ml), EGFR specific tyrosine kinase inhibitors: Tyrphostin AG 1478 (500nM), MAP kinase kinase inhibitor : U0126 (20uM) or PD 98059 (100uM) for 14-l5hr. Rapid staining method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nuclear maturation. Nuclear maturation rates of EGF indjor FSH-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reatment of EGFR inhibitor significantly block the nuclear maturation of GV oocyte in EGF-treated group, but it did not block those of GV oocyte in FSH-treated or FSH and EGF-treated group. Treatment of FSH inhibitor(U0126, PD98059) significantly block the nuclear maturation of EGF-treated group, FSH-treated and FSH and EGF-treated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EGF has a stimulatory effect as well as different action pathway with FSH on in-vitro maturation of mouse oocyte in vitro. Therefore,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find the signaling pathway of EGF associated with nuclear matura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