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4

        8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8년 7월 20일부터 2018년 8월 1일까지 안산시 단원구에 위치한 화랑유원지 오토캠핑장의 집수정에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은 기법별로 대조지점, 천적지점, Bti 지점을 선정하였다. 서식처 환경 분석 및 채 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종조성, 군집분석, 상관성 분석,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여 잔물땡땡이, Bti 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서식처 환경 분석 결과, 수질항목은 지점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p>0.05), 하상구조 및 식물군 락이 유사하여 서식처 특성에 의한 종조성의 차이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시간 동안 총 11목 22과 38종 4,818 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천적지점은 대조지점과 비교적 유사한 종조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Bti 지점은 다른 지점에 비해 단순한 종조성을 나타내었으며, 파리목의 종수 및 개체수가 가장 빈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 분석 결과, 조사기간 동안 Bti 지점에서 불안정한 군집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천적지점은 비교적 안정적인 군집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파리목과 모기유충을 대상으로 수질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파리목과 기온, 수온은 음의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모기유충과 기온은 - 0.610*, 수온은 -0.674*로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현종을 대상으로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조지점과 천적지점은 조사시기별 61.11~ 73.68%, Bti 지점은 30.77~56.00%의 유사도를 나타내어 천적지점에 비해 대조지점과 유사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본 연구는 단기간의 연구 결과로 습지유형 등을 고려 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생물학적 모기유충 방제 기법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뽕나무깍지벌레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의 주요 해충이다. 뽕나무깍지벌레의 산란 및 부화특성과 복숭아 및 매실의 깍지벌레 방제용으로 등록된 살충제 10종(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벤퓨라카브 입상수화제. 피리플루퀴나존 입상수화제, 클로티아니딘 입상수용제, 뷰프로페진 수화제, 뷰프로페진+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 뷰프로페진+에토펜프록스 입상수화제, 뷰프로페진+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벤퓨라카브+ 뷰프로페진 유제)의 살충제 감수성을 조사였다. 뽕나무깍지벌레의 1세대 부화시기와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5월 초에 가장 많이 발생해서 약 14일 정도 연속적으로 부화하였다. 부화율은 77.7% 였으며, 월동 암컷 성충 1개체의 평균 총 산란수는 58.7개, 평균 부화약충수는 45.7마리였다. 시험에 사용한 살충제 10종 모두에서 100%의 부화 약충 살충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약충 부화시기에 맞추어 약제를 살포하면 효과적으로 방제가 가능한 것을 시사한다.
        4,000원
        8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원료로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이용 가능성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자원으로써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57.02±1.73 mg GAE/g과 75.33±0.43 mg GAE/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4.6±0.28 mg/g과 25.4±0.75 mg/g이었다. DPPH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참나무톱밥을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에 비해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32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두 시료 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농도별 환원력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환원력은 증가하였으나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ORAC 지수는 각각 66.55±0.99 uM TE/g과 76.32±0.48 uM TE/g로 참나무톱밥을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에 비해 큰느타 리버섯수확후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ORAC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 버섯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각각 0, 2, 4, 8, 16, 32, 64 mg/ml의 농도로 처리하 였을 때 RAW 264.7 세포는 9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 내었으므로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4.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found ten species of larvae belonging to the family Pleuronectidae as a result of analysis on ichthyoplankton collected monthly from the East Sea, Yellow Sea, Korea Strait and East China Sea between February 2016 and May 2018 using bongo net. The ten species of pleuronectid larva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morphology. Group A had three or four bars on the lateral side of the tail: Glyptocephalus stelleri, G. kitaharae,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and Hippoglossoides dubius. Group B had a row of melanophores along the dorsal and ventral side of tail: Cleisthenes pinetorum, Eopsetta grigorjewi, Dexistes rikuzenius, and Platichthys bicoloratus. Group C had dense melanophores which are covering trunk and tail entirely except caudal peduncle: Platichthys cornutus and Platichthys japonicus. The three groups did not associate with previous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except for the G. stelleri and G. kitaharae of the group A.
        4,600원
        90.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매패류의 부유유생은 성패 (양식자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유유생의 출현시기 및 출현량에 관한 연구는 자연 채묘량의 증대와 인공종묘의 생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성 연안에서 총 21종의 이매패류 부유유생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구마모토굴 (M. sikamea), 왜홍합 (X. atratus), 종밋 (M. senhousia), 참굴 (M. gigas), 가리맛 조개 (S. constricta), 새꼬막 (A. kagoshimensis), Kurtiella aff. bidentata 그리고 꼬막 (T. granosa)이 중요 부유유생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보성 연안해역의 주요 수산자원인 새꼬막 (A. kagoshimensis)과 꼬막 (T. granosa)은 각각 이매패류의 0.51~12.50% (평균 4.00%), 0.01~12.50% (평균 1.92%)의 구성비율을 차지하며 다른 이매패류보다 낮은 출현량을 보였다. 꼬막 (T. granosa)과 새꼬막 (A. kagoshimensis)의 부유유생은 6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었으나, 각각 8월 초와 8월말에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4,200원
        91.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urytoma maslovskii conduces the unexpected plum dropping. It stayed overwinter inside the pits of the dropped plums and able to oviposit on plum surface when the diameter of the plums are over 16 mm prior to endocarp hardening. To control this harmful pests is too much essential to plum orchard. Therefore, the plum seed crusher (PSC) was desig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erishing the pests through destroying the dropped plums. The rocks and the weeds were removed from the plum orchard prior to the test. Manually operated plum seed crusher picked-up the dropped plums from the ground and crushed them. The performance of PSC was evaluated by applying 2.5 and 3.0 km/h travelling speeds, and controlling the gaps; 18, and 28 mm intervals between plum pick-up discs. The test result showed the plum pick-up rate was 98±2.0%, and 92±5.3% with the machine travelling speed of 3.0 km/h in laboratory. Further, it changed to 95±8.7%, and 93±5.8% when the travelling speed was used 2.5 km/h. In both cases of test plum pick-up discs were maintained 18 mm, and 28 mm gap intervals, respectively. Furthermore, in field conditions, pursuing to similar gap intervals, the plum pick-up rate was 94±4.0%, and 92±2.0% with the speed of 3.0 km/h albeit it showed 92±4.0%, and 90±3.5% when the speed was decreased to 2.5 km/h. The maximum plum pick-up rate was found at 18 mm disc intervals with 3.0 km/h travelling speeds. The crushing teeth were selected 8 mm in height by repeated test to destroy the plum seeds. The result showed 100% crushing efficiency was facilitated to entire tests at 280 RPM crushing speeds regardless of plum sizes and shapes. This machine is preferred for the farmers to control the damage of plums by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the identified pests.
        4,000원
        9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살오징어 유생 출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8, 9, 11월 여수 근해부터 평해 연안까지 총 35개 정점에서 IKMT 네트(망목 : 500μm)를 사용하였으며, 초기 생활단계의 주요 해양환경 인자인 수온은 CTD(SBE9plus)로 관측하였다. 유생의 월별 외투장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software(ver. 12.0)를 이용하였다. 채집된 살오징어 유생의 개체수는 총 228개체로 외투장 범위는 1.4-21.9㎜였다. 유생밀도 범위는 8월에 0.2-5.2inds./1,000m3, 9월에 0.1-3.2inds./1,000m3, 11월에 0.3-7.9inds./1,000m3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생은 연안측 정점보다 조사해역의 동남부인 부산 근해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8, 9, 11월의 유생출현률은 각각 64.3%, 62.9%, 68.6%였다. 평균외투장 범위는 5.24-5.68㎜였으며, 월별 평균외투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또한 외투장 분포에서 4-5㎜ 구간의 유생이 최다 출현빈도를 보였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에서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대가 8월에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표층부터 약 20m 부근까지 유생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수온대가 존재하였던 반면, 9월과 11월에는 표층부터 유생이 서식하기 적합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얕은 수심의 연안쪽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적수온대가 형성되었으며, 100m 이상의 깊은 수심의 외양 쪽 정점에서는 표층부터 수온약층의 상층부까지 유생의 생존가능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4,000원
        9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표적인 산업곤충에는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쌍별귀뚜 라미(Gryllus bimaculatus),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등이 있으며 식용, 약용, 학습애완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곤충 산업의 발달로 인한 산업곤충의 집단사육은 곤충을 시간적 제약 없이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밀폐된 공간에서 대량사육은 질병 발생 시 집단 감염 확률이 높고 결국 농가의 소득감소로 이어진다. 산업곤충 유충에서 주로 발생하는 곰팡이병과 세균병, 바이러스병은 유충의 성장을 방해하며 유충이 죽을 때 까지 감염 여부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곤충 질병 발생 조기 진단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장수풍뎅이를 대상으로 질병 감염이 의심되는 유충과, 감염되지 않은 건강충의 장내 미생물 군집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하였다. 병사충과 건강충의 장내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 구명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 감염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질병의 대량 발생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9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erican foulbrood (AFB) is caused by the bacterium Paenibacillus larvae, which is highly contagious and often lethal to honeybee broods. To control AFB, rapid diagnostic tools including those based on immunological methods are required. We produced several specific mouse monoclonal antibodies (MAbs) against P. larvae. Interestingly, a few of the MAbs were revealed to be an IgM-type antibody. To ascertain the effects of adjuvants on immunoglobulin isotype switching, BALB/c mice were immunized with various adjuvants, i.e., Freund's adjuvant (FA), Alum adjuvant, and AddaVax™ followed by the generation of hybridoma that secreted monoclonal antibodies to P. larvae. In the case of AddaVax™, all screened hybridoma clones secreted IgG-type MAbs, whereas hybridomas generated by Alum and FA secreted 91.25% (7/80) and 66.67% (11/33) respectively, IgG-type MAbs. Although the mechanism of incomplete immunoglobulin isotype switching associated with the P. larvae antigen needs further stud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ed adjuvants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munoglobulin isotype switching results.
        4,000원
        95.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온, 염분, 사육밀도 및 혼합 먹이생물 공급량과 같은 환경요인이 왕우럭 Tresus keenae의 유생사육 시 생존 및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왕우럭 유생사육의 최적 조건은 수온 20℃에서 24℃, 염분 30 psu, 사육밀도 1 ml당 5개체 및 먹이생물 I. galbana, C. simplex 및 T. suecica 혼합 공급량 10×104 세포/ml이였다. 본 연구 결과 를 통해 밝혀진 왕우럭 유생 최적의 사육 환경요인은 빠른 성장 및 높은 생존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