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9

        10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드론을 이용한 밭작물 병해충 방제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드론의 살포높이(3, 4, 5m), 진행속도(3m/sec, 4m/sec) 에 따른 하향풍 속도, 살포 폭, 약량별 감수지에서 입자크기, 살포조건별 낙하입자수 등 드론의 농약 살포특성을 조사하였다. 또, 배추의 주요해충인 배추좀나방,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하여 항공방제용 농약 4종을 대상으로 치사농도와 약량을 검정하였다. 드론 표면별 평균 낙하입자비율은 표면 80.5%, 사면 14.8%, 밑면 4.7%였으며, 살포높이별 평균낙하입자수는 3m=53개/㎠, 4m=40개/㎠, 5m=39개/㎠였고, 진행속도별 평균낙하 입자수는 3m/sec=62개/㎠, 4m/sec는 25개/㎠였다. 약제별 배추좀나방 치사농도와 치사량은 승승장구 (10배, 2㎕), 포워드(15배, 1㎕), 섹큐어(20배, 0.5㎕), 레이서((25배, 0.5㎕)였으며, 파밤나방에 대하여는 섹큐어(20배, 1㎕), 레이서((20배, 1㎕), 담배거세미나방은 섹큐어(20배, 1㎕), 레이서((20배, 0.5㎕)였다. 따라서 배추 주요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살포방법은 섹큐어액상수화제, 레이서액상수화제를 20배액으로 희석하여 3m 높이에서 3m/sec속도로 살포시 낙하 입자수 72개/㎠로 해충방제에 효과적이었다.
        103.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자체 개발된 드론을 이용하여 사진측량기술을 적용하여 3차원 수치지표면모델(DSM)개발 연구를 수 행하였다. 이 DSM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도 지역을 선정하여 24장의 사진을 개발된 드론으로 직접 촬영을 수행하였 다. 촬영된 사진의 정확한 3차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하여, 10개의 지표기준점(GCP)점을 선정하여 상대측위 지구위치시 스템(DGPS)측량을 실시하였다. 사진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3개의 GCP점을 선정하여 사진상의 좌표와 지상점의 좌표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사진좌표계과 지상좌표계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수평오차는 8.8-14.7 cm로 나타났으며, 연직오차는 12.4 cm로 나타났다. 이 정확도는 국토지리정보원(NGII)이 인정하는 1/1,000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가지는 측량결과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드론과 사진측량기법이 제주지역에서 우리가 원하는 DSM자료를 얻는데 유용한 기술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더니즘시대의 교정에서는 수용자에 대한 계호가 인적 계호와 물적 계호에 중점을 두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시대의 계호행정은 물적 계호와 인적 계호에서 둘을 혼합한 혼합적 계호로 중심이 이동하였고, 혼합적 계호는 고정식의 형태에서 모빌(Mobile)적 형태의 계호로 이동하고 있다. 그러한 모빌(Mobile)적 혼합형 계호의 하나로서 드론계호는 교도소 보안행정에서 드론을 이용한 교정사고에 대처하기 위해 최근에 나온 계호이다. 특히 드론기술의 대중화는 최근에 와서 교도소 보안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시대적 추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드론교도관의 도입의 필요성과 도입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드론교도관의 도입에서는 인본적 · 복지적 · 잔여적 · 문화적 · 젠더적 접근의 필요성을 고려할 것을 주장하였다.
        6,100원
        10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사용으로 먼저 개발되어 온 드론은 요소기술의 급격한 발전을 통해 민간 분야로 확대되면서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 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조선해양 산업계에서도 유지보수 및 점검용으로 드론의 활용이 유럽을 중심으로 본격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조선해양 분야에 적합한 드론의 기술개발을 위해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유지보수 점검의 현상태를 진단함 으로써 드론 기술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즉, 조선해양용 드론이 이미 상용화 된 선진국의 기술력을 살펴보고, 조선해양 산업계에서 드론시대를 대비하여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들을 소개한다. 또한, 이러한 드론의 시장성장 가능성을 전망함으로써 기술개발의 추진력 을 제공하고자 한다.
        4,000원
        10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드론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항공자력탐사 수행을 위해서 자력탐사 시스템과 드론 시스템을 구성하여 철광산 지 역 자력 탐사에 적용하였다. 드론에 실리는 자력탐사 시스템은 Bartington사의 플럭스게이트 자력계 Mag639를 센서로 사용하고, A/D convertor를 이용하여 태블릿PC에 자력값이 저장되도록 구성하였다. 드론의 비행 컨트롤 모듈로는 확장 성이 좋은 Pixhawk를 사용하였고, 적재 중량(Payload) 3 kg, 최대 중량 적재 시 15분 동안 비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 다. 드론의 자기장 간섭 범위 측정 실험을 통해 드론에 의한 자기장 간섭효과를 제거하였고, 정확한 위치 정보 확보를 위해 RTK GPS를 적용하였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측선에 대해서 고도를 변경하여 두 번 측정해서 자력 변화율 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지형 정보를 사용하여 지형을 따라 비행하는 비행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지형 효과를 없 앨 수 있었다. 드론 기반 항공자력탐사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자력자료는 Geometrics사의 핵자력계 G-858을 이용해 동 일 지역에서 획득한 자료와 양상이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드론 기반 항공자력탐사 시스템을 이용한 탐사 자 료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4,300원
        110.
        2017.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드론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 다. 항공법은 드론 비행에 관한 다양한 규율을 두 고 있으나 드론이 타인의 토지 위를 비행할 수 있 는가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결국, 전통적인 민법 원리에 따르면 타인의 토지 소유권이 미치는 공중공간으로 들어간 드론은 그 의 토지소유권을 침해한 것이다. 비행기의 운행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한계고 도를 설정하여, 그 한계고도 이상의 공간에 대하 여는 토지소유권이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법제화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계고도 아래에서 드론 은 항공법상 제한 하에 비행할 수 있지만, 드론이 타인의 토지 상공을 비행하는 경우 이는 소유권 침해를 구성한다고 볼 수밖에 없으므로, 드론의 자유로운 운행을 보장하는 토지소유자의 수인의 무가 사회적으로 승인되고 법제화되기 전까지는, 드론의 상업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공중공간에 드론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공로를 설정하 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5,200원
        111.
        201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드론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관 련된 법적 문제들이 하나둘씩 드러나고 있다. 특 히 드론을 이용한 범죄수사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야기하므로 기본권 보호를 위한 법적 장치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항 공법상 드론 관련 규제 및 개인정보보호법상 드론 의 감시와 관련된 프라이버시 보호장치를 살펴보 고 미국의 법제와 국내 법령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영장주의와 관련하여 형사소송법상 드 론으로 수집한 정보가 증거능력을 가질 수 있는 요건을 분석해보고 미국 각 주의 입법례를 참고하 여 드론과 관련된 국내 법률의 개선 방안을 모색 해 보고자 한다.
        5,100원
        114.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 analysis were conducted to utilize the thermal infrared image using drone to present the temperature correction method of thermal infrared image and the thermal environment by the type of land cladding. The analysis was applied to the temperature correction of the thermal infrared image and total eight thermal infrared images were produced based o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The thermal infrared image compared accuracy through RMSE calculation. Based on the result of RMSE, the thermal infrared image corrected by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was relatively accurate and contained at 2.26 to 3.58.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aggregation and waters will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green park sufficiently to improve the thermal comfort and improve the microclimate stability using the thermal infrared image and the reclassified land cover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by Drone and the usability of the drone thermal infrared image in the detection of the thermal environment. Final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the thermal environment in the city by being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policy of the thermal environment. Moreover, the macro view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itigation of urban temperature reduction and heat island.
        115.
        202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cological disturbance plants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are causing a lot of damage to us directly or indirectly in terms of ecology, economy and health. These plants are not easy to manage and remove because they have a strong fertility, and it is very difficult to express them quantitatively. In this study, drone hyperspectral sensor data and Field spectroradiometer were acquired around the experimental area. In order to secure the quality accuracy of the drone hyperspectral image, GPS survey was performed, and a location accuracy of about 17cm was secured. Spectroscopic libraries were constructed for 7 kinds of plants in the experimental area using a Field spectroradiometer, and drone hyperspectral sensors were acquired in August and October, respectively. Spectral data for each plant were calculated from the acquired hyperspectral data, and spectral angles of 0.08 to 0.36 were derived. In most cases, good values of less than 0.5 were obtained, and Ambrosia trifida and Lactuca scariola, which are common in the experimental area, were extra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bout 29.6% of Ambrosia trifida and 31.5% of Lactuca scariola spread in October than in Augus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better results can be obtained for the detection of ecosystem distribution plants if standardized indicators are calculated by constructing a precise spectral angle standard library based on more data.
        116.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at different elevations were observed and analyzed in the upper atmosphere of mud flat and reed beds at low tide in Suncheon Bay.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sensors were mounted on the drone,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by altitude (5 m, 10 m, 20 m, 40 m) at five points in the tidal flat and reed beds were observ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 ranged from 453.0 to 460.2 ppm in the morning and 441.6 to 449.7 ppm in the afterno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reed beds ranged from 448.9 to 452.4 ppm in the morning and 446.0 to 454.4 ppm in the afterno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 was higher in the morning than in the afternoon,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creased as the altitude increase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reed beds was similar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at all altitudes,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creased as the altitude increa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observed in the tidal flat in the morning was -0.54 ~ -0.77,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observed in the afternoon was 0.56 ~ 0.8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bserved in the morning in the reed field was low, below 0.3,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observed in the afternoon was 0.35 ~ 0.77.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s and reed beds, the linear function was suitable for the change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s a air temperature,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estimated linear function was higher in the afternoon than in the morn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 and the reed beds was different, and the increase rate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 and the reed beds was higher in the afternoon than in the morning.
        11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비탈면의 다양한 붕괴사고, 지반변형 등으로 인하여 비탈면 유지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비탈면에 대한 점검자의 접근성이 양호한 경우는 조치 및 대응이 적기에 취해질 수 있으나, 점검자의 접근성이 곤란한 경우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탈면의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점검자의 접근성이 양호하지 않은 비탈면에 대해서 무인체(드론)을 활용하여 비탈면 지반거동의 경시변화를 관찰하고, 이들 결과를 통해서 전반적인 지반 안정성을 사전에 파악하고자 하는 유지관리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11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reviewed the case of Gyeonggi-do province which recently induced Drone to pavement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research a plan to utilize recent technology Drone to pavement management system which is being operated depending on vehicles and manpower for 30 years. After filming video on local roads managed by Gyeonggi-do province by using Drone directly and created point cloud having three dimensional coordinate and color value through program analysis. Furthermore, this research showed that when we found similar color to point cloud at pavement crack part and applied color, crack part was detected.
        119.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developed a small sensor observation system (SSOS) at a relatively low cost to observe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he accuracy of the SSOS sensor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and meteorological tower at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Comparisons between SSOS sensors and KMA sensors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into ground and lower atmosphe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aw data of the SSOS sensor with the raw data of AWS and the observation tower by applying the root-mean-square-error to the error, the corresponding values were within the error tolerance range (KMA meteorological reference point: humidity ± 5%, atmospheric pressure ± 0.5 hPa, temperature ± 0.5℃. In the case of humidity, even if the altitude changed, it tends to be underestimated. In the case of temperature, when the altitude rose to 40 m above the ground, the value changed from underestimation to overestimation.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rrors are within the KMA’s permissible range after correction.
        12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develop a bridge inspection technology through convergence of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drone technology and hybrid image scanning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a UAV(Unmanned Aerial Vehicle) user guideline framework for bridge condition evaluation is proposed. It is presented for writing UAV user guideline that is applicate a field of a bridge inspection using this proposal framework in this study.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