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6

        102.
        2007.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accomplish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algae at the Daechung Dam with those at its regulating reservoir from the year 2003 to 2005. In the case of Daechung Dam, three sites, such as the area near dam body, the Mooneui intake station, and Chudong intake station, were selected averaged data were used for the comparison. The water quality of the Daechung Dam are an follows; temperature is from 4 to 25℃(average 15), pH is from 7.3 to 8.6(average 7.9), DO is from 5.7 to 13.0mg/L(average 9.9), BOD is from 0.7 to 1.7mg/L(average 1.1), COD is from 2.5 to 4.4mg/L (average 3.1), SS is from 1.1 to 9.8mg/L(average 3.2), total coliform is from 0 to 37MPN/100mL(average 11), total phosphorus is from 0.008 to 0.074mg/L(average 0.022) and total nitrogen is from 1.087 to 2.175mg/L(average 1.492). The water quality of regulating reservoir are an follows; temperature is from 1.0 to 24.0℃(average 13), pH is from 6.7 to 8.2(average 7.6), DO is from 5.9 to 13.2mg/L(average 9.2), BOD is from 0.3 to 1.8mg/L(average 0.8), COD is from 2.4 to 5.3mg/L(average 3.8), SS is from 1.2 to 50mg/L(average 9.0), total coliform is from 0 to 260MPN/100mL(average 56), total phosphorus is from 0.005 to 0.224mg/L(average 0.04) and total nitrogen is from 1.123 to 5.227mg/L (average 2.3). The water quality of regulating reservoir had been the Class Ⅱ raw water criteria ein years ago, but it has been improved to Class I recently. Whereas the water quality of the Daechung Dam has been maintained as Ⅱ except COD.
        5,500원
        10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자파 자기장 발생 장치를 개발하여 제작한 후, 이를 수경재배와 배지경의 양액 공급관에 장착하여 물에 자기장을 쬔 자화수 처리의 유무에 따른 수질 성분변화, 배추와 상추의 생장량 변화, 그리고 성분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화수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비타민 C 함량이 상추 2.8배, 배추 1.2배로 더 많았다. 또한 자화수 처리에 의한 생장촉진 효과는 상추의 수경과 배지경 재배에서 현저히 나타났으나 배추의 토경재배는 자화수 처리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따라서 토경재배 상추에서 자화수 처리에 의해 생장과 비타민의 함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0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해역의 수질특성 및 일차생산 증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담수 유입 후 규조류가 대량 번식한 상태와 담수가 유입되지 않고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해수의 수질특성을 조사차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호우로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된 해역에서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와 Thalassiosira spp.가 각각 1,200~5,000cells/mL, 750~1,200cells/mL의 농도로 관찰되었다. 2)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수온, PH, 용존산소농도가 높게 조사되어, 두 곳 사이의 거리가 20m 정도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두 곳의 수질특성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질소 인, 규소의 농도가 낮게 조사되어, 호우로 질소, 인, 규소보다는 규조류가 증식하기 위해 필요한 미량원소가 육지로부터 풍부하게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DIN/DIP, DIN/SiO2-Si 비는 모두 규조류가 대량 증식한 정점과 그렇지 않은 정점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4,000원
        10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5개의 염색폐수배출업소에서 각각 3회씩 채취한 최종 방류수를 대상으로 한 생물독성시험 결과 미생물독성시험에서는 B시료와 E시료에서 독성이 관찰되었고 급성 물벼룩시험에서는 반수치사농도가 C시료에서만 관찰되어 염색폐수의 독성이 시험 생물종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동일 생물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급성 및 만성시험에서는 급성반수치사가 5개 방류수 중 C시료에서만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관찰이 된 것에 비해 만
        4,000원
        11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characteristic of acid mine drainages (AMD) from abandoned mines in Kangwon-Do. Youngdong abandoned mine, and Soo and Hambaek abandoned mines in Hamta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verage pHs of the mine drainages were 3-6.5, and those of Youngdong and Hambaek drainages were very acidic as 3-4. SO4-2 of Youngdong and Hambaek drainages were over 1,600 mg/L, which higher than average value (845 mg/L) of acid mine drainages in nationwide. Cu, Mn, and As concentrations of the drainages were lower than ‘Pollutant Discharge Permission'. Fe concentrations of Youngdong and Hambaek drainages were approximately 96 mg/L, which were two times higher than average value in nationwide. From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discovered between 'contaminants' analyzed in three acid mine drainages.
        4,000원
        11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아해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계절변동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1995년 2월,4월,7월과 10월 4회에 걸쳐 계절별로 23개 관측점의 표층과 저층 해수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시아해는 2월에 최저수온, 8월에 최고 수온을 나타내나, 염분은 6, 7월에 높고 겨울에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연중 빠른 유속과 조석혼합 등으로 수층 간 혼합된 양상과 매우 낮은 투명도를 나타내고
        5,100원
        117.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 situ observations and the seawater analyses were conducted at all seasons from July 1996 to April 1999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Mokpo harbour, Korea. Vertical stratification started to be formed in water column in spring, developed in summer and disappeared in fall. In summer, vertical density distribution of water column was found to be in stable structure with lower temperature and higher salinity of bottom water, and the vertical mixing of water between surface and bottom layers was restricted. In winter, however, surface water was found to be similar to bottom water in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water column was in unstable structure and in well-mixed condition between surface and bottom waters. The saturation percentage of dissolved oxygen(DO) in bottom water of inner part of Mokpo harbour at all seasons was shown to be decreased to the third grade or under the third grade of Korean standards of seawater quality. In particular, dissolved oxygen was oversaturated in surface water and undersaturated in bottom water in summer, due to stratification and organic pollution. The difference of DO concentration between surface and bottom waters was found to be greater in spring and summer than in fall and winter, due to stratification and photosynthesis of phytoplankton. The concentrations of chemical oxygen demand(COD) over the entire waters of Mokpo harbour were found to fluctuate from below the third grade to the first grade of Korean standards through all seasons and COD concentrations of same seasons were shown to be different year after year. In particular, in view of COD, the annual average sea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was evaluated to be in third grade of Korean standards, due to organic pollution. The average COD of surface water was greater than that of bottom water in spring and summer, due to the autochthonous COD caused b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n surface waters, while the average COD of surface water was similar to that of bottom water in fall and winter, due to the vertical mixing of water between surface and bottom layers.
        4,000원
        119.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6년과 1997년도 2년동안 1월부터 12월까지의 영남지역의 5개소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조사한 지역은 낙동강 유로연장 521.1km중 57%에 해당하는 경상북도 유로구간 298.1km로서 상류지역 3개소(안동, 상주, 구미), 중류지역 2개소(왜관, 고령)로 총 5개소에 대해 실시하여 낙동강의 수질오염 특성을 알아보고 낙동강 수질 개선 및 장례에 예상되는 수질악화에 대비한 물 관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본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낙동강의 조사지역 5개소의 pH는 공히 6.5~8.6 정도를 나타내었다. 2. 용존산소량(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여름철에 낮아지고 겨울철에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3. 부유물질(SS)은 여름철에 급격히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4. 총인과 총질소는 조류가 번식하여 부영양화를 일으킬 만큼 높은 수준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당한 수준의 양이 관찰되었다. 5. -N와 -N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 관찰되었다.
        4,000원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