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

        10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600원
        108.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09.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110.
        199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11.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112.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113.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1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eduction in the area of cultivation and production is a difficult factor to solve in order to expand Boxthorn's culture for the main reasons for the aging agricultural labor and rising unit prices. Increasing the area of cultivation and production requires less labor and ease of work.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provide improved plant type to increase the area of cultivation and to secure efficient machinery harvest. Methods and Results : The variety of experiment is 'whasu' and was cultivated in 2015 and planted in fields on April 4, 2016. The plant types were 150 × 50 ㎝ T-shaped fence plant type. The number of times to be cut was two, and the branches were extended to produce fruits. The typical T-shaped fence plant type for comparison is made of two stems, 10 ㎝ in length, and a single cut, then a long stretch of branches for harvest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difficult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quantity of the handy type harvesting machine in order to make the re-ordination, and from the following year it was possible to verify. Major items such as stem number, stem length, quantity, time of harvest, and efficiency of harvest were investigated when applying the handy type harvesting machine. Two stems had 20% more branches than a single stem, while the yield increased by 7%. Two stems, five ㎝ long, and two cuts were numerous and long, and the quantity was 33% higher than the customary T-shaped fence plant type. When working with the machinery harvest work, the ratio of work performed was 62% for harvesting, 19% for collection, and 19% for separation of foreign materials. The proportion of the collector work and the segmentation of design materials was 38%, which was an urgent problem to be remedied. Two stems, five ㎝, and two cuts increased the quantity by 33% compared to the customary method of T-shaped fence plant type, and the machinery harvest work efficiency was 56% higher, making it suitable for handy type harvesting machine. Conclusion : T-shaped fenceplant type of two stems, five centimeters, and two cuts was a good shape for Handy type harvesting machine.
        115.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두와 살구의 종간 교잡 과종인 플럼코트 ‘Harmony’ 품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재식거리 6×3 m 조건에서 덕이 없는 Y자 수형, Y자 팔메트 수형으로 재배하고 수체 생장, 과실 특성, 과실 수확량을 비교하였다. 재식 5년차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덕이 없는 Y자 수형, Y자 팔메트 수형에서 수체 생장량은 유사하였으나 수관 점유율은 Y자 팔메트 수형에서 높았고, 주당 수확 과실수 및 수확량도 Y자 팔메트 수형에서 높았다. 과실의 과중과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수형간에 차이가 미미하였으며 덕이 있는 Y자 수형에서 과실 낙과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재식 4~5 년차의 결과로 보아 Y자 팔메트 수형은 덕이 없는 Y자 수형에 비해 수관점유율 확대가 빠르며, 과실 착과량이 증가하고, 과실 낙과율을 경감하여 수확량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117.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CCD 및 TFT LCD 기반의 평판형 디지털 X선 센서를 이용한 많은 디지털 X선 영상장치가 활용되 고 있으며, 특히 포톤계수형 센서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톤계수형 센서 의 정량적 성능 평가 항목인 포톤계수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포톤계수형 센서 물질에 입사되는 X선 플루엔 스 측정하였다. IEC 61223-1-2 권고안의 RQA-M2 Radiation beam quality를 이용하여 포톤 플루엔스 를 측정한 결과, 10 μm 핀홀 영역에서 입사 광자 플루엔스는 4 photon/unit area․ ․ μGy, 30 μm 핀홀 영역 에서 약 50 photons/unit area ․ μGy, 100 μm 핀홀 영역에서 698 photons/unit area ․ μGy의 플루엔스로 규정할 수 있었다. 셋업된 입사 플루엔스를 이용하여 포톤계수형 센서 물질에서의 X선 조사시 출력파형을 측정함으로써 실제 포톤계수효율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sidered chances of additional income, if farmers raised silkworms in unused mulberry leaves, after harvesting mulberry, investigated yields of mulberry leaves in vinyl-house and optimal amount in raised silkworms, First, the results was investigated productions of mulberry leaves in the mulberry tree-shape of vinyl-house, T-shape harvested 7.07 kg, Y-shape was 6.55 kg,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 of it was harvested 4.75 kg mulberry leaves/1 mulberry tree, was harvested 49%, 38% more each. Also, yields of mulberry leaves was used 302 kg when was raised 1box of silkworms in the mulberry tree-shape of vinyl-house. In other hand, yields of raising silkworms was analysed in the mulberry tree-shapes of vinyl-house, mulberry leaves of 1,000 ㎡ vinyl-house mulberry tree was raised average of 3.74 boxs silkworms, in the concrete conventional-shape was 3.24 boxs, T-shape did 4.17 boxs and Y-shape was 3.83 boxs, Consequently, if the farmers of 1,000 ㎡ vinyl-house mulberry tree raised silkworms with unused mulberry leaves, could get 1~1.2 million won additionally.
        11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온난화에 따른 온도상승으로 벼는 등숙기간 중 고온에 의한 벼 품질과 수량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고온 적응형 품종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온 적응형 고품질 품종개발을 위해서는 등숙률 향상과 도정수율이 향상된 우량계통을 육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실험은 국내 품종 및 계통에 대하여 수형과 관련 있는 항목 및 도정특성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등숙률과 도정수율에 관계하는 특성과 우수계통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11품종 및 계통을 보통기 보비 재배하여 1, 2차 지경수, 지경별 등숙률, 수당립수, 수수 등 농업형질과 제현율, 현백률, 도정률, 완전미율 등 도정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전체적으로 1차 지경에 달린 알맹이의 등숙률이 2차 지경에 달린 알맹이의 등숙률보다 높았으며 품종간 편차도 1차 지경보다 2차 지경에 달린 알맹이의 등숙률 변이가 더 큰 경향이었다. 1차 지경수는 1차 지경 등숙률과 부의상관, 수당립수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2차 지경수는 수당립수와 정의 상관, 현백률과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현백률과 도정률은 1차/2차 지경비율 및 1차/2차 지경립 비율과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수당립수와 2차 지경수는 현백률과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분상질립율은 등숙률, 2차 지경 등숙률과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1차지경에 달린 알맹이의 현미 정상립율이 2차 지경에 비해 높았고 1차 지경과 2차 지경에 달린 알맹이의 현미 정상립율 차이가 적은 품종은 추청, 일미, 운미 등으로 도정수율과 등숙률 향상을 위한 재료로서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12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까지 TFT 기반의 평판형 어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X선 영상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광계수형 센서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계수형 X선 영상 센서의 정량적 성능 평가를 위한 기시법 제시를 통해 광도전체 물질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광계수형 X선 영상 센서의 검출물질인 광도전체의 누설전류 및 X선 민감도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신호 정형 시간 결정을 위한 상승시간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광도전체에 입사하는 단위면적당 포톤수를 정의하기 위해 IEC 62220-1-2 권고안을 바탕으로 셋업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하수집효율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광도전체 층의 누설전류는 200pA/mm2, X선 민감도는 7μC/cm2R이며, 상승 시간은 0.765μs으로 평가되었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