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10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남 통영 욕지도에 참치양식용 내파성 가두리 설치시 Cochlodinium polykridoides 적조 발생에 대한 적정 침강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장시간 동안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 현상을 조사하였다. 욕지도 근해의 식물플랑크톤 총 세포밀도는 월별에 따라 매우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규조류가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다. 여름철 와편모조류의 종 조성을 보면 Gymnodinium sp.가 총 19회로 가장 많은 출현 횟수를 보였고, 특히 C. polykrikoides도 총 8회로 나타났다. 또한 Karenia brevis 및 Fibrocapsa japonica와 같은 유독성 적조생물도 출현하여 이 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장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일출과 일몰에 따른 Chl-a 농도의 변화와 총 세포수의 변화는 상호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어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은 표층으로부터 최소한 3m 침강시켜야 C. polykrikoides 적조로 인한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04.
        201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경남 통영 욕지도에 참치양식용 내파성 가두리 설치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대한 적정 침강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24시간 수직이동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6년 동안의 욕지도 근해해역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참치양식의 성공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욕지도 근해의 식물플랑크톤 총 세포밀도는 월별에 따라 매우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규 조류가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다. 여름철 와편모조류의 종 조성을 보면 Gymnodinium sp.가 총 19회로 가장 많은 출현 횟수를 보였고, 특히 C. polykrikoides도 총 8회로 나타났다. 또한 Karenia brevis 및 Fibrocapsa japonica와 같은 유독성 적조생물도 출현되어 본 지역에 대한 식 물플랑크톤 모니터링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출과 일몰에 따른 Chl-a 및 총 세포수도 일치한 결과를 보여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은 표층으 로부터 3-5 m 정도 침강시키는 것이 효율적인 깊이로 나타났다.
        10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굴 양식 산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양식수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수출 감소, 국내 내수시장 소비의 한계, 양식 환경 악화와 같은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있다. 적정하고 지속적인 굴 생산은 어장환경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적지 선정을 통하여 달성 가능하고, 양식장의 적지 선정은 양식장의 성공적 개발에 중요한 열쇠이며, 지속가능한 개발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GIS 기반의 다중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수하식 굴 양식장의 적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인자들은 GIS에서 보간법에 의해 추출되었고, 여덟 개의 환경 인자들이 두 가지 기본 서브모델로 그룹화 되었다. 이는 굴 성장에 관련된 인자(수온, 염분, 해수유동, 클로로필 a)와 양식장 주변 환경에 관련된 인자(저층 DO, 총유기탄소, 퇴적물 산휘발성 황화물, 저서군집 다양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합 점수는 가장 적지인 8점에서부터 가장 적합하지 못한 1 점까지의 규모로 가점되었으며, 총 80.1%의 잠재 지역이 가장 높은 점수 5점과 6점으로 채점되었다. 이 지역들이 거제한산만에서 굴 양식을 위한 가장 최적의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GIS 기반의 적지 선정 기법은 공간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함으로서 어장관리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106.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merical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otion and mooring tension response of submersible fish cage systems in irregular waves and currents. Two systems were examined: a submersible cage mooring with a single, high tension mooring and the same system, but with an additional three point mooring. Using a Morison equation type model, simulations of the systems were conducted with the cage at the surface and submerged. Irregular waves(JONSWAP spectrum) with and without a co-linear current with a magnitude of 0.5m/s were simulated into the model as input parameters. Surge, heave and pitch dynamic calculations were made, along with tension responses in the mooring lines. Results were analyzed in both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s and linear transfer functions were calculated.
        4,200원
        10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집단감시 디지털 시스템(Group Digital Surveillance System for Fishery Safety and Security, GDSS-F2S)은 대단위 양식장에 침입하는 도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물체 식별정보와 물체 추적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GDSS-F2S에서 제공하는 이러한 두 가지 정보는 도적행위를 입증할 수 있는 법적 증거 자료로 미흡하다. 그래서 양식장의 지형을 고려한 도적행위의 유효한 대응책을 검토한 후, 하나의 해결방안으로 물체의 영상정보를 고려하였다. 앙식장을 침입하는 물체의 실시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0.0001 룩스(Lux)의 초저조도 CCD 카메라와 부가장치를 이용한 영상 획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영상 획득 시스템을 부가한 GDSS-F2S의 현장실험 결과, 차량의 번호판과 외관, 사람의 행동과 특징 등을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선명하게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영상획득 시스템을 부가하여 개선한 GDSS-F2S는 도적행위에 대한 충분한 법적 증거 제공이 가능하였다.
        4,000원
        108.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어장에 침입하는 도적을 감시하기위한 어장보호 시스템의 구현절차와 구현결과를 기술하였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가부터 고가 및 단순 기능부터 복합 기능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육상으로부터 0.5 마일 이내에 총 50개(가로 10열, 세로 5열)의 케이지가 밀집된 전라남도 진도군 소재 전복 양식장에서 구축한 시스템을 현장 실험하였다. 그 결과, 구축한 시스템이 양식장 전체는 물론 단위 케이지까지 세밀하게 감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109.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ansion of near shore aquaculture is feasibility of moving aquaculture facilities into the open ocean. Numerical modeling technique using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enable the optimum design and evaluation of submersible aquaculture cage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mooring loads response in mooring lines under waves and current and their response amplitude operators were calculated for single and three point mooring configuration at the surface condition and submerged one. The static mooring loads without wave and current loading were similar for both the surface and submerged configuration. It was calculated that three point mooring was more adequate than single point mooring for the mooring configuration of submersible aquaculture cage system. The wave induced response amplitude operators for the single point mooring configuration with the influence of currents were identical to those without the influence of currents.
        4,000원
        11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고급해산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어패류 및 해조류를 포함하는 양식어업은 국내어업에 대한 총수입중 50.6%를 차지하고 있는 어가의 주 소득원 중의 하나이다. 최근 국내어장에서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어패류 도난사건의 피해액은 매년 건당 수십만에서 수천만원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영세어가에 적용할 수 있는 양식어장 보호를 위한 레이더 감시시스템의 모델을 제안하고, 시스템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외에서 양식어장보호 감시시스템이 개발된 바가 있지만 구축비용이 고가이므로 국내 영세어가에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4,000원
        111.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로형의 양어시설에서 틸라피아 사육시 성장도 및 사육수의 수질을 파악하여 수경재배시설에 수로형 사육시설의 병용 가능성을 조사하고, 펜타이트 파이프를 이용한 간이 수로형사육시설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폭 2m, 높이 1m,길이 19m의 수로형 사육시설 위에 수경 베드를 설치하고 틸라피아를 양식하였다. 수질은 사육하는데 이상 없이 유지되었고, 수로형 시설에서의 틸라피아의 성장은 원형사육시설에서의 그 것과 대등하였다. 따라서 수경재배시설에 수용할 수 있는 양어시설은 수로형이 적합하며 사육환경이 정상적이므로 수로형 사육시설의 도입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양어수경 복합영농어시설은 높이 1 m, 폭 1.4 m, 길이 20 m의 크기로, 기둥은 25mm의 펜타이트 파이프와 사육조는 5m의 PP판넬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biofilter로는 모래를 10cm 정도 채워 작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간이수로형 양어수경 복합시설의 구조를 고안하였다.
        4,000원
        112.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어 및 수경재배 시설의 효율적 이용가능성을 검사하고 이의 효율적인 결합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양어ㆍ수경병용온실에서의 미기상 환경 특성과 그 환경에서의 작물의 생육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체중 428.6g의 틸라피아 성어는 147일간에 1.83배로 성장하였고, 평균 체중 12.9g의 치어는 61일 동안 1.37배의 성장율을 보여 정상적으로 성장하였다. 2. 미나리, 상추, 배추 및 실파 공히 수경재배구에서 보다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초장, 생체중 등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3. 두 처리구에서 양액의 pH및 EC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양액 온도는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약 2℃가 높았다. 4. 일중의 온도 및 습도변화양상은 평균온도가 각각 23.8℃ 및 20.9℃로서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약 2.9℃ 더 높았고 상대습도는 약 6%높았다. 3. CO2 농도는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약 200ppm 정도 높았다. 6. 수경재배구보다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잎의 순동화율이 다소 높았다. 그러므로 동일한 시설공간내에 수경재배와 양어를 병행한다면 난방비의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양어와 엽채류의 성장에도 상호보완적인 가중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11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n aquaculture effluent is recognized as a source of water pollution, many methods are being researched to solve this problem.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aquaculture effluent contains many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calc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effluent from bio-floc technology (BFT) inland aquaculture for fertilizing blueberry ‘Duke’ to promote the growth.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commercial blueberry farm in Jinju, Gyeongsangnam-do, where blueberries are actually cultiv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fertilizers in situ.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five treatments: control with only irrigation, conventional nutrient solution fertigation, and the fertigation with three concentrations (×1, ×0.5, or ×0.25) of effluent from BFT (Bio-Floc Technology) inland aquaculture. The treatment period was from the beginning of April, when a new leaf of blueberry began to develop, to the middle of June, when the blueberry was harvested, for a total of 10 week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reatments with effluent from BFT inland aquaculture showed better growth qualities than those of control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treatments regarding the total fruit produ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effluent from BFT inland aquaculture can be used for the cultivation of blueberry because it is equivalent to conventional cultivation method. This study provided a new viewpoint of recycling the effluent from BFT for agricultural purpose to reduce water pollution problems due to aquaculture wastewater.
        114.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interest in urban agriculture and people’s demand for eco-friendly food grow, the number of urban gardeners who directly grow and harvest will incr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conventional fertilizer with the effluent water from the biofloc technology inland aquaculture in the concept of resource circulation as a substitute for fertilizer used in urban agricultur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fertilizer on the cultivation of cherry tomato, tomato seedlings were transplanted on the horticultural soil without nutrients and treated for 8 weeks. Experimental treatment was carried out in five treatments: control, hyponex solution (HS), slow-released fertilizer (SF), effluent water daily treatment (DE), and effluent water treatment once a week (W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cherry tomato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except for root length. In the case of plant length was shown HS=WE›DE=SF›control, and stem diameter was shown DE=SF ›WE=HS›control. It was found that HS and W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oot length and diameter, and DE and SF showed no difference. In the case of number of leaves, HS, DE, and W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SF and control. In other growth characteristics, DE and SF showed higher growth. As for the growth of cherry tomato fruit, the sugar cont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except control. Weight per fruit and yiel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S and WE than DE and SF.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effluent water is comparable to the use of urban agricultural fertilizer as compared with chemical fertilizers in cultivating crops.
        115.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a useful method of utilizing effluent water from the BFT inland water culture. Recently Sludge and effluent water have been noted to cause water pollution. Therefore, this progressive study of recycling method will replac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ation. Effluent water from inland water culture contains many fertilization ingredients. This study used different using methods of fertilization. As a result, effluent water that isn't matured and diluted had positive effects on the growth of lettuce. Effluent water of undiluted involved many mineral elements and proper pH concentration for plants growth but which are involved many concentrations of Na + ion. High concentrations of Na + ions are harmful for the growth of plants. This experiment did not show plants adversely affected by Na + ions. Potentially Na + ions can cause physiological disturbances of the plant. Effluent water smells because effluent waters using is need to additional pre-treatment for removal its high concentration Na + ions and bad smell.
        116.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that can be discharged emerging from inland water cultures, problems in the processing of effluents are recognized as environmental pollution sources are difficult accordingly. As a result, in this study, the effluent water as such a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rried examine the availability of as organic fertilizer to be used for cultivation of crops. The study tested using 3 types of crops, As a method of using as a fertilizer in a particular solution that was created and practices to liquid fertilizer solution use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ffluent. After you grow crops in a certain amount of irrigation once every week for each processing it was analyzed for the differences of content of the functional substance and growth of crops. As a result a certain amount of the effluent water in the stock solution, the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s and growth of crops were found to be superior to other processes in irrigation which was treated weekly.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effluent water from BFT inland water culture has been found to give a positive effects on the contents of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growth of crops. Studies on a method for utilizing the effluent water as a fertilizer is considered further required.
        11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2 years of farming, at the indoor 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four kinds of skeletal deformities were found among 60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Deformities saw jawbone’s luxation, abnormality of upper lip and malocclusion. Spinal deformity was most fatal deformities with low weight and small length. Jawbone’s luxation had 1 maxilla and 2 mandibles. Abnormality of upper lip had just lip was back over. Malocclusion’s left maxilla and right maxilla were not balanced. This experiment was any deformities in this species through the deformity can grasp how it affects.
        118.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co-friendly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IMTA) farming technique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resolving eutrophication by excess feed and feces as fish-farming by-products. A variety of seaweed species were tried to remove inorganic nutrients produced by fish farming. However, there have been few trials to use Sargassum fulvellum in an IMTA system, a species with a relatively wide distribution across regions with various habitat conditions, great nutrient removal efficiency and importance for human food source and industrial purposes. In this regard, our study tried to examine feasibility of using S. fulvellum in an IMTA system by analyz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in an IMTA system comprising of rockfish (Sebastes shlegeli), sea cucumber (Stichopus japonocus) and the tried S. fulvellum (October 2011 – November 2012). We also monitored environment conditions around the system including current speed, water temperature and inorganic nutrient level as they may affect growth of S. fulvellum. S. fulvellum in the IMTA system, which were 15.72±5.67 mm long at the start of the experiment in October 2011, grew to a maximum of 1093±271.13 mm by May 2012. In September, seaweed growth was reduced to a minimum of 280±70.43 mm in length. Then, S. fulvellum began to grow again reaching 325±196.19 mm by November 2012. Wet weight of the seaweed was 4.01±1.89 g at the start of the experiment and reached a maximum of 109.26±34.23 g in May. The weight gradually declined to a low of 15.12±8.40 g in September 2012. Weight began to increase once more, rising to 39.27±21.69 g by November. During the experiment, the average velocity at the surface and the bottom was 6.5 cm/s and 3.4 cm/s, respectively.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5.0-23.5℃, which was considered suitable for growing S. fulvellum.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organic nutrients between pre- and post-IMTA installation. It was thus concluded that S. fulvellum can be a suitable seaweed species to be used in an IMTA system.
        11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ste deposit & refund system was performed in order to recycle the waste since 1992, and this system developedinto the 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system since 2003 in Korea. Many products and packaging materialsare recycled by this system, and government published the ‘EPR Practical Manual (2007)’ to estimate the actual recyclingrate. According to styrofoam-buoy (SB) included EPR item in 2010, SB does not practical to estimate the recycling rate,EPS (Expanded Poly-Styrene) was recycled only. So in this study, SB recycling rate also includes ‘EPS+parts’ was toestimate through the field investigation. As a results, parts portion of SB are 3.49% when manufactured, and 2.03% whenrecycled. And process loss, contaminant content, parts portion and yield of EPS ingot are 0.00%, 64.28%, 0.71% and35.01% in SB recycling, respectively. In the future SB recycling rat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EPS ingot productionand parts recovered.
        12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차 산업인 수산물 양식업은 다양한 자연재해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기술의 낙후 등으로 국내 어류양식업계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 등의 위험으로부터 어업경영의 재해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안정성을 도모하고 어류양식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의 모색이 요구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 양식업에 큰 영향을 주는 태풍과 적조의 최근 10개년도 발생 현황과 피해현환을 분석하고, 양식업의 생산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어업피해에 대한 원인별 분석 및 재해위험도 자료 분석을 실시하고 아울러 피해원인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양식장 재해에 대한 비구조적, 구조적, 제도적인 종합적 방재대책을 고려한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