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106.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의 합성 성페로몬의 교미교란 효과를 이용한 방제 기능성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3년 부터 1994년까지 2년간 야외포장에서 검정한 결과 충의 밀도는 '93년에는 무처리에 비해 외대파에서 1.9%, 고추에서는 12.5%, 감자에서는 4.4%정도이었으며, '94년에는 외대파 처리면적 10 ha, 20 ha 에서 각각 5.9%, 5.2% 수준이었다. 또한 작물별 피해율은 '93년에 외대파 0.2%, 고추와 감자에서는 0.0%이엇고 '94년에는 10ha에서 16%, 20ha에서 3.0%로 낮게 조절되었다. 처리면적에 따른 방제효과는 10월까지 10ha에서 80%, 20 ha 에서는 90% 수준을 유지하여 1회처리로 방제가 가능하였다.
        4,000원
        108.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구류의 난기생봉인 Anagrus incarnatus Haliday의 기주탐색, 고매행동, 산란습성 그리고 생색형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괴가 있는 엽초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188.5초였고 기주에 도달후 안테나의 drumming시간은 17.5초, tapping 72.4초, 삽입하여 산란하는데 206.7초 걸렸으며 교미 시간은 16~21초 정도였다. 본 종은 양성생식과 단위생식을 겸하며 교미시의 암수 비율은 약 3:1이었고 자성단위 생식형이었다.
        4,000원
        109.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 pheromone을 이용한 이화명나방의 교미교란효과를 구명하고저 합성 성 pheromone, (Z)-11-hexadecenal과 (Z)-13-octadecenal을 4,5 : 1로 공시하여 본 시험을 야외에서 수행한 결과 1화기에는 30a당 합성성 pheromone 29.3g 처리한 구에서 의 교미교란효과가 인정되었고 2화기에는 당 합성 성 pheromone 33mg 처리까지도 교란효과가 있었다.
        4,000원
        110.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을 투사한 이화명나방의 교미능력 및 경쟁력 조사를 5-7령 번데기에 gamma선을 투사하여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 처리웅충과, 정상적인 수컷에 매일 새로운 미교미자충을 넣어 주었을 때 그들간에 교미 최고회수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2. 교미초일은 정상웅충의 경우 평소 1.5일이며 25.30Krad 처리웅충은 2.4일이었다. 교미 일 간격은 정상웅충이 1.3일인데 대하여 처리웅충은 3.0일이었으며 방사선 투사는 교미력에 영향이 있었다. 3. 정상웅충 1두에 정상자충 5두와 10두씩을 넣어서 정상웅충의 평균교미회수를 조사한 겨로가 1.2회와 2.5회이었다. 4. 교미경쟁력 실험에서 미교미자충 5두에 대하여 방사선 투사 웅충과 정상웅충의 비율을 1:0, 1:1, 2:1, 1:2, 5:1, 1:5, 0:1로 하였을 때 난부화 감소율은 5:1(30Krad)에서 최대의 감소를 보였으며 이때의 난부화율은 이었다. 5. 방사선 투사는 교미능력에 다소의 영향을 미치나 처리웅충에 의한 산란수 감소의 영향을 고려한다면 이화명충에서 웅성불임 기술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11.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불나방을 재료로 곤충의 교미습성중 우화시간, 교미시간, 1회교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나방의 우화후일령이 교미율에 미치는 영향등을 밝히기 위하여 실내시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흰불나방은 오후 3시부터 우화가 시작되어 오후 12시경에 끝나며 우화최성시각은 오후 7-8시 사이었다. 이때 암컷은 숫컷은 우화하였다. 2) 흰불나방은 오전 5-6시 사이에 교미하여 그 외 다른 시간에는 교미하지 않는다. 1회 교미시간은 최단이 7시간, 최장이 17시간이며 그 평균은 12시간이었다. 3) 흰불나방은 2회까지 교미할 수 있으며 1회 교미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실내시험결과 암컷은 1회 교미가, 2회 교미가 , 미교미가 , 이었으며 숫컷은 1회 교미가 , 2회 교미가 , 미교미가 이었다. 야외에서 채집된 암컷의 교미는 1회가 , 2회가 , 미교미가로서 야외의 것이 실내의 것에 비하여 2회교미하는 율이 높았다. 4) 흰불나방은 우화후 4일까지 교미한다. 우화된지 6-15시간후부터 교미하는데 이때에 의 높은 교미율을 보이지만 4일에는 의 낮은 교미율을 보인다. 5일 이후 교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자웅보다 동일 일령인 것 끼리 교미하며 일령이 다른 것과는 거의 교미하지 않는다.
        4,000원
        112.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is distributed throughout Europe, Africa, Australia, and South Asia. It habits mainly in the cave in small groups and forming communities in late spring. It has interesting reproductive behavior because it keeps sperm for a few months in female reproductive tracts and then those sperms attend in fertilization. This breeding pattern is a sperm storage type and belongs to Rhinolophidae or Hipposideridae. The greater horseshoe also habits in Korea. However, the reasons of reproductive behaviors has not much uncover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s of ovary and the levels of steroid hormones were investiga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The histological, ELISA, and immunohistochemical methods were employed. The pre-ovulatory follicle was detected only at October sample. On the other hand, the blood level of testosterone was not detectable but the levels of 17β-estradiol and progesterone were exist within the detectable range. E2 and P4 levels were peak in October. Besides, the key enzymes for estradiol synthesis, CYP17 and CYP19 were localized in the theca layer and granulosa cells, respectively. October is known as mating time in this species. However, progesterone receptors could not detect at this period. Put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estrogen and the absence of progesterone receptors on preovulatory follicle is the cause of the mating without ovul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regulation in this system will be base of the understanding the anovulation in mammals.
        113.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안지역 소나무 집단의 화분유동과 교배양식 모수를 추정 하기 위하여 7개 microsatellite 표지로 모수, 주변 성목 및 종자 에 대한 유전변이를 분석하였다. 이형접합도 기대치(He)와 근 교계수(F)는 각각 모수에서 0.614과 0.018, 종자에서 0.624과 0.087이며, 각 세대간에 차이는 없었다(P > 0.05). MLTR로 추 정한 타가교배율(tm)은 0.967이며, 양친간 근연계수(tm-t s)는 0.057, 부계상관(rp)은 0.012로 나타났다. 기존에 보고된 소나 무의 동위효소 분석 결과에 비하여 타가교배율은 높고 근친교 배 및 부계상관은 낮았으나, microsatellite 표지를 이용한 소나 무류의 결과들과는 유사하였다. TwoGener로 추정한 최적 화분 비산 모델은 유효밀도(d = 220 trees/ha)를 가정한 정규확산모 델로 판명되었으며, 평균 화분비산거리(δ )는 11.42 m로 계산되 었다. 화분원 유전적 분화(Φft)는 0.021이며, Mental 검증에서 모수간 지리적 거리와 화분원의 유전적 분화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141, P > 0.05). 부안지역 소나무 집단 은 대부분의 화분이 가까운 거리에서 공급되지만, 화분수의 유 전다양성이 높고 화분원의 유전적 차이가 작은 상태로 추정된 다. 이러한 조건에서 완전한 임의교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 자의 유전자형이 다양하며 세대간 유전변이의 감소가 없는 것 으로 사료된다.
        114.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assess parameters of mating system in seed orchard, such as outcrossing rates, number of potential pollen contributors, and degree of pollen contamination, seeds, produced in '77 plot of the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seed orchard at Anmyeon island, were collected in 2007 and analysed by nSSR and cpSSR markers. Estimates of outcrossing rates ranged from 91.2 to 100% (mean 97.7%)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cpSSR haplotypes and from 81.6 to 100% (mean 95.3%)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nSSR genotypes. By cross checking of both DNA markers, seeds, presumed to be products of self pollination on the basis of single marker, were confirmed as outcrossed seeds, which resulted in cumulative outcrossing rates of 98.9%. On the basis of pooled cpSSR haplotype of each seed, the number of pollen contributors and paternal contribution rates were estimated as 14.8 and 0.512, respectively. In conclusion, considering pretty high level of outcrossing rates observed in a seed orchard, good genetic potential of the seeds, produced in '77 plot of the seed orchard of Japanese red pines at Anmyeon island, may be guaranteed. Investigated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mating system of Japanese red pines in a '77 plot of the seed orchard may also b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seed orchard of the progressive generation.
        115.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ting behavior, time sequence of mating and time limit with which female can fulfill spawning and brooding after pre-spawning molting in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Mating happened spontaneously as the following sequences: courting gesture, seizure of female by male, mounting, turning of female, copulation. The entire mating lated approximately seven minutes. The endopodite of 2nd pleopod of male bore the appendix masculins whcih are male's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cinciulli was formed at the distal portion of appendix interna which are on the upper portion of appendix masculins and helped stabilizing the connection of each side of 2nd pleopod during mating. After the connection of each side of 2nd plepod was fixed on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thoracic sternum in female, a gelatinous spermatophore that emitted at the basipodite of 5th pereiopod during courting gesture was deposited on the ventral groove of 2nd, 3rd, 4th and 5th pereiopod. time limit which female can fulfill copulation and brooding was from 3 hours to 15 hours after pre-spawning molting.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