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8

        10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drainage slope to collapse. The presence of drainage has a low correlation with the collapse of the slope. But drainage of the drainage ha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the decay slope. Therefore, the drain state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evaluate the drainage.
        102.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MSW incineration fly ash as an economic material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Pb, Mn, Fe, and Cu) from AMD. Batch adsorp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 adsorbent dosage and contact time on metal ions removal in synthetic AMD using MSW incineration fly ash. Precipitation of calcium hydroxide and sodium hydroxide was used for comparison with MSW incineration fly ash by adjusting the pH (5 ~ 11) by coagulation method with 20 min reaction time. Comparing the application of Ca(OH)2 and Na(OH), fly ash proves more efficient which may be due to its porosity and chemical composition. The results from adsorption studies showed that maximum adsorption rate was achieved at 0.4g dose when various fly ash dosages were added to the solution with 60 min optimum time and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was over 96%. The effectiveness of fly ash can be related to its high calcium (CaO 55%) content. Efficiency of heavy metals removal was directly linked to the amount of fly ash in the reaction mixture and to the final pH attained. pH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eavy metal uptake. The main removal mechanism was adsorption at the surface of the fly ash together with the precipitation and co- precipitation from the solution with chemicals. Therefore the use of MSW incineration fly ash for treatment of AMD would represent a new market opportunity for this waste product. It can also be useful for neutralizing AMD and possibly reduce its adverse effects to the environment with efficient removal of metal ions from AMD.
        103.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id mine drainage (AMD) has emerged as one of the greatest environmental threats facing mining industry owing to its characteristic low pH, high acidity and elevated concentrations of metals and sulphate content.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iency of fly ash as a low cost material to remove heavy metals (Cu, Fe, Mn and Pb) from AMD. The effects of varying contact time, dosage and pH on adsorption were investigated using synthetically prepared AMD. The experiments was conducted in series of batches for adsorption using a mechanical shaker with 50mL AMD at various dosages of fly ash (0.1 - 0.8g/L) and coagulation using a standard jar tester of 1000mL AMD with chemical coagulant dosages (0.5 - 10g/L). Tests were also conducted with 50mL AMD without fly to evaluat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fly ash to chemicals. All tests were performed in duplicate for consistency and accurac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fly ash was characterized by X-ray fluorescence (XRF) and the result shows the fly ash is rich in calcium (CaO 54.9%). Leaching test of the fly ash was conducted using KLST and TCLP method to compare the results and evaluate the behavior of leaching ash in replenishing acidic media at low pH such as acid mine drainage. pH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eavy metal uptake in this study with increased in pH value the removal rate increased. The optimum dosage for Adsorption was found to be 0.4g/L with 60 min optimum contact time and coagulation 6mg/L with reduced metal concentrations much less than regulation standards for Cu, Fe, Mn and Pb. From all tests conducted fly ash proves more efficient with over 96% removal even at low dosages.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cess will depend on the quality of the fly ash and the AMD. Therefore the use of fly ash for treatment of mine wastewater would represent a new market opportunity for this waste product. Recycling of fly ash will conserve the natural raw materials and abridge the disposal cost. It will also create new revenues and business opportunities while protecting the environment. Most significantly, the two waste products acid mine drainage and fly Ash could be neutralized and when reacted together to produce much cleaner water broadly compared to post process water derived from Lime treated AMD and sulfates removal rates were in the range of 90% in both experiments. Fly ash is more economical, sustainable.
        10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meteorological disasters have frequently occurred in rural areas. As a result, there have been growing concerns over the protective measures needed. In order to avoid natural risks and damage, and to strengthen countermeasur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local governments needs to be prepared.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prevent meteorological disasters through mapping of inundation vulnerability in agricultural land, Chungcheongnam-do. In doing so, this study were considered 5 variables (i.e. precipitation, region of altitude below 50m, region of slope gradient is below 10 degree, distance from river within less 50m) for creating vulnerability map. The precipitation was excluded in five variables. Since, the precipitation which include Daily maximum precipitation, 2-Daily maximum precipitation, summer precipitation was not any correlation among them. The results of analysing four variables, exclusive of precipitation, were showed that the agricultural lands where located in Dangjin, Buyeo, Hongseong and Asan were low correlation of inundation vulnerability by overlapping analysis. Moreover,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showed low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s and the annual average area of agricultural lands’ inundation, whereas, the correlation analysis which was overlapping each factor showed high correla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create reliable vulnerability map in agricultural lands, Chungcheongnam-do, it must be considered to overlap analysis of the four main factors such region of altitude below 50m, region of slope gradient is below 10 degree, distance from river within less 50m. We suppose that this study’s analysis can help to set the preparedness site of agricultural lands inundation.
        10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able production of green manure crop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in South Korea. Most green manure crops including hairy vetch cultivated in South Korea must be passed cold winter s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ment of cultivation zones on green manure crops under paddy field in South Korea using on minimum temperature and drainage class. In order to build the spatial distribution map, hairy vetch, triticale, barley, rye, and clover as green manure crop were selected and mean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drainage class in paddy field were considered as limiting factor for stable growth of green manure crop. And cultivation zone on green manure crops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vailability area’ and ‘Safety area’. Low limit temperature on green manure crops in this study was the following. Temperature on ‘Availability area’ was –10℃, –8℃, –6℃, and –20℃ for hairy vetch (including triticale), barley, clover, and rye respectively. And temperature on ‘Safety area’ was lower –2℃ compared to that of ‘Availability area’ exception rye which was the same degree. Rye was expected to safely cultivated the almost whole paddy field (99.71%) of South Korea. ‘Safety area’ among the whole paddy field for hairy vetch, barley, and clover were 86.58, 53.06, and 15.76% respectively. The spatial distribution map of green manure crops reestablish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he policy and agricultural management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using green manure crops in South Korea.
        106.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댐 운영에 있어서 저수지 초기 담수 시 또는 집중호우 등에 의한 급격한 수위 상승 방지나 운영 중에 댐체 점검 및 수리 또는 자연재해로 인한 위급한 상황 발생 등 저수지를 비워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비상 시 방류할 계획 및 설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이러한 비상방류에 대한 기준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안정성 제고를 위해 유사시 저수지 저류량을 안전하게 배제시킬 수 있는 비상방류 설비를 저수지 모의 모형인 HEC-ResSim 모형을 이용하여 규모 및 배제일수에 대하여 모의하고 산정하였다. 저수지 규모에 따라 세 개의 댐에 대해 검토하였다. 대상댐은 저류용량을 기준으로 10억 m3 이상인 소양강댐과 1∼10억 m3 댐으로 합천댐, 1억 m3 미만의 댐으로 대곡댐을 선정하여, 방류시설의 규모를 산정하고 배제일수를 모의하여 기준의 적정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10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 저영향개발) 시설의 우수유출저감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모델 선정 및 모델링 기법 정립을 목적으로 XP-Drainage와 XP-SWMM을 적용하여 비교·검토하였다. 최근 도시의 외연적 확산으로 불투수지역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앙집중식 빗물처리시설에 의해 우수가 배제되고 있어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수 발생 시 도시유역에서 우수배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로인해 도시홍수, 비점오염원 유입으로 인한 하천 및 지하수 오염, 지하수·하천 건천화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도시 물순환 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LID 시설은 기존의 빗물관리방식의 대안으로 도입된 사전 예방적 분산형 빗물관리기법으로 미국의 PGDER(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에서 시작되었다. LID는 기존 우수 유출 관리에 적용되었던 방식이 아닌 녹색 공간 확보, 자연형 공간 조성, 자연상태의 수문순환 기능 유지 등을 활용한 개발 대상지에서의 우수유출 및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환경부는 개발사업에 대해 LID 적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며, 이에 따라 LID 시설의 우수유출저감 효과를 사전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LID 시설의 도입 및 설치가 필요하다. XP-Drainage 모델은 기존에 개발된 LID 시설이 적용 가능한 모델 중 가장 적용성이 높고 다양한 LID 시설을 구축 및 유출·수질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우리나라의 특수한 여건을 반영한 LID 시설 유출해석 위한 기본모형으로 도입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 climate change has made natural disasters become large-scale, diversified, and concentrated, causing social and economic damages one after another.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and the scale of subsequent damag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more than 90% of damages are caused by rainfall, wind speed, and snowfall. In particular, flood damage accounts for the greatest percentage of damage, which prompts us to prepare necessary preventive measures. Flood damage caused by river inundation often occurred in the past. Recently, however, inland flood damages, such as the inundation of Gangnam Station in 2011 and 2012, caused by urbanization have been increasing, which makes it necessary to simulate flood inundation and calculate the damages while considering the effect of inland inundation as well as river inund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inland inundation reduction effect through a simulation of flood inundation utilizing flood pumping stations in Anyang River. An economic analysis was also conducted. In addition, this study prepared/compared the flow inundation map based on the existence and operation of flood pumping stations during a localized heavy rainfall event and tried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by comparing the expected flood damage and the cost of flood pumping stations using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ssessment. Through this study, results will be provided as reference data for qualitative flood inundation simulation and economic analysis of the basin where natural discharge of direct runoff is impossible and compulsive drainage is taking place.
        10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유역의 저지대에서 집중호우에 따른 내수침수의 방지를 위해 빗물펌프장이 설치되어 있다. 현재 국내의 빗물펌프장은 자동화시스템에 의한 펌프 운영으로, 기준수위 도달 시 펌프 가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있다. 빗물펌프장에 설치된 펌프는 기계 및 전기 공급 시스템에 따라 모든 펌프를 한번에 동시 가동할 수 없으며, 현재 빗물펌프장 시스템은 펌프의 on/off가 각각의 펌프 한 대씩 순차적으로 가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펌프운영의 제한성으로 인하여, 빗물펌프장에 설치된 펌프의 종류에 따른 토출량이 상이할 경우, 펌프의 on/off 가동 순서에 의하여 빗물펌프장 운영의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수 유역면적, 유수지 및 펌프 용량 등 현장 여건에 따라 최적의 펌프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펌프장의 운영 방식 개선을 통해 펌프 조합 및 on/off의 여러 case를 통해 일반적이고 현장 운영자들이 적용하기 쉬운 운영 방식을 연구하였다.
        11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하는 도심지에서의 내수침수에 대한 구조적 대책으로 지하방수로가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국외에 기설치된 지하방수로 사례에서 발생되는 문제인 맨홀 분출사고를 예측하여 적절한 설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관 내부에 갇힌 공기의 압력을 고려한 관 흐름 해석 모형이 필요하다. 지하방수로 내에 급격한 빗물 유입에 따른 유속 증가와 수위변동에 의한 단파 현상이 나타남과 동시에 공기의 부피가 수축되어 관내에 큰 압력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관수로 내의 단파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수치모형을 구축하였다. 기존 연구의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보정 및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FVM(Finite Volume Method)을 사용하여 1차원 Saint-Venant 방정식을 이산화하여 대수 방정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Roe Approximate Riemann 수치 기법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방수로의 동수역학적 거동을 해석하였다. 단파의 발생을 모의하기 위해 불연속점을 다루는 수치기법인 제한자(Limiter)를 활용하였고, 공기의 압력흐름과 개수로의 혼합흐름 해석이 가능한 Preissmann slot model을 적용하였다. 기존의 운동량 방정식에 기체의 압력항을 추가하여 유체와 기체의 흐름을 고려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분출(gushing)현상을 모의하였다. 관수로 내의 단파거동 해석에 적합한 1차원 모형을 개발하였고, 추후에는 지하방수로의 위험 시나리오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설계 및 시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111.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사상의 빈번한 발생과, 도시화로 인한 토지이용의 변화로 도시유역의 침수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도시에서의 홍수배제는 우수관거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부분 집중호우의 발생이후 하수도 시스템의 용량부족으로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유역의 침수방지를 위한 내수배제시설에는 배수문, 배수펌프, 유수지, 우수관거 등이 있다. 도시유역에서의 침수피해는 지역 물 순환을 고려한 내수배제를 위해 내수 및 외수를 함께 고려하여야 하고, 유역의 재산상 피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원활한 홍수량 배제 및 침수피해의 감소를 위해 각각 시설별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습침수가 발생하는 도시유역으로 서울시의 도림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도림천 유역은 최근 폭우발생시 침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한곳이다. 도림천 유역은 관악산에서 발원하여 관악구, 구로구, 동작구등 도심지를 관통하며 하천의 일부가 복개되어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도림천 유역은 총 17개의 배수분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침수피해는 복개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하천의 범람, 하수관거 및 펌프장의 내수배제 불량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한 곳은 신림3, 4 배수분구이며, 이러한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내수배제시설의 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적용 가능한 내수배제시설을 선정하고, 시설별 내수 침수 저감율을 산정하였다. 불투수율이 높은 도시유역 유출특성을 고려한 홍수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도시유출모형인 SWMM 모형을 이용하여 관거에서 우수의 흐름을 모의하였고, 이 결과 발생한 월류량을 홍수범람해석 모형인 FLUMEN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범람해석을 실시하였다.
        112.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설계빈도 이상의 집중호우 발생시 배수로에 퇴적된 토사 및 유송잡물은 배수로의 통수능력을 감소시켜며 배수로 월류로 인한 토양의 습윤량 증가는 산사태의 발생가능성을 향상시킨다. 2011년 우면산과 2014년 부산의 산사태 발생은 토사 및 유송잡물등에 의한 주거지역 및 주요시설물 지역등에 직접적인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비슷한 토사재해의 사례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배수로 설계기준에서는 토사 및 유송잡물 퇴적으로 인한 배수로 통수단면적 감소의 저감기준이나 저감대책등은 전무한 실정이며 배수로 막힘방지를 위한 저감시설이나 침사지등의 시설은 계획되지 않았다. 배수로 설계시 배수로의 단면여유를 20%정도만을 고려하였을 뿐 명확한 토사퇴적에 대한 대비체계는 검토되지 않았다. 산사태 발생시 토사 및 유송잡물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고 배수 및 통수불능에 의한 2차적 피해가 크므로 이에 대한 저감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토사 및 유송잡물등의 퇴적을 고려한 배수로 설계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로 막힘방지를 위한 토사 및 유송잡물의 거름시설의 설치를 통해 배수로로 유입하는 토사 및 유송잡물을 포착하고 배수로의 통수능력을 확보하여 재해예방을 통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저감하고자 한다.
        11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uggested an improvement of existing tunnel drainage system to prevent pavement crack, floating, rising due to tunnel seepage water at the time of heavy rains. First, we derive the main cause through case studies of poor drainage, such as pavement damage due to tunnel seepage water at the time of heavy rains, poor drainage in the changing sections of superelevation, and pipe clogging due to calcification. On this basis, we suggested four drainage improvement systems depending on the range of watering and its urgency, as follows: Drain hole drilling and installation of induced ditch, Pipe installation connected to collecting well, Installation of block out on the side of collecting well and filter layer, Installation of holes for maintaining dummy ditch. In conclusion, through such improvements suggested above, we expect that we will be able to effectively prevent pavement damage due to tunnel seepage water. Consequentially, it will also contribute improving the safety of vehicles in the expressway.
        11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by drainage methods in poorly drained sloping paddy field. The soil moisture contents of under pipe and open ditch drainage on very poorly drained paddy soil were 18.52±4.58 and 19.01±4.25%, and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were 14.87±4.82 and 18.64±3.85%, respectively. Moistur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of adzuki bean with drainage methods were 10.10~11.60, 14.13~21.75, 0.02~0.73 and 2.81~3.45 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dzuki bea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drainage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by drainage methods were 2.73~4.14 mg GAE/g, 1.07~1.43 mg CE/g, and 1.27~1.84 mg TAE/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2.84~4.47 and 5.11~6.74 mg TE/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adzuki bean by drainage methods were frequently affected soil water.
        115.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oxtail millet (FM) and proso millet (PM) by drainage methods in poorly drained sloping paddy field. The experimented soils in this study were very poorly drained (VPDP) and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IDP). Two drainage methods namely under pipe drainage (UPD) and open ditch (ODD) were installed within 1-m position at the lower edge of the upper paddy fields. The soil moisture contents of UPD and ODD on VPDP were 18.52±4.58 and 19.01±4.25%, and IDP were 14.87±4.82 and 18.64±3.85%, respectively. Generally, crop yields, proximate and minerals composition of FM and P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drainage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of FM and P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drainage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M and PM by drainage methods was 1.69~2.30 and 1.18~1.35 mg GAE/g, total flavonoid content was 0.31~0.76 and 0.27~0.41 mg CE/g, and total tannin content was 0.36~0.54 and 0.21∼0.28 mg TAE/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M and PM was 39.53~59.81 and 27.91~40.25 mg TE/100 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13.59~152.10 and 61.38~79.19 mg TE/100 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M and PM by drainage methods were frequently affected soil water.
        11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월탄광에는 산화조, SAPS, 소택지의 3단계 자연정화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갱내수를 모아 정화한 후 주변 하천으로 유출시키고 있다. 일월탄광 갱내수의 pH 값은 계절에 관계없이 2.28-2.42로 낮은값을 나타내지만 산화조를 거치는 동안 pH 값은 6.17-6.53 급격하게 증가한다. 정화시설에 의한 정화효율은 SO4, Mg, Al, Ca, Mn은 각각 약 50%, 40%, 100%, 24%, 59%이다. 갱내수의 Fe는 아주 낮은값(1.06-1.09 ㎎/ℓ)이지만 정화시설을 거치는 동안 100%의 제거효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일월탄광에 설치한 정화시설은 pH 상승과 Fe와 Al의 제거 효율은 높지만 SO4, Mg, Ca, Mn 등은 60% 이하로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이러한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른 정화기술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H 2.28-2.42 범위인 갱내수가 유입되는 정화시설 바닥에 침전되는 침전물은 슈워트마나이트이며(Fe8O8(OH)6SO4), pH 5.83-5.96인 침출수에서는 2-line 페리하이드라이트(2-line Fe2O3⋅0.5H2O)가 침전된다.
        117.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performed cause of sedimentary, field maintenance practices, such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s. And device was developed through research for treatment of accumulated sediment. This study proposed method of treatment of accumulated sediment in agricultural irrigation and drainage channel for underlying treatment of accumulated sediment and easy to maintain through an indoor pilot experiment and field performance test using development device.
        11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심지 지표에 내린 우수유출은 자연유역과는 다르게 다양한 지형지물의 영향을 받아 유하하다가 통상 도로의 빗물받이를 통해 관망으로 유입되며 이후 관망시스템을 통해 하천이나 저류지로 방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현재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는 1차원 상용모형은 이와 같은 현상을 명확하게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도심지 유출해석시 주로 이용하고 있는 SWMM모형의 경우 지표부분에 대한 해석은 소유역을 구분하고 소유역별로 비선형저류방정식을 적용하여 소유역에 대한 유출량을 산정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심지의 다양한 지형지물에 대한 고려가 어려울 수밖에 없으며, 특히 빗물받이를 통해 관망으로 유입되는 부분은 생략되어 계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배수특성을 고려한 격자기반 유출해석기법을 개발하고 Test-Bed에 적용해 보았다.
        11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도시지역의 내수침수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내지의 초과 우수를 하천으로 강제 배수시키는 빗물펌프장에 대한 설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빗물펌프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내수와 외수의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본류 수위 증가로 인해 배수위 영향을 받는 지천의 경우에는 본류 수위 변화를 고려해야 하고, 본류 합류부에 배수문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빗물펌프장의 운영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배수문 조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빗물펌프장과 배수문의 최적 설계 및 운영 방법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존 수치모형을 이용한 결과뿐만 아니라 빗물펌프장 운영 시 실제 흐름특성 변화를 관측한 자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봉1 빗물펌프장과 개봉1 배수문을 대상으로 홍수 시 빗물펌프장 운영에 따른 배수문 주변의 흐름특성을 측정하였다. 유속분포 측정은 표면영상유속계를 이용하였으며, 측정 구간은 배수문 직상류와 직하류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유속분포 측정 결과 홍수위 상승 시와 하강 시 배수문 주변의 흐름특성 변화뿐만 아니라 빗물펌프장 운영에 따른 배수문 주변의 흐름특성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12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기인한 이상기후에 따른 기상재해가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대규모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폭염·가뭄·폭설·태풍 등 이상기후의 발생빈도 및 규모가 전 지구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상기후 및 기후변화로 인해서 극치강수량의 평균과 분산이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성이 실제 강수자료로부터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극치강수량의 평균 및 분산에서 나타나는 변동성을 빈도해석 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으나 기존 정상성 빈도해석 시에는 과거의 통계적 모멘트가 미래에도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정상성 가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경향성 및 주기성으로 대표되는 비정상성을 원천적으로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철도기상사고를 발생시키는 주요 기상현상은 강우, 폭설, 낙뢰, 강풍이 대부분이며, 가장 많은 발생빈도를 보여주는 기상현상은 강우현상으로 약 200회 발생하여 철도사고 전체의 49.7%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여름철 집중호우 및 태풍 등으로 인한 강우현상에 대하여 미래목표연도의 연최대 강수량를 추정하고, 목표연도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누적평균 강우자료와 이동평균 강우자료를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료계열에 나타나는 비정상성의 영향만을 고립시키기 위해서 확률분포함수는 Gumbel 분포함수를 적용하였고, 매개변수 추정시 최우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전국 9개 주요역이 존재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철도선로 배수시설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