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3

        123.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ive some help for housewives recognizing the desirable purchase of processed foods and food additives. This results were abtained as follows; In case of purchase action for processed foods of housewives confirmation of manufacturing date was the highest point(4.62). When housewives bought processed foods they considered the taste of them as first, and frequencies of processed foods intake showed the ratio of 46.6%, also it was shown to be used once a week. The order for use of processed foods were milk, milk products(butter, cheese, yoghurt, lactic bacterium beverage) 40.2% >canned foods 22.6% >meat products(ham, sausage, bacon) 20.9% > jelled fish 16.3%. Most of housewives wanted to hav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food additives at the highest point(4.11). The interest about food additives of housewives was shown to the order of synthetic preservative 3.86 >chemical seasoning 3.74 >synthetic sweetener 3.59 >synthetic coloring agent 3.53. Also, it was shown to be thought that the hazard factors effected on food safety were agricultural chemical residue(30.9%), environmental pollution(25.2, food additives(23.0%), and microorganism contamination(20.9%).
        4,000원
        130.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mption of meat processing products in was creased in Korean recently. Morever the demand of tasted meat processing products being gradual increase in general tendency, and so we expect that in the continuing of westernizing for food life and universalizing of urvanism, the demand of meat processing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meat processing industries, consummeris particular behaviors were analyzed as for consummer's recognition, recognition of problem, the evaluation of substitutional proposal, the decision of purchasing intention an purchasing behavior and the evaluation of post-purchasing to the meat processing products.
        4,200원
        13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consumers intend to make environmentally purchase. However, this is not always what occurs. A gap exists between consumer intentions to purchas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and their actual purchase behavio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ituational factors such as price sensitivity, product quality perception, and labe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First, we conduct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on price sensitivity, product quality perception, label trust,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designed a structural model and developed the hypotheses. Next, we collected data using a survey and processed them statistically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A total of 213 sampl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LISREL 8.70).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ituational factor of label trus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However, price sensitivity and product quality perception have no moderating effect. This means that trust in labels is important when consumers want to buy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ositively trigger follow-up research.
        132.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ub-dimensions of fashion social media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ocial quality, service quality, system quality) and investigate how they affect purchase intention through fashion information use behavior (information acceptance, information diffus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wice for systematic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In the first data collec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search variables were verified through 238 respondents and questionnair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ir responses. In March 2018, the final survey was conducted from 755 respondents the age of 20 to 49. Using SPSS 23.0,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test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echnique was employed using AMOS 23.0. Results - First of all, fashion Social media quality consists of four factors including information quality, social quality ,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Second, fashion Social media information quality, social quality , and system qualit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acceptance behavior, and social quality ,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behaviors of fashion information through fashion Social media had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its identification of the components of fashion Social media quality and for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information acceptance and diffusion behaviors,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ashion involvement is the key factor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Social media,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and, by extension, the purchase of fashion products. Practitioners in the fashion industry may 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order to build more effective Social media strategy.
        133.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돈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2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총 5주 동안 ‘돈’을 주제로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돈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적 접근 방법인 돈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134.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구매행동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 화장품 시장의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통하여 청소년의 니즈를 분석하고,청소년 화장품 시장의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거주 남, 녀 중, 고등학생으로 서울 지역의 중, 고등학교 10곳을 선정하여 1092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1074명의 실증자료를 얻어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기초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색조화장품의 사용 빈도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을 처음 사용하는 연령도 점차 낮아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여드름으로 고민하고 있으며, 피부고민 해결방법으로는 화장품 사용이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 장소로는 브랜드샵이 가장 많았고, 제품의 효능, 효과를 구매의 가장큰 포인트로 삼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에 대한 학교와 사회의 제재와 통제는 여전히 존재하며, 반면에 화장품 사용의 양성화를 원하는 청소년들의 요구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135.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국에서 중요한 소비 계층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대도시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제 발전, 교육수준, 제품품질, 기술연구, 생활수준, 민주 체제의 요소로 국가이미지를 측정하여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식품, 의류패션, 생활용품, 음악제품, 자동차, 가전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별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제품을 제외한 식품, 생활용품, 의류패션, 음악제품, 자동차 구매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표본 구성의 한계로 인해 본 연구의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 하나 국가이미지의 각 구성 요소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국가이미지 구축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또 각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중국시장에서의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3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 불만족이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성공적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G도에서 개최된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방문객 35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의 불만족 수준은 7점 Likert 척도를 기준으로 3.29점에서 3.85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둘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 불만족 요인 중 직원, 환경, 전시시설은 불평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원, 환경은 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 불만족 요인 중 전시시설만이 재방문의도 및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방문객의 불평행동 요인은 재방문의도 및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양레저전시이벤트 개최의 성과 지표인 안정적인 방문객 확보를 위한 서비스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138.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화장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여대생들의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시장 세분화를 통하여 더 많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기능성화장품의 지속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4년제 여자대학교 2곳을 선정하여 34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300명의 실증자료를 얻어 SPSS WIN 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다수의 여대생들이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고민 해결방안으로 주로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화장품의 구매 장소로는 백화점이 가장 많았고, 구매 시 고려사항으로는 제품의 효능 및 효과가 가장 많았다. 기능성화장품 중에는 자외선차단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9.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성들은 대개 고등학교 졸업 후 화장을 시작한다. 이들은 경제력은 낮지만 자신의 화장품을 스스로 선택하여 높은 화장품 수요를 보이는 집단이다. 그래서 이들은 저가 화장품 시장의 주 고객이 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독립된 화장품 시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저가 화장품의 주 타깃인 여대생의 저가 화장품 구매성향을 분석하였다. 타깃 및 시장 세분화를 통하여 더 많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잠재고객 확보를 통해 저가 화장품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저가 화장품의 사용실태와 구매 만족도를 파악하고 여대생의 올바른 소비문화를 유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대생 320명 중 불성실하게 답변한 자료를 제외한 305명을 실증 분석하여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대생들 중 저가 화장품을 사용한 적이 있는 사람이 90.1 %이었고 제품 선택 기준으로는 제품 품질을 우선으로 답하였다. 또한 저가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저가 이미지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14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facilitate consumers’ purchase of EAP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comparing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in terms of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EAP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s, and overall evaluation on EAP. Data were collected by 562 Gwangju citizens selected through snowball and convenient sampling procedures in 2007. Purchasers were more likely to be female, older, and in a higher income level than nonpurchasers. Purchasers, who were more knowledgeable about EAP, had a higher tendency to obtain EAP information through more diverse sources, and more relied on EAP certification mark to distinguish EAP. Purchasers were also more concerned about the safety from pesticides and had more confidence in the safety of EAP than nonpurchasers. Purchaser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facilitation of EAP’ and "provi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EAP’ than nonpurchasers. Generally purchasers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EAP and higher intention to increase their EAP purchase in the futur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