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4

        12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2년간(1999~2000)의 장백산 곤충조사결과 뿔나방科의 20종이 채집 확인되었다. Anacampsis popullela를 제외한 전종은 모두 장백산에서 처음 확인되는 종이었으며, Scrobipalpa atriplicella (Fisher and Roslerstamm)와 Anarsia lineatella (Zeller)는 한반도에서 그 분포가 알려지지 않은 종이다. Carpatolechia dehania (Park, 1993)는 Pseudotelphusa 속에서 새로운 속명으로 재조합되었다.
        4,000원
        122.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말이나방과에 속하는 무늬 잎말이나방족의 3종 <Ac1eris paradiseana Walsingham 산마가목잎말이나 방(신청), Ac1eris caerulescens (Walsingham) 굴피나무잎말이나방(신칭), Trophocosta cyanoxantha (Meyrick) 꼬마점무늬잎말이나방(신칭)>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들의 분류학적 특징을 간략히 재기재하고, 채집된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이 중 Trophocosta속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
        4,000원
        123.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바둑명나방의 온도별(15.0, 17.5, 20.0, 22.5, 30.0, 32.5, )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에서 68.6일이었고, 에서는 19.7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 기간이 짧았으며, 에서는 보다 불육기간이 3.5배나 짧았다. 그리고 에서는 알에서 번데기 전단계까지는 발육하였으나 번데기에서 우화하지 않았다. 알, 유충, 번데기, 그리고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 10.6, ,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55.3, 251.5, 138.3, 479.8일도였다. 부화율, 용화율 그리고 우화율은 와 27.5에서 높았다. 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생존율은에서 가장 높았다. 산란전기와 성충수명은 17.5에서 각각 11.5일, 30.6일이었고, 에서는 각각 1.5일, 9.2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다. 그리고 암컷한마리당 평균 총산란수는와 에서 많았다. 1세대당 순 증식율()은 에서 199.1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내적자연증가율()은 온도가 높아 갈수록 컷으며 에서 0.148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목화바둑명나방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범위는 25.0~이었다.
        4,000원
        126.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잎말이나방과는 3개의 아과 중 현재까지 잎말이나방아과(Tortricinae), 애기잎말이나방아과(Olethreutinae)가 기재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서 얼룩잎말이나방아과(신칭)(Chlidanotinae)에 속하는 Mictocommosis nigromaculata(얼룩잎말이나방)(신칭)를 기재하여 3아과 모두가 한국에서 확인되었다. 본 종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포함하여 재기재하였다.
        4,000원
        127.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Gelechiinae아과의 3종, Angustialata gemmellaformis Omelko(가는날개뿔나방), Chorivalva grandialata Omelko(얼룩무늬뿔나방), 그리고 Eulamprotes wikella(Linnaeus)(별꽃뿔나방)을 미기록종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간략한 재기재를 포함하여 성충과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4,000원
        128.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tielloides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4종이 기록되어 있는 작은 으로서 전 종을 재료로하여 분류학적으로 재정리하였다. 그 중 E. sejunctella(Christoph)(흰띠회색알락명나방)와 E. kogii Yamanaka(흰띠갈색알락명나방)를 한국미기종으로 보고한다. 종래 보고되었던 2종을 포함, 4종의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주식물의 기록과 함깨 필요한 부분을 재기재 하였다. 또한 성충과 암.수 생식기에 의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4,300원
        12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4개 지역으로부터 채집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미토콘드리아 DNA중 COI 유전자 일부 (438 bp)의 염기서열을 결정, 유전적 다양도 및 유전자 이동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집단 유전적 구조 및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총 21개체로부터 13개의 mtDNA haplotype을 얻었으며 이들의 변이는 0.3~1.4%로 다른 곤충을 대상으로 한 유사연구와 비슷한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haplotype 다양도는 매우 높았다(평균 h=0.81). 지리적으로 먼 제주도의 개체군과 경남 김해 두 지역(11km 거리)의 개체군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유전적 격리(p<0.05%)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신 상당한 정도의 세대당 암컷 이동률(Nm=2-30)을 보였다. 또한 GenBank에 등록된 하와이의 배추좀나방 haplotype은 본 연구에서 얻은 것들과 유전적으로 흡사하였다. 종합적으로, 국내 배추좀나방은 전체적으로는 많은 haplotype수에 기인한 적절한 크기의 유전적 분화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지적으로는 상당한 이동력에 의한 장거리 이동으로 개체군내 높은 haplotype 다양도를 보이며 동시에 지역간의 유전적 유사성을 나타낸다고 요약되었다.
        4,000원
        130.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락명나방족의 Salebria vinacea(Inoue) (콘알락명나방), Apomye1ois fasciatella Inoue(붉은맥알락명나방), Oligochroa bitinctella (Wileman) (작은네점알락명나방), O. bilineatella (Inoue) (검은쌍줄알락명나방), Metriostola betulae(Goeze) (회미무늬알락명나방), Psorosa decolorella Yamanaka(반검은알락영나방) 6종을 한국산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또한 4종, S. vinacea(Inoue), A. fasciatella Inoue, O. bitinctella(Wileman) 그리고 O. bilineatella (Inoue)의 암컷을 최초로 기재하였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기주식물의 기록을 정리하였다
        4,300원
        131.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ri Lanka의 Lecithoceridae과 정리의 제6편으로 Alciphanes Meyrick, Parelliptis Meyrick, Carodista Meyrick, Synesarga Gozmany, Kalocyrma Wu, Technographa Meyrick, Mnesteria Meyrick, Teucrodoxa M Meyrick, Heterodeltis Meyrick, Pseudocrates Meyrick, Oxygnostis Meyrick, Dinochares Meyrick, and Dolchotorna Meyrickt속의 29종을 정리하였다. 그중 3종의 신종, Carodista fabajuxta sp. nov., Kalocyrma epileuca sp. novo and K. oxygonia sp. nov.,을 기재하였으며, 다음 12종의 학명은 그 속을 재구성 (new combination)하였다: Alciphanes tetraclina (Meyrick), A. holocona (Meyrick), A. palathodes (Meyrick), A. isochra (Meyrick), A. latycapna (Meyrick), Carodista paroristis (Meyrick), C. lycopis (Meyrick), C. geraea (Meyrick), C. epigompha (Meyrick), C. nubigena (Meyrick), C. paroristis (Meyrick), and Synesarga paroena (Meyrick).그리고 Catacreagra Gozmany은 Carodista Meyrick의 새로운 synonym으로 정리하며, Pseudocrates soritica Meyrick은 Sri Lanka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4,300원
        132.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Lecithocerinae아과와 Torodorinae아과(Lecithocerinae, 남방뿔나방과, 신칭)의 분류학적 검토결과 Lecithocerinae아과에 속하는 1신종, Lecithocera daebuensis sp. nov.과 3미록종, Homaloxestis croceata Gozmany, Athymoris martialis Meyrick, 그리고 Halolaguna sublaxata Gozmany를 발표한다. 그리고 Lecithocera paraulias Gozmany는 L. metacausta Meyrick의 동종이명으로 정리한다.
        4,200원
        133.
        199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락명나방류의 Nephopterix maeanmii Inoue(남방알락명나방), N. immatura Inoue(황통색알락명나방), Pempilia ellenella (Roesler)(가는 줄알락명나방) 3종을 한국미기종으로 고하며, Psorosa taishanella Roesler(복숭아잎말이알락명나방)의 암켯을 최초로 기재하였다. 그리고 Pyla manifestella Inoue(검불은알락명나방), Pempelia maculata(Staudinger)(주황점알락명나방)을 포함하여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숙주식물의 기록을 정리하였다.
        4,200원
        134.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락명나방족의 굵은수염알락명나방, Spatulipalpia albistrialis Hampson; 긴수염알락명나방, Sandrabatis crassiella Ragonot; 검은줄알락명나방, Ceroprepes nigrolineatella Shibuya; 점박이알락명나방, Myelois cribrella (HUbner); 흰줄무늬알락명나방, Assara terebrella (Zincken); 삼각무늬알락명나방, Assara funerella (Ragonot); 밝은세모알락명나방, Nyctegretis achtinella katastropella Roesler; 검은자주빛알락병나방, Pseudocadra cuprotaeniella (Christoph); 밤알락명나방 Euzophera batangensis Caradja 등 9종을 한국미기 록종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기주식물의 기록을 정리하였다.
        5,100원
        135.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미(Sativa oryzae L., 품종 일품)에서의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stella H)의 발육과 생명표와 통계량을 다섯상이한 온도 조건(17, 20, 25, 28, )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에 대한 발육반응은 성 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사 온도범위에서 나방의 발육일수와 성충 수명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짧아져서 에서 각각 30.4일과 5.6일이었고 에서 각각 5.1일과 2.0일이었다. 우화율도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높아져서 에서 6.2%였고 에서 25.6%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부화율은 에서 5.3%로 정점에 도달한 후 다시 감소하여 를 경계로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부화가 저해되었다. 암컷 당 산란수는 17SIM 28의범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에서는 유의하게 적어서 산란수와 부화율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하였다. 암컷을 산란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화 2일후로 집중되었다. 순증가율은 에서 가장 높았고 와 의순으로 낮아졌으나 내적 자연증가율은에서 가장 높아 일당 0.065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빠른, 높은 우화율, 산란의 우화초기집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136.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부전나비과 40종 2,850여 개체를 재료로 광학현미경으로 발향린의 유무 및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중 발향린이 확인, 관찰된 8종을 대상으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비교하였다. 발향린이 관찰된 종은 Pseudozizera maha(K.), Celasrtina argiolus(L.), Everes argiades (P.), Lycaeides argyronmon(B.), Zizina otis(F.), Maculinea arionides(S.), M. teleius(B.), Niphanda fusca(B. et G.)등 8종이었다. 암컷에서는 발향린이 관찰되지 않았고 수컷에서만 확인되었으며, 앞날개의 표면과 이면, 그리고 뒷날개의 표면에서 관찰되었다. 발향린은 주로 중맥, 주맥, 둔맥에 분포하였으며 종별로 형태적 차이를 보였다. 확인, 관찰된 8종의 발향린은 잎새, 자루병반만을 가지는 단순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Niphanda fusca는 잎새모양과 자루병반의 위치 등 많은 차이점이 확인되었으며, Pseudozizeera maha, Everes argiades등 2종에서는 두가지 형태의 발향린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찰된 8종은 모두 Polymmatina아과에 속하였다. 이중 Niphanda fusca는 Niphandini족에 속하며 나머지는 Polymmatini족에 속하였다.
        4,000원
        13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caeosopha속의 1종을 신종으로 기재, 발표한다. 이 속은 구북구지역에서 처음으로 기록된다. Scaeothyris Diakonoff은 Scaeosopha Meyrick의 synonym으로 정리한다.
        3,000원
        138.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재주나방과를 정리한 결과 1신속 및 1신종(Lophontomira parki sp. nov.)을 기재하고 한반도 미기록종 3종(Harpyia tokui Sugi, Drymonia japonica Wileman, P. jesoensis Matsumura), 남한 미기록종 3종(Hemifentonia mandschurica Oberth., Dicranura ulmi tsvetaevi Schintlmeister et Sviridov, Nerice Leechi Staudinger)을 동정 하였으며, 이들을 포함한 재주나방과 주요 17종에 대한 분포와 분류학적 자료를 정리하였다. 또한 Dicranura tsvetaevi Schintlmeister et Sviridov의 생식기를 검경한 결과 이종을 D. ulmi Dennis. et Schiffermuller의 아종으로 처리하였다.
        4,600원
        139.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Epinotia속을 재검토한 결과 총 16종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1신종 E. parki sp. nov.를 기재하고, E. cruciana(Linnaeus), E. pinicola Kuznetsov, E. thapsiana Zeller, E.majorana(Caradja)와 E. ulmicola Kuznetsov등 5종을 한국 미기록종을 보고한다. 종래 보고되었던 10종을 포함, 16종의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기주식물의 기록과 함께 기재 혹은 재기재 하였다. 성충과 수컷생식기에 의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6,700원
        140.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 및 인천 등지에서 도심지의 주요 가로수 중 하나인 은행나무의 잎을 식해하여 극심한 피해를 야기시켰던 검정주머니나방의 피해분포상황 및 생할경과습성을 조사키위해 지난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수행하였다. 검정주머니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3령유충태로 월동한 후 5월중순~6월초순, 8월중순~9월말에 걸쳐 은행나무를 주로 가해하였다. 기주범위는 은행나무외에 벚나무, 조팝나무, 느티나무로 조사되었다. 유충은 7령 경과 후, 6월중순~7월초순에 용화하였으며 7월 초순부터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4,000원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