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1

        121.
        200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species, Mataeomera esbiahni, sp. nov., is described, and three species; Koyaga virescens (Sugi), Spodoptera mauritia (Boisduval), Orthosia nigromaculata (H<TEX>$\"{o}}$</TEX>n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with illustrations of their genitalia.
        4,000원
        122.
        200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new species of Torodorinae-Hyperochtha acanthovalva sp. nov., and Antiochtha pycnotarsasp. nov.-and five new species of Lecithocerinae-Alciphanes clavata sp. nov., Frisilia ceylonica sp. nov., Carodista grypotatos sp. nov., C. tribrachia sp. nov., and C. wilpattuaesp. nov.-are described, with illustrations of their genitalia. Some generic relationships are discussed, Technographa Meyrick, syn. nov. with Timyra Walker and Stelechoris Meyrick, stat. rev. is proposed. Two species previously placed in Thubana Meyrick are transferred to the genus Stelechoris Meyrich, and ten species of Lecithocera are transferred to Carodista Meyrick.
        4,600원
        123.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산 푸른자나방아과와 물결자냐방亞과의 표본들을 조사한 결과 1신종 Maxates sungbokahni sp. nov. 를 기재하고, 10미기록종 Comibaena diluta (Warren), Comibaena tanerei Graeser, Comibaena subdelicata Inoue, Hemistola nemoriata (Staudinger), Hemistola cinctigutta Prout, A Anticollix sparsata (Treitschkel, Euphyia discomelaina (Wehrli), Perizoma haasi (Hedemann), Perizoma contritum (Prout), Perizoma hydratum (Treitschke)을 발표한다. 그리고 분포가 혼동되고 있던 Thalera lacerataria Graeser의 국내분포를 재확인하고, Trichoperyx inouei Hashimoto와 Epilobophora obscuraria (Leech), Xanthorhoe fluctuata malleola Inoue의 채집기록을 추가하였다.
        4,000원
        124.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만산 뿔나방과의 재정리를 통해 10 미기록종 및 1신종이 발견되어 이를 보고하며, 1신종, Faristenia obliqua Park, sp. nov.를 생식기 도해와 함께 기재, 발표한다.
        4,300원
        125.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liattha vialis species-group(Lepidoptera, Noctuidae, Acontiinae) is revised. Four species (Maliattha ninae sp. nov., M. dissimilis sp. nov., M. tapaishana sp. nov., M. ahni sp. nov.) from China are described as new to science. Three species of vialis group are distributed in Russian Far East and Japan, two of them are known from Korea, and eight species are known from China. The lectotype for M. bella staudinger, 1892 is designated.
        4,300원
        126.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 재배시 발생하여 피해를 일으키는 버섯해충류에 대한 조사중 Lycoriella mali(신칭: 긴수염버섯파리)가 동정되었다. 이 종에 대한 형태적 특징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3,000원
        127.
        199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유 패턴 디자인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도구를 패턴 디자인의 지각적 속성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세 단계로 이루어진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패턴 디자인의 단계를 실제 디자인 과정에 기초하여 'PP의 디자인', 'RPU의 디자인', 'RPU의 배열'의 순서로 개념화한 후, 이 데 영역에 걸쳐 30개의 지각적 특징들을 추출하였고, 섬유 패턴 디자인을 충실히 기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된 30개의 지각적 특징들을 'PP의 모양에 의한 돌출성', 'PP의 색채에 의한 돌출성', 'PP들 모양의 다양성'. 'PP들의 변화도', 'PP들 색채의 다양성', 'RPU의 돌출성', 'RPU의 다양성'이라는 7개의 상위 특징으로 수렴시킨 후, 이 7개의 상위특징들을 다시 'PP에 의한 다양성', 'RPU의 돌출성' 'RPU의 다양성'이라는 4개의 최상위 특징으로 수렵시키는 방식으로 위계화 하여 섬유 패턴 디자인 요소 분석체계를 구성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섬유 패턴 디자인에 대한 이 체계의 기술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본 체계를 수정·보완하였다.
        4,000원
        128.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재주나방과를 정리한 결과 1신속 및 1신종(Lophontomira parki sp. nov.)을 기재하고 한반도 미기록종 3종(Harpyia tokui Sugi, Drymonia japonica Wileman, P. jesoensis Matsumura), 남한 미기록종 3종(Hemifentonia mandschurica Oberth., Dicranura ulmi tsvetaevi Schintlmeister et Sviridov, Nerice Leechi Staudinger)을 동정 하였으며, 이들을 포함한 재주나방과 주요 17종에 대한 분포와 분류학적 자료를 정리하였다. 또한 Dicranura tsvetaevi Schintlmeister et Sviridov의 생식기를 검경한 결과 이종을 D. ulmi Dennis. et Schiffermuller의 아종으로 처리하였다.
        4,600원
        129.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cythropiodes 속은 종전까지 Odites 속의 synonym으로 처리되어왔던 속으로 우리나라에서는 3종이 보고되어 왔었다. 금번 연구결과로 한국으로부터 S. hamatellus sp. nov 을 신종으로 기재하고, 중국으로부터 S. oncinius sp. nov., S. elasmatus sp. nov., S. jiulianae sp. nov., S. barbellatus sp. nov., S. gnophus sp. nov., 그리고 S. triangulus sp. novo 등 6종을 신종으로 기재 발표한다. 그리고 xenophaea Meyrick은 malivora (Meyrick)로, choricopa Meyrick은 approximans (Caradja)로 그 학명 을 수정하며, S. ussuriella Lovovky와 S. issikii (Takahashi)를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malivora (Meyrick) 유충의 기주식물로 밤나무와 배롱나무가 우리나라에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Scythropiodes 속은 14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종에 대한 검색표와 성충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였다.
        5,800원
        130.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계통분류연구센터와 러시아동물토양연구소에 소장된 표본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4종의 신종(Morophaga parabucephala sp. nov., Ceratuncus orientanus sp. nov., Gerontha ampliptera sp. nov., and G. namgaensis sp. nov.)을 발견, 기재발표한다. 또한 6종(Montescardia kurenzovi (Zagulajev), Morophagoides ussuriensis (Caradja), Gerontha borea Moriuti, Niditinea baryspilas (Meyrick), Monopis pavlovskii Zagulajev, and M. rusticella Hubner)이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되며, 4종은 극동러시아에서 처음 기록되는 종이다.
        4,000원
        131.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국산 Anarsia속을 분류동정한 결과 8종의 신종과 6 미기록종 등 14종이 확인되었으며, 8종의 신종은 spatulatana sp. nov., paraisogona sp. nov., ovula sp. nov., chiangmaiensis sp. nov., procera sp. nov., conica sp. nov., meiosis sp. nov., and lewvanichae sp. nov.등으로 명명되었다. 금번의 연구대항 표본들은 대부분이 최근(1988~1994) 태국에서 채집, 대영박물관(The Natural History Museum)에 보관되어 있는 표본들이며, 일부는 필자에 의해(1990) 채집되었던 표본들이 포함되었다. 신종들의 기재와 함께 14종으 숫컷생식기에 의한 검색표와 전종에 대한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였다.
        5,500원
        132.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뿔나방科의 Dichomeris屬에 속하는 우리나라産 2種과 극동러시아産 1種을 新種으로 기재, 발표한다.
        4,000원
        133.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species of the genus parapodisma, P. bandii sp. nov.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from the mountain Halla in the Southern Korea. This new species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similar species by the structure of male genital organ and tegmaina.
        4,000원
        134.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밑두리나방과(Blartobasidae)는 필자에 의해 (1983)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소개되기는 하였으나 그 종명은 밝혀지지 않았었다. 이 과에 속하는 종으로 극동아시아 및 일본지역에서는 현재까지 일본에서 2종만이 보고되어 있을 뿐이다. 금번 필자의 조사결과 Blastobasis (속)에 속하는 2종이 신종으로 확인되었기에 이들을 기재 보고한다. 이들 신종들은 Blastobasis sprotundalis sp. nov. (흰띠밑두리나방)으로 명명한다.
        4,000원
        135.
        1983.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36.
        1979.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37.
        197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3-75년까지 5개년간 수도에서 채집한 표본과문헌을 통하여 이화명충의 기생봉만을 중점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richogrammatidae 2종, Scelionidae 1종, Braconidae 5종, Ichneumonidae 7종 등 모두 15종이 발견되었다. 2. 이중 Apanteles chlonis와 Microgaster russata 등 2종은 한국미기록종임이 밝혀졌다. 3. Trichogramma chilonis, Eriborus terberans 그리고 Gambrus ruficoxatus 등의 3종은 문헌에만 기록되었을 뿐 본조사기간중 실제로 표본을 확인할 수 없었다.
        4,000원
        138.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의 목적은 일본의 2020년도 검정통과 지리 교과서가 독도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2015년도 검정통과 지리 교과서와 비교했을 때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그 특징이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독도 관련 기술 분량은 2015년도 검정통과 지리 교과서와 비교했을 때 대체로 비슷한 경향이 있었다. 둘째, 독도 관련 기술 내용은 교육 출판, 일본문교출판, 도쿄 서적의 지리 교과서에서 2015년도와 비슷한 경향이었고, 제국서원의 지리 교과서에서 유일하게 독도 관련 기술이 다소 강화되었다. 셋째, 사진과 지도 등의 시각적인 자료의 사용은 2015년도와 대부분 비슷한 경향이 있었다. 넷째, 2015년도 검정통과 지리 교과서의 독도 관련 기술이 이전보다 크게 강화된 것에 비하면, 2020년도 검정통과 지리 교과서는 그렇지 않았는데, 이는 중학교 지리 교과의 성격 및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 과정이 그 요인이었다.
        139.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우선 한일 양국의 독도교육에 관한 정책적 동향을 살펴보고, 독도교육의 기본 골격이 되는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요령』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독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학습지도요령』의 경우 초·중·고등학교 사회과 각 과목의 독도기술이 일본 외무성의 공식 논리와 연계되어 ‘영역의 이해’에서부터 ‘국제법적 해결’이라는 논리구조로 체계화하고 있다. 우리의 『교육과정』에서 「독도교육」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허구라는 것을 지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필요하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독도 관련 기술이 늘어났다. 2016년 ‘독도교육주간’ 실시 이후, 사회과의 교육과정을 보면 교과별로 그 내용이 확대되고 수준도 높아졌다. 그러나 초중고 「범교과 교육과정: 독도교육」을 보면 학교급별 수준에 맞추어 편성하고 있기는 하나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로 심화되는 과정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일 양국이 각각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요령』의 독도 기술 강화를 통해 첨예하게 평행선을 이어가는 느낌이 든다. 일본의 독도 왜곡 교육의 논리를 명쾌하게 무력화하고 “독도가 우리 고유의 영토”라는 우리의 논리를 간결하게 인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각종 기관에서 발행한 독도 부교재를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재편하는 작업부터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140.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effective human-robot interaction, robots ne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context well, but also the robots need to transfer its understanding to the human participant in efficient way. The most convenient way to deliver robot’s understanding to the human participant is that the robot expresses its understanding using voice and natural language. Recent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video understand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 has been developed very rapidly especially based on deep learning. Thus, this paper proposes robot vision to audio description method using deep learning. The applied deep learning model is a pipeline of two deep learning models for generating natural language sentence from robot vision and generating voice from the generated natural language sentence. Also, we conduct the real robot experiment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in human-robot interaction.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