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1

        12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체외 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체외성숙 시간이 핵성숙, 다정자 침입율 및 배 발생과 배반포의 부화율 배반포의 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돼지 난포란의 핵성숙율이 체외성숙 36, 38, 40, 42 및 44 시간째에 각각 68.0, 78.0, 79.5, 73.8 및 81.8%로서 각 군간에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체외 수정 후 다정자 침입율도 각각 48.7, 36.0, 44.4, 38.9 및 31.8%로서 차이가 없었다. 체외 성숙 시
        4,000원
        12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수정란의 체외 성숙 및 체외 배양액의 retinol 첨가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체외 성숙 및 체외 배양액에 retinol을 첨가하여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체외 성숙 배양액에 retinol을 첨가한 결과 성숙율은 으로 각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체외 수정 후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첨가구에서 의 발달율을 나타내어 타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며,
        4,000원
        128.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외성숙 배지에 첨가하는 PVP의 농도, EGF, cysteine 및 PVP의 단독 또는 혼합첨가가 한우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외성숙 배지에 PVP의 첨가농도(0.1~3.0%)에 따른 분할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배반포 발달율은 0.5% PVP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P<0.05). PVP, EGF 및 cysteine의 단독 및 혼합 첨가에 따른 분할율은 cysteine 단독첨가군이 높았으나(P<0.05),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다. Inner cell mass 수는 대조군과 cysteine 첨가군이 PVP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P<0.05), 총 세포수도 cysteine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수정란이식 결과는 대조군, EGF, cysteine 및 EGF+cysteine 군의 임신율은 46.1~63.6%로서 비슷하였으나, PVP 첨가군은 10%로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체외성숙 배지에 PVP의 첨가로 배 발생은 가능하지만, 세포의 품질에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4,000원
        129.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호르몬과 Na-pyruvate의 첨가가 개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개의 발정주기와 관계없이 암캐의 난소에서 회수한 난자를 NCSU-37 배양액에서 72시간 체외 배양하였다. 호르몬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양액 중에 다양한 호르몬을 24{sim}72시간 첨가하여 성숙율을 검사하였으며, Na-pyruvate 첨가 농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E2 단독 첨가구에서는 제2감수분열 중기(MII) 단계까지 성숙이 관찰되었으나(5.7%), 타 처리구에서는 MII기까지의 성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P<0.05), E2를 6~24시간만 처리하였을 때는 MII기로 성숙되는 난자가 없었으나 72시간 처리하였을 때는 6.0%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Na-pyruvate의 농도를 0.25 mM 첨가한 구보다 2.5 mM 첨가한 구에서 제1감수분열 중기(MI) 단계까지의 성숙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MII 단계까지의 성숙율은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개 난자의 체외성숙시 E2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72시간 배양시에 성숙율을 증진시킬 수 있으나, Na-pyruvate의 농도는 개 체외배양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4,000원
        130.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performances of several in vitro maturation (IVM) systems for porcine follicular oocytes were evaluated, and an efficient chemically defined IVM system for porcine oocytes was proposed. The proposed one-step culture system supplemented with polyvinylalcohol (PVA) gave competitive efficiencies in terms of oocyte maturation and blastocyst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and in vitro cultu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wo-step culture system by a supplementation of porcine follicular fluid (pFF). Additionally, it is identified that the proposed chemically defined one-step culture system yielded the comparable level of blastocyst production to the conventional maturation system in porcin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Therefore, one can eliminate un-expected effects accompanied by supplementation of pFF. No medium replacement during whole maturation period is an additional benefit by applying this new system. Thus, these data support that the developed PVA supplemented chemically defined one-step IVM system for porcine follicular oocyte might be used in porcine SCNT program.
        3,000원
        13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난구 복합체의 체외성숙에서 OA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도축 한우암소의 난소로부터 난구 복합체를 채취하여 PVA-TCM199로 3회 이상 세정 후 PVA-TCM 199, 0.2 uM, 2 uM, 20 uM OA를 각각 첨가하여 공기, 에서 6, 12, 24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또한 체외성숙시 cycloheximide(CX)와 OA와 체외성숙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0.1M-PVA TCM199, CX 25 ug/m
        4,000원
        132.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cine oviduct epithelial cells (POEC) are widely used in co-culture experiments to improv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in vitro fertilization in embryo transfer programs for domestic animals and in vitro maturation of immature germ cells. POEC were mechanically isolated and cultured in tissue culture medium 199. Cells grew continuously, and confluent monolayers were formed after 7 days. After forming confluent monolayer of epithelial cells, supernatant was collected as the condition medium for maturing round spermatids in vitro. Round spermatids were also separated mechanically and cultured in the POEC condition medium.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20% of round spermatid cultured were matured into elongating spermatid after 24 h, and about 10% of round spermatid cultured showed complete elongation (elongated spermatid) within 24~48 h of in vitro culture. No further development was observed within 50~72 h and transformed cells lost their viability after 72 h. These preliminary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dition medium from POEC may be possible to overcome the round spermatid block by improving the milieu of culture system.
        4,000원
        133.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enotypes on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in porcine fresh/frozen-thawed oocytes. The porcin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1) in vitro matured; (2) cryopreserved and in vitro matured; (3) in vitro fertilized and (4) cryopreserved, and in vitro fertilized. Maturation of porcine COCs was accomplished by incubation in NCSU23 medium. Immature oocytes were cryopreserved by Open Pulled Straws (OPS) method according to Vajta et al., (1998). Oocytes stained by Acetic-Orcein method were observed under the microscope. DNA extracted from the ovaries was analyzed by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d SSCP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rrt) method. The rates of oocytes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high in AA genoty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in porcine fresh/frozen-thawed oocytes may be affected by genotypes in pigs.
        4,000원
        136.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난포란이 체외성숙된 환경의 변화를 단백질 측면으로부터 검토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배지와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와 종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배지 내의 단백질 발현량은 배양 4.5시간째까지 감소하였고, 배양 13.5시간째까지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배양 13.5~18시간 사이에 증가한 후 배양 18시간 이후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세포질내의 단백질 발현량은 배양 4.5시간째까지 증가하였고 배양 9시간째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양 9시간째부터 18시간째 까지는 단백질 발현량이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배양 18시간째부터 24시간째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한 배지와 세포질을 2차원 전기영동하여 각각 298개 및 35개의 단백질 spot을 확인하였고, 그 중 배지에서는 28개, 세포질에서는 5개의 spot이 유의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들 spot 대한MALDI-TOP분석으로 배지와 세포질에서 각각 8개 및 1개의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그 종류는 aldose reductase, alpha enolase, apolipoprotein A-1 precursor, 43M1a collectin precursor, heat shock 27kDa protei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recursor, thrombospondin 1 transitional endoplasmic reticulum ATPase 및 β-tubulin이었다.
        4,000원
        137.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양액의 종류에 따른 돼지 난자의 성숙 및 단위발생란의 배반포 형성율을 검토하였으며, 배양액의 삼투압과 발달 시기에 따른 배양액의 삼투압 변화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 난포란을 NCSU-23 mWM 및 mKRB에 각각 성숙배양한 결과 성숙률은 62.1~71.3%로 배양액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각각의 배양액으로 성숙된 난자를 활성화 처리 후 동일한 배양액으로 6일간 배양하여 발달율을 검토한 결과, 배반포 발육율은 NCSU-23에 배양 시 22.9%로 타 그룹(0~0.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 3에서는 단위발생란을 NaCl 안에 의해 256, 280 및 300 mOsmol(mOsm)로 조정한 NCSU-23에 6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 발육율은 11.0~14.4%로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삼투압이 낮을수록 난자의 fragment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 4에서는 단위발생란을 삼투압이 조정된 세 종류의 NCSU-23에 48시간 배양한 후 삼투압이 높거나 낮은 NCSU-23으로 옮겨 4일간 추가 배양한 결과 배반포 형성율은 배양 48시간 후에 배양액의 삼투압을 낮춰 주었을 때(21.0%)가 높여 주었을 때 (11.8%)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본 실험의 결과는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육이 배양액의 종류 및 삼투압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배양액의 삼투압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육 단계별로 영향을 주어, 초기에는 높은 삼투압의 배양액에서 배양하고 일정 시간 후 낮은 삼투압의 배양액으로 배양함으로써 발육이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38.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자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와 였으며 EGF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4,000원
        139.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GF on meiotic maturation and pronuclear (PN) formation of porcine oocytes. Prepubertal gilt cumulus-oocyte-complexes (COCs) aspirated from 2~6mm follicles of abbatoir ovaries were matured in TCM199 containing 0.1mg/ml cysteine, 0.5㎍/ml FSH and LH, and EGF (0, 5, 10, 20, 40 ng/ml) for 22 hr at 39℃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5% CO2 in air. They were then cultured for an additional 22hr without hormones. In Experiment 1, to examine the nuclear maturation at 44hr of culture, the expanded cumulus cells were removed by vortexing for 1 min in 3 mg/ml hyaluronidase. The oocytes were fixed in acetic acid: methanol (1:3, v/v) at least for 48 hr and stained with 1% orcein solution for 5 min. Nuclear status was classified as germinal vesicle (GV),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prophase-metaphase I (PI-MI), and PII-MII under microscope. In Experiment 2, to investigate PN formation, oocytes were fertilized with Percoll-treated freshly ejaculated sperm (1 x10 5 cells/ml) in mTBM with 0.3% BSA and 2mM caffeine for 5hr, and cultured in NCSU-23 medium with 0.4% BSA. At 6hr of culture, the embryos were fixed in 3.7% formaldehyde for 48hr and stained with 10ug/ml propidium iodide for 30 min. PN status was classified as no or one PN (unfertilized), 2 PN (normal fertilized) and ≥3 PN (polyspermy).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fter arc-sine transformation of the proportional data. The rate of oocytes that had reached to PII-MII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all groups added EGF than that of non-treated group (67%), but it did not differ among the all added groups (86%, 85%, 79% and 81%, in 5, 10, 20 and 40 ng/ml EGF, respectively). No differences on the incidence of 2PN were observed in all treated groups (25%, 30%, 33%, 29% and 29%, in 0, 5, 10, 20 and 40 ng/ml EGF, respectively), however, in non-treated group, polyspermy tended to be increased (66% vs 58%, 54%, 52% and 55%, 0 vs. 5, 10, 20, 40 ng/ml EGF,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F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dditive for enhancing oocyte maturation and reducing the incidence of polyspermy in pig.
        4,000원
        140.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bility of canine oocytes to achieve nuclear maturation according to oocyte diameter and different culture environments. All of the collected oocytes were classified by grade 1 to 3 and by their diameters such as <100㎛, <100㎛ to <110㎛, <110㎛ to <120㎛, >120㎛. Oocytes were cultured in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10%FBS, 0.4%BSA,10% porcine follicular fluid (pFF), 10% canine serum (CS), or 10% canine estrus serum (CES).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covered from estrus status ova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nestrus status ovaries (p<0.01). The maturation rate of grade 1 oocytes (>12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p<0.05). Nuclear maturation to MI to MII in diameter of >110㎛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100㎛ group (p<0.05). The oocytes cultured in 10% FBS­supplemen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GVBD compared to the other supplemented groups (p<0.05), and oocytes maturation to MI to MII in 10% FBS-, 0.4% BSA-, and 10% pFF-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10% CS-supplemented group (p<0.05). Based on these results, the estrus status and the size of oocyte affect positively to improve nuclear maturation of canine immature oocytes in vitro. Among several protein sources, porcine follicular fluid was the most effective supplementation to culture medium to achieve higher in vitro maturation rat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