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121.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revision of the genus Stenoloba Staudinger, 1892, which distributed mostly in the Oriental region(South-East Asia) and partially in Manchurian subregion of the Palaearctic region, 47 species including 25 new species and three new subspecies are recognized. In the first pat of this revision, 21 species with descriptions of 10 new species and two new subspecies are reviewed, with illustrations of 42 genitalia and 29 colour photos of adults. One species, Stenoloba albiangulata (Mell, 1943), comb. nov. is newly combined and transferred to this genus. The 2nd part will include 26 species, with descriptions of 15 new species.
        8,700원
        123.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bgenus Poecilandrena of the genus Andrena of the eastern Asia is revised, and four species are recognized. Three new species, Andrena (Poecilandrena) viciae, A. (Poecilandrena) subsquamiformis and A.(Poecilandrena) osytshnijukae are described from China. A. (Poecilandrena) leleji Osytshnjuk is newly recognized as a synonymy of A. (Poecilandrena) fukuokensis Hirashima. A. (Poecilandrena) fukuokensis Hireashima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A key to the species of Poecilandrena in the eastern Asia is given.
        4,300원
        124.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liattha vialis species-group(Lepidoptera, Noctuidae, Acontiinae) is revised. Four species (Maliattha ninae sp. nov., M. dissimilis sp. nov., M. tapaishana sp. nov., M. ahni sp. nov.) from China are described as new to science. Three species of vialis group are distributed in Russian Far East and Japan, two of them are known from Korea, and eight species are known from China. The lectotype for M. bella staudinger, 1892 is designated.
        4,300원
        125.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tielloides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4종이 기록되어 있는 작은 으로서 전 종을 재료로하여 분류학적으로 재정리하였다. 그 중 E. sejunctella(Christoph)(흰띠회색알락명나방)와 E. kogii Yamanaka(흰띠갈색알락명나방)를 한국미기종으로 보고한다. 종래 보고되었던 2종을 포함, 4종의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주식물의 기록과 함깨 필요한 부분을 재기재 하였다. 또한 성충과 암.수 생식기에 의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4,300원
        126.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04년 Herz에 의해 한반도에서 보고된 밤나방과 종들을 재정리하고, 수정한 학명의 종목록을 보고한다. 또한 그에 의해 오동정으로 발표되었던 종들에 대해 설명과 함께 재동정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일부 종의 모식표본 정리와 함께 종에 대한 Lectotype을 설정하였다. 두 종, striata Herz 와coreana Herz을 각각 Coryta grisea Leech와 Apopestes indica Moore의 synonym으로 정리하고, 몇몇 주요 종에 대해 성충으 사진과 수컷생식기를 도해하였다.
        5,200원
        127.
        199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the continuous change of socio-economic circumstances and dietary pattern, the need to chang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and the basic food groups has been required.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six revisions of the Korea RDAs, the national recommanded dietary allowances. I reviewed the six sequences of revisions concerning the basic food groups. Up to the fifth revision, the ranks of the basic food groups were based upon the dietary needs of the people of the perspective era. However, in the sixth revision, there was no rank associated with the food groups, but the food groups were portrayed in a food composition tower that explained their importance and their necessary consumption amounts. I could indirectly observe the dietary pattern of each era by analyzing the basic food groups and the representative foods of each food group. I also studied information of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basic food groups and compared the items of the representative foods with nutrient analysis table. By observing nutrient analysis table, I analyzed whether the clarified representative foods of the basic food groups are indeed foods that were eaten frequently by people daily.
        4,000원
        128.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실파리과의 Acidiostigma속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으며 Parahypenidium과 Shiracidia속을 Acidiostigma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함을써 속의 명명상 위치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었다. 총 16 Old World종을 확인하였으나 대만과 인도에 소장되어 있는 모식표본을 확인하지 못한 관계로 재검토의 범위를 중곡, 한국, 일본으로 국한하여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3종의 신종을 포함하는 총 11종의 검색표, 기재문, 삽화 등을 포함시켰으며, 다른 지역에 서식하는 5종에 관해서는 checklist와 분류학적인 부연설명을 실었다. Acidiostigma속이 참과실파리족(tribe Trypetini)에서 차지하는 분류학적 위치와 속내의 종간 관계는 분지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8,700원
        129.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Acantholyad속은 A.erythrocephala(Linnaeus), A. posticalis(Matsumura)및 A. parki sp. nov.등 3종으로 정리된다. 이중 분류상의 어려움이 많아 명명학적으로 혼동이 많았던 이들 종들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졌다. 또한 잣나무의 주요해충으로 알렸던 잣나무넓적잎벌은 현재까지 A. posticalis posticalis M.로 기록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Acantholyda nemoralis T.로 정리되어 있으나 일본 북해도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동종의 모식표본을 검경한 결과 분류학적으로 다른 별도종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주특이성과 생태적으로 차이점을 보여 신종인 A. parki sp. nov.으로 기재하였다.
        4,600원
        130.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웨덴 스톡홀름의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된 표본을 재점검하여 F. Bryk (1948)에 의해 한국에서 기록된 대부분 종들의 모식표본을 점겸한 결과를 보고한다. Bryk에 의해 제안된 각종, 아종, 개별형의 학명올 알파벳순으로 전체 목록화하고 그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모식표본에 대한 제정보를 정리하였으며, 확인된 정확한 종명을 제시하였다. Bryk는 한국산 밤나방에 대해 5속,20종,75아종,5형(from) 등을 기재, 발표하였는데, 그중 9종만 현재 유효한 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다른 대부분의 명칭은 분류학적 위치를 바꾸어야 한다. 새로운 이명과 분류학적 변경은 아래와 같다. Euxoa intracta kurilintracta Bryk, 1948은 Euxoa sibirica (Boisduval, 1832)의 syn. n. Euxoa oberthuri nominata Bryk, 1948은 Euxoa subconspicua (Staudinger, 1881)의 syn. n. Diarsia exusta nolimetangere Bryk, 1948은 Sineugraphe bipartita Graeser, [1889] 1888의 syn. Gelastocera ochroleucana f. designata Bryk, 1948은 Gelastocera exusta Butler, 1877의 syn. n. Moma kolthoffi Bryk, 1948 stat. n., comb. n Moma fuluicollis (Lattin, 1949)은 Moma kolthoffi Bryk, 1948의 syn. n. Moma ludifera azugensis Bryk, 1948은 Trichosea ludifica (Unnaeus, 1758)의 syn. n. Acronicta alni korealni Bryk, 1948은 Acronicta alni (Unnaeus, 1758)의 syn. n. Hydrillodes obscurans Bryk, 1948은 Hydrillodes morosa (Butler, 1879)의 syn.n. Mythimna turca matsumuriana Bryk, 1948은 Mythimna turca (Unnaeus, 1758)의 syn. n. Mythimna monticola Sugi, 1981, stat. ress., bona species Cosmia fuluago korecosmia Bryk, 1948은 Xanthia icteritia (Hufnagel, 1766)의 syn. n. Euplexia koreaplexia Bryk, 1948, stat. ress., bona species Euplexia uinacea Sugi, 1982은 Euplexia koreaplexia Bryk, 1948의 syn. n. Oligia arcta tegulalis Bryk, 1948은 Eucarta fasciata (Butler, 1878)의 syn. n. D Dadaica differentiata Bryk, 1948은 Athetis albisignata (Oberthiir, 1879)의 syn. n. Virgo uernalis Bryk, 1948은 Virgo datanidia (Butler, 1885)의 syn. n. Zanelognatha triplex koreognatha Bryk, 1948은 Zanelognatha leechi (South, 1879)의 syn. n. 또한 Poole(1989)의 “Catalogue of the World Noctiuidae"에 대해 몇가지를 정정하였다.
        6,400원
        131.
        199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ty three species of the Dichomeris of Taiwan and Japan are revised, with descriptions of 15 new species (albula, angulata, aomoriensis, davisi, fusca, fuscalis, lutea, linealis, lividula, lushanae, ochreata, orientis, symmetrica, taiwana, trilobella). Twelve species; Dichomeris autometra (Meyrick), D. conclusa (Meyrick), D. crambalaeas (Meyrick), D. cyproPhanes (Meyrick), D. cymatodes (Meyrick), D. enoptrias (Meyrick), D. hoplocrates (Meyrick), D. issikii (Okada), D. okadai (Moriuti), D. pyrroschista (Meyrick), D. syngrapta (Meyrick) and D. viridescens (Meyrick), are new combinations in Dichomeris. The genus Hyperecta Meyrick is synonymized with Dichomeris, and D. kawamurai Matsumura is newly synonymized with tostella Stringer and limitellus (Caradja) with oceanis Meyrick. An identification key,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habitus, male and female genitalia, and information on hosts are provide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species in the genus are discussed with a cladistic analysis, using 44 morphological characters. Fifteen species-groups of Dichomeris are recognized.
        17,900원
        132.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p산 애기물결자나방속을 정리한 결과 1차로 14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이중 1신종, 애기물결자나방, E. bicornuta sp. nov.를 기재 발표하고 이른봄애기물결자나방, E. clavifera, lnoue, 삼각무늬애기물결자나방, E. signigera Butler , 둥근날개애기물결자나방, E. supercastigata lnoue , 흰애기물결자나방, E. viidaleppi Vojnits , 실무늬애기물결자나방, E. addictata Dietze , 긴점애기물결자나방, E. repentina Vojnits et Laever , 연갈색애기물결자나방, E. antaggregata lnoue , 너도애기물결자나방, E. consortaria Leech와 긴날개애기물결자나방, E. kamedai Inoue등 9종을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4,600원
        133.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은빛잎말이나방족은 6속 9종으로 정리되며 이중 신속 Immariana를 기재함과 동시에 3신종 , 뾰족날개잎말이(Immariana acutiella sp. nov.), 검정무늬잎말이(Kawabeia fuscofasciata sp. nov.), 어리무늬잎말이(Kawabeia paraignavana sp. nov.)를 기재발표한다. 또한 겨우살이잎말이, Kawabeia ignavana Christoph와 꼬마줄무늬잎말이, Oporopsamma stenoptera(Filipjev)등 2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된다.
        4,600원
        134.
        198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als with the anthomyiid-flies from Korea. a total of 81 species belonging to 22 genera are represented in Korean fauna as the result, among them the followning 9 species are proposed here new to science as : Anthomyia koreana sp. nov., Botanophila seungmoi sp. nov., Acklandia koreacola sp. nov., Lasiomma monticola sp nov, Egle podulparia sp. nov., Delia expansa sp. nov., Phorbia soyosana sp. nov., P. dissimilis sp. nov., P. taeguensis sp. no., and 2 genera, Acklandia Hennig, 1976, Egle Robineau-Desvoidy, 1830, with the below 12 species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as : Parapegomyia schineri, Nupedia debilis, Botanophila striolata, Egle muscaria, E. longipalpis, E. parvaeformis, E. parva, E. korpokkur, Paregle vetula, Delia tenuiventris, D. coronariae, Phorbia longipilis. Keys are given for all the taxa respectively, some illustrations of various characters for identification are provided. Arranged are host plants and domestic localities for each species.
        14,900원
        135.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뿔나방과(Oecophoridae)의 Promalactis속에 속하는 종들은 주로 인도지나 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동양구에 분포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외국에서도 이 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리가 이루어진 바가 없다. 금번 필자는 우리나라산에 대한 정리를 위하여 일본의 북해도대학에 보관중인 일부 모식표본(Type Specimen)들의 생식기 스라이드를 송부받아 우리나라산과 비교검토할 기회를 얻었었다. 그 결과 필자에 의해 이미 신종으로 발표된 1종에 이어 2종을 추가로 분류동정하여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발표한다.
        4,000원
        136.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학술정보서비스로 수집한 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가정과 실습 교육에 관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43편을 대상으로 가정과 실습 교육 연구 동향을 교육과정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과정별로는 가정과 이수 시간의 축소 등으로 실습 교육의 비중이 대폭 축소된 7차 교육과정 시기에 가장 많고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7차 교육과정에 다양한 연구대상으로 실습 연구가 이루어졌고, 7차 이전은 가정과 교사와 학생 대상, 2007 개정부터는 학생과 가정과 교육과정 대상으로만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7차 교육과정 이전에는 가정과 수업 현황 및 실태에 대한 연구가, 2007 개정 이후에는 가정과 실습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많이 실행되었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7차 교육과정 이전에는 조사연구, 2007 개정 이후에는 개발 연구가 많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동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교육 전문가 6인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가정과 교육에서의 실습이 가지는 가치와 정의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고, 가정과 실습 교육 모형 개발 연구, 영역 통합적인 가정과 실습 교육에 관한 연구, 실습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척도 및 루브릭 개발 연구, 다양한 실습 도구와 전략에 관한 연구 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change of revised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in the field of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xecution of the system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was revised at the end of 2018. The key issues were founded in the system of safety management plan, regular safety inspection by external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irregular safety inspection by clients. By revised law,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construction clients was enforced and the clients were recognized as leading participants i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13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復菴 曺垣淳(1850-1903)이 南冥 曺植(1501-1572)의 핵심 사상을 담지하고 있는 「神明舍圖」와 「神明舍銘」에 대해 어떤 관점에서 해석했으며, 그것이 가지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고찰한 것이다. 조원순은 남명의 10세손으로서 남명학의 계승과 선양을 평생의 사명 으로 삼은 학자이다. 그는 이 사명을 위해 「神明舍圖銘」에 대해 註解하 고 그림을 개정했으며, 1897년에는『南冥先生全集』을 간행했다. 조원순은 「神明舍圖銘解」ㆍ「論神明舍圖」ㆍ「辨神明舍圖」ㆍ「客辨」 등 네 편의 저술을 지어 「신명사도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그의 해석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신명사도」의 구조를 上面의 持敬과 下面의 立誠으로 파악한 점이다. 「신명사도」에 대한 조원순의 설명을 토대로 남명의 학문에서 敬ㆍ義는 방법에 해당하며, 誠은 도달해야 할 목표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원순은 남명의 「신명사도명」을 周敦頤의 「太極圖說」과 동일한 내 용으로 해석했으며, 이전의 「신명사도」를 고쳐 새롭게 개정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것을 통해 남명의 학문이 老莊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성리학에 근본한 순정한 학문이었다는 점을 밝히려 했다.
        140.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토양통 개정 결과를 반영하여 제주도를 대상으로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은 기존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과 기존의 수문학적 토양군 방법들을 적용하여 제주도 전체 유역을 대상으로 CN 값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2007년 이후 개정된 토양통을 기존 토양통과 비교한 결과, 토성은 43개의 토양통에서, 배수등급은 1개의 토양통에서, 투수속도는 15개의 토 양통에서, 불투수층 깊이는 26개의 토양통에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개정된 토양통을 반영하여 제주도의 수문학적 토양군을 분류한 결과, 1987년의 분류 방법을 따를 경우에는 수문학적 토양군 C군(46.43%)이 가장 많이 나타나나, 1995년의 분류 결과에서는 B군(27.69%)이, 2007년의 분류 결과에서는 D군(35.82%)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류 결과에서는 B군(49.25%)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제주도 전체에 적용한 경우에 추정된 CN 값은 기존 방법에 의한 값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존 방법을 적용할 경우 CN 값이 과대 추정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