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

        141.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Chosun Dynasty, the wooden building materials for constructing the official buildings within a capital city were supplied by way of water transport, and they were stored at Hangang riverbanks. After being firstly treated with primary processed-goods there by several craftmen groups, they were carried in the relevant site of construction by ca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ocess of those supply, the roles of merchants and craftmen in the process.
        5,800원
        142.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 소괴동 산을 위해 적합한 양담재배방식을 구명코자 분무경, NFT, perlite 및 scoria 배지비을 이용하여 '대지' 품종을 공시하고 생육과 소엽도의 연성 및 준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무병 방식이 NFT 방식이나 Perlite 및 scoria 배지경에 비해 정식 후 40일과 60일의 지상부 생조이 좋았고, 정식후 90일에는 동윤이 65.4cm, 주당자육가 7.3개로서 가장 많았으며, scoria 배지경은 기윤이 49.5cm, 도상기육 3.2개로서 가장 적었다. 2. 포지장은 분무비에서 30.4cm로 가장 길었고, 주당각지육는 NFT 방식에서 10.5개로 많았다. 3. 정식 후 90일에 주당 괴경수는 분무경에서 67.1개, NFT 62.5개, Perlite 배지경 20.1개, scoria 배지경 18.0개였다. 4. 3g 이상의 괴대 크기 분포는 분무경 72.7%, NFT 62.6%, perlite 배지비 84.1%, scoria 배지경 83.3%로 고협배지경이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주당 괴동수가 적기 때문에 총수양 은 적었다. 5. Perlite 배지경에서 황산된 소괴경은 피일발이이 적고 표피가 매끄러워서 보질의 괴대이 생산되었다.
        4,000원
        143.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탄성 선형 경화 재료로 구성된 복합 구조물의 자유 경계면에서 나타나는 응력 특이도를 평면 변형률 상태에서 계산하였다. 자유 표면력 경계조건과 계면 연속조건을 만족해야하는 지배 탄성 방정식은 2점 경계치문제로 정의되며, 일반 고유치 문제의 해인 고유치가 응력 특이도가 될 것이다. 자유경계면 근처에서 응력 성분을 rs-1에 비례한다고 가정하여 특정한 s(고유치)를 구하는 고유치 문제를 뉴톤향상법과 사격법을 사용하여 수치적으로 해를 구하였다.
        4,000원
        145.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 보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비순환식 양액재배 시스템이 순환식 양액재배 시스템으로 전환됨에 따라 순환식 양액재배 시스템에 적합한 배양액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순환식 고형배지경에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이 순환식 고형배지경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및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본 야채 시험장 표준액을 1/2 배액, 1 배액 및 3/2 배액으로 조제하여 오이를 재배한 결과, 오이의 초장은 배양액농도를 높임에 따라 짧아졌으며 엽장, 엽폭 및 처리 농도간에 차이가 없었고 상품과수와 상품수량은 1 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양수분흡수율(n/w)에 따라 개발된 오이 순환식 고형배지경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SCU 배양액)은 영양 생장기 동안 N 11.4, P 3.3, K 6.0, Ca 4.5 및 Mg 3.5 me.l-1, 생식 생장기 동안 N 10.4, P 3.3, K 5.0, Ca 4.5 및 Mg 3.5 me.l-1이었다. 2. 순환식 배양액으로 개발된 SCU 배양액의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산기 배양액, PTG 배양액 및 SCU 배양액에서 오이를 재배한 결과, 근권내 EC와 pH는 모든 배양액에서 생육기간 동안 안정적이었다. 배양액 내의 다량원소를 측정한 결과, 산기 1 배액, PTG 1 배액, SCU 1/2 배액, SCU 1 배액 및 SCU 3/2 배액 모두 오이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배양액내 N, P 및 K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Ca 농도는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Mg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오이의 광합성속도는 SCU 1 배액, SCU 3/2 배액 및 산기 1 배액에서 높았다. 생육은 SCU 1/2 배액에서 가장 낮았고 SCU 1 배액과 SCU 3/2 배액, 산기 1 배액 및 PTG 1 배액에서는 처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엽내 N, P, K 및 Mg 함량은 SCU 1 배액, 산기 1 배액 및 PTG 1 배액에서 적정 수준을 나타냈고 엽내 Ca 함량은 PTG 1 배액에서 낮았다. 총수량은 SCU 1 배액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산기 1 배액에서 높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개발된 배양액(SCU 배양액)은 오이 순환식 고형배지경에 적합한 배양액이라 할 수 있다.
        4,600원
        146.
        1996.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폭시/산무수물계의 등온 경화거동을 새로이 제작된 Torsion Pendulum(TP)으로 다양한 온도에서 조사하였으며 경화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두 종류의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였다. 새로이 제작된 TP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모든 기계?인 작동과 date 수집 및 분석이 자동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기기로부터 얻어진 결과인 경화 동안의 상대전단강성율(RSR, relative shear rigidity)과 log decrement(LD)의 변화로부터 제작된 TP가 잘 작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종류의 촉진제가 전체적인 경화과정에 미치는 촉진효과는 비슷하였으나 각 촉진제로부터 얻어진 LD 곡선을 보면 서로 다른 모양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경화촉진제가 반응 촉진효과 이외에도 경화거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러한 경화거동의 차이는 경화물의 성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4,000원
        147.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형배지경에서 육묘기와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의 차이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농도는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로 각기 다르게 처리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로 처리되었다. 모든 배지에서 총과수, 총수량, 상품과수 및 상품수량은 1.0mS/cm보다 2.0-3.0mS/cm에서 훨씬 더 높았다. 기형과율은 피트모스>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 순이었으며 비타민C 함량은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피트모스 순이었다. 모든 배지에서 육묘기에는 2.0-5.0mS/cm, 정식 후에는 2.0-3.0mS/cm로 관리했을 때, 상품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육묘기 뿐만 아니라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는 총수량, 상품수량 및 당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총과수와 상품과수는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4,000원
        14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묘들은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의 각기 다른 배양액농도로 재배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의 농도로 옮겨져 재배되었다. 육묘기 때에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3.0mS/cm로 높임에 따라 유묘의 광합성속도는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0.5-3.0mS/cm 범위 이상의 농도에서는 광합성속도가 감소하였다. 초장, 엽장, 엽폭, 경경 및 지상부 건물중은 펄라이트에서는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5mS/cm로 높임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버미클라이트에서는 2-5mS/cm에서 높았으며, 피트모스에서는 3mS/cm일 때 가장 높았다. 따라서 묘의 초기생장에 대한 배지별 적정배양액농도는 배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펄라이트에서는 3-5mS/cm, 버미클라이트와 피트모스에서는 각각 2-5mS/cm, 3mS/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식 후에 배양액농도를 1mS/cm에서 3mS/cm로 높임에 따라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건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육묘기와 정식 후에 계속하여 5mS/cm의 고농도로 재배한 것들의 건물중은 단지 조금 증가하였다.
        4,000원
        153.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ze tableware in wedding ceremonies of royal prince(1744, 1819) of Chosun Dynasty, the author studied the historic book-Gare Dogam Euigwae, in which wedding feast dishes for King and prince in Chosun Dynasty were describ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For wedding feast dishes for prince, black lacquered table was used, and for King's wedding feast red lacquered table was used. 2. In wedding ceremony red silk table cloth was used. 3. Tables arranged in wedding ceremony had high legs. 4. Tablewares used in wedding ceremony were footed dishes. 5. Wedding ceremony arrangement was made up of four kinds of main table, a small boiled beef table, a large boiled beef table, four small round tables, a dining table, a candle stick, a incense holder, a vase with vaseholder and a liquor bottle with a holder.
        4,000원
        154.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nalyse wedding feast dishes of royal prince of Chosun Dynasty(1744, 1819), the author studied historic book-GareDogamEuigwae, in which the wedding feast dishes of King and Prince in Chosun Dynasty were describ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rranged dishes in wedding ceremony were four kinds of table, main table, second table, third table and fourth table. That table setting was same as that of the year 1651. 2. Meal ceremonies were in sacrificial food partaking, drinking ceremony and courtesy of levee. 3. In wedding ceremony, prince and princess drank three cups of liquor. At the first cup they eat abalones soup and others in a small round table(初味), at the second cup fine noodles and others in another table(二味), at the third cup bun stuffed with fish and others in the other table(三味). 4. In sacrificial food partaking and drinking ceremony, King drank nine cups of liquor, at first cup, King eats a small boiled beef(小膳) and (初味), at second cup eats(二味), at third cup eats(三味),·s, at nineth cup, King eats a soup, a large boiled beef(大膳) and fruits. 5. Dish materials and quantities used for wedding ceremony in the year of 1819 was same as that of the year 1651.
        5,400원
        155.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시흥시 무지동 포장에 추청벼를 1989년 5월 25일 이앙하여 벼물바구미의 각 태별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포장내 육안 조사결과 월동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이었고, 신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8월 상순이었다. 벼물바구미 월동성충의 산란시기는 5월 30일부터 6월 27일까지었고, 산란 최성기는 6월 상순이었다. 벼물바구미 유충은 6월 상순부터 8월 상순까지 발생하였고, 최성기는 7월 중순이었고, 번데기는 7월 상순부터 8월 하순가지 발생하였고, 최성기는 7월 하순이었다. 신성충의 최초 최성기는 8월 상순이었다. 공중포충망에 의한 월동성충의 유살최성기는 5월 중, 하순이었고 유아등에 의한 신성충의 유살 최성기는 7월 하순이었다.
        3,000원
        157.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스파라가스 줄기 마름병 (경고병)의 효과적인 방제 대책을 수립하고자 시험한 결과 1. 줄기 마름명은 5월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이후 강우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였고, 2. 약제살포를 겸하여 모경대치하고 plastic film으로 피복하였을 해가 약제살포만 할때보다 줄기 마름병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3. Plastic film으로 피복하였을 때의 월중 토양 수분변화는 아스파라가스의 생육에 적당한 pF 2.9에 비교적 가까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4. 모경대치를 할 겅우 대조구보다 수량이 떨어졌으나 plastic film을 피복할 경우는 대조구보다 약 정도 증수되었다.
        3,000원
        158.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원인에 의한 포장체에 손상이 발생하면 신속한 통행재개를 위한 급속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산화마그네슘인산염복합체의는 경화시간이 짧고, 조기 강도발현이 가능하여 급속보수재료로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다. 연구에서는 경소마그네시아와 제1인산칼륨을 결합하여 보수재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물-결합재(W/B)비, 마그네슘-인산염(M/P)비 등의 배합비를 조정하면서 경화와 강도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장 적용시의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준사와 일반모래에 따른 거동차이와 지연제별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물-결합재비는 35%내외와 마그네슘-인산염비는 1.0~1.2 내외가 강도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W/B비 0.35, M/P비 1.2 변수에서 1일 강도 25.0MPa 이상 발현되어 조기 보수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작업시간 확보를 위해서는 붕산을 지연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화마그네슘의 순도는 90~95%내외가 경화시간 확보를 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5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cal myositis is a rare disease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changes invading the skeletal muscles and may be triggered by nerve lesion. We describe a case of 33-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focal denervation myositis of piriformis and gluteal muscles associated with sciatic neuropathy because of severe uterine enlargement due to twin pregnancy misdiagnosed as lumbar herniated nucleus pulposus. MRI is one of the key diagnostic tools in the assessment of focal denervation myositis for differential diagnosi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re commonly used for treatment of focal myositis. Spontaneous regression is obtained in numerous cases.
        16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taranscranial ultrasonography is helpful in assessing blood flow, but in some patients, failure to detect cerebral blood flow through the temporal window is an important problem in expansion of clinical indications for transcranial ultrasonography. This study was performed between May 2016 and September 2016 in patients admitted to the neurology department of Chosun University Hospital with cerebral infarction and underwent transcranial ultrasonography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 Of the 129 patients, 47 were female (36.4%).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80.7±8.0 years. Fifty patients (38.8%) did not showed any blood flow signal due to poor temporal window. The mean age of patients with temporal window failure (83.8±6.0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thout temporal window failure (78.7±8.5), and the temporal window fail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In conclusion, temporal window failure was more common in elderly and women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temporal bone thickness and heterogeneity of temporal bone due to osteoporosis, hyperlipidemia may also be associated with temporal window failure and future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