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2

        143.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153.
        198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54.
        198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155.
        198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57.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윤리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교육 내용을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범주화 하고, 그와 관련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탐색하여 정보윤리교육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4차 산업 혁명(the 4th Industrial Revolution)으로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 되고, 현실 세계와 사이버 세계를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할 만큼 사이버 세계의 범주가 확산되는 만큼 정보윤리와 관련한 교육은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정보 교육은 정보화 기능 향상을 위한 교육이 주를 이루는 것이 현실이며, 정보 윤리와 관련한 교육 내용은 초등학교 실과 또는 중학교 정보 교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기에 정보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주제들만 주로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인성 교육으로서 정보윤리교육을 탐색하여 사이버 세계에서의 인간 관계와 그로부터 비롯된 광범위한 윤리 문제들을 포괄할 수 있는 주제 범주화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영역 제시법으로 활용된 ‘가치관계확대법’을 참고하여, 자신과의 관계 영역으로서 ‘미디어 이용 습관’, ‘개인 정보 보호’, 타인과의 관계 영역으로서 ‘관계와 소통’, ‘저작권 보호’, 사회·공동체 관계로서 ‘바람직한 디지털 문화 형성’을 핵심 주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수업 시수가 현저히 부족한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각 핵심 주제와 관련있는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실제적인 정보윤리교육의 실현을 도모하고자 한다.
        158.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범교과 학습 주제로서 경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경제교육 자료를 분석하고 활용 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제교육 자료 활용 실태 분석을 위해 초‧중‧고 교육과정 및 KDI 자료, 각종 교육 자료 제공 사이트를 참고하였으며, 현장 교사들의 인식 파악을 위한 간담회와 장학사, 교사 커뮤니티 운영자 등을 대상으로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제교육 자료 실태 분석을 통해 얻은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상이 불분명하고 자료의 세분화가 부족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거나, 자료의 최신화 작업이 부족 하였다. 셋째, 교과나 창의적 체험활동과의 연계성이 부족하였다. 이와 같은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교육 자료의 교육대상을 분명히 하고, 자료의 세분화 및 접근성을 높이는 작업이 요구된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교육 내용을 제공하여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찾아가는 경제교육 활용 방안, 교구 및 다양한 매체 활용 방안 등이 있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과 경제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 관리자의 관심이 절실하고, 창의적 체험활동과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경제교육 자료의 홍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개발된 경제교육 자료를 다양한 교사 커뮤니티나 교사 연수 과정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보급할 필요성이 있다.
        159.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교사로 하여금 맞춤형 수업을 실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개발,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선행 연구 분석에 근거하여 맞춤형 수업의 기본 틀로서 첫째,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 둘째, ‘학습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단계, 셋째, ‘맞춤형 학습 퍼실리테이션’ 단계를 설정하였다. 맞춤형 수업 설계·실행 3단계를 바탕으로 범교과 주제 중심 학 습의 실습 맥락 하에서 실습 과제 및 활동을 구안하고, 가상의 학습자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웹 기반 실습 메뉴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습 시스템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70명의 사범대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범교과 주제 중심 학습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수업 실습을 실행하였으며 설문과 성찰 노트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실습 시스템의 효과성을 맞춤형 수업 설계· 실행을 위한 의사 결정 훈련의 측면과 의사 결정 지원 장치의 유용성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교사들이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사회, 정서적 특성에 주목하고, 학습자 분석을 토대로 수업을 설계하며, 차별화된 처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실습하면서 맞춤형 교육 또는 학습자 중심 교 육에 대해 재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본 실습 시스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60.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laim in this paper that null arguments are a pronoun linked to a topic in their minimal CP domain. This claim is basically a unification of the following three existing proposals accounting for null argument phenomena: flexible null topic analysis that null arguments are bound by a flexible topic, pro analysis that they are a pronoun, and a proposal that pronouns are linked to CP edge. We show that this unified analysis nicely deals with distribution and interpretation of null arguments in Korean.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