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

        141.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분의 수와 종류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며 K/Na 비율이 3.9-27.9 배로 토종꿀에서 증가한 반면, Fe, Zn, Al은 토종꿀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토종꿀과 양봉꿀은 각각의 구성성분에 있어서 미시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토종꿀 특이적인 단백질의 전기영동적인 판별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 확인한 화분의 종류, K/Na ratio, 및 Fe, Zn, Al의 검출여부 등으로 판별을 확증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이와 같은 예비적인 특성 비교는 지역의
        142.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의 다양한 효능을 이용한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농도(50, 60, 70, 80, 90%)와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플라보노이드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80%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145.
        199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changes of Korean native-bee honey were investigated during processing and preser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 There were no changes of HMF(Hydroxy methyl furfural) and proline contents, color and diastase activity in Korean native-bee honey, when the honey separated from honey combs at 20 and 40. However, at 50 and 80, browning of Korean native-bee honey was shown, HMF content was increased rapidly and proline content and diastase activity were decreased. There were no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in Korean native-bee honey during storage at 4 for 6 months. But color was darken and HMF content was increased slowly in Korean native-bee honey during storage at 20. During storage at 30 and 40, HMF content was increased highly, proline content, diastase activity and total acidity was decreased rapidly.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 native-bee honey is separated from honey comb and purified at less than 40 and stored at 4 through 20.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