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reflect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online tourism industries. The study was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Korean tourism enterprises to develop tourist commodities suitable for Chinese tourists and attract them to visit Korea by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repurchase intention of tourists and its premise variables (e-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n Chinese tourists who visited Korea with experience of using the online travel agency web sites. A total 398 answers were recovered, 41 of them were excluded due to the dishonest answers and 357 of them were finally analyzed. The data was analyzed with IBM SPSS AMOS 22.0.
Results –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 the online travel agency web site e-service quality, convenience, interactivity, information validity, credibility had a positive impacts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The perceived value of online travel agency website users has positive impart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Satisfaction of online travel agency web site users have positive impacts on repurchase intention. But safety has no impact on perceived value while positive impacts on satisfaction was affected.
Conclusions – First, in the online travel agency web site e-service quality, safety has no impact on perceived value while it was shown to have positive impacts on satisfaction because the users of online travel agency web sites believe that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defense of cracker and the safeguard of payment security are the basic premises of website operation. Although safety does not have impacts on perceived value, users benefits will suffer damage when hacker intrusion and other accidents occur so that online travel agency web sites should not ignore the security concerns. Second, credibility is a major concern for online travel agency web site users.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for the web site to establish a system to display both the commodity information and the using experience published on the user's SNS, thus improving the credibility of the website information.
Product familiarity is vital to assess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In this study, a conceptual model was propo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c products familiarity, perceived value (measured by quality, emotional, price and social dimension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students. The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questionnair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35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reveal that organic products familiar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quality, emotional value, price value and social value. On the other hand, emotional value, price value and social value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rchase intention whereas quality shows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Overall, the result shows students have positive outlook about their intention to purchase organic products.
Purpose -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the consumer's distributor's brand(PBs) is generally perceiv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manufacturer's brand(NB), although it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PB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 in the consumers who have had experience purchasing the convenience store PBs to expand the sales variables. Further,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arketing strategy is to increase the share of PBs by providing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product attribute factors on the sales volume associated with brand trust, purchase intent, and oth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period of this study was approximately three weeks from December 1, 2017 to December 21, 2017. The study samples that were taken from 100 random people extrac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Results - The analysis shows that the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ivate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products. Specifically, brand tru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brand images and quality levels, but the perceived value was not affected statistically. Although the intent of the purcha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quality level and the perceived value, the brand im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ts relationship.
Conclusions - Overall,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perception value does not statistically affect brand trust for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and that the brand image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 These results are analyzed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brand in convenience stores themselves rather than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s that affect sales performance, which is the property of private brand food and beverage products, the perceived value of their products. Accordingly, the study found that not only did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the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be improved statistically, but also the cause of the product attributes tha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identified.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 관광객을 대상으로 독특성욕구에 따른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전주한옥마을 음식관광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표본의 인구통 계학적 특성 중 전주한옥마을은 30대가 가장 많이 방문하며, 한 달 수입이 201만 원 이상인 관광객이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사성회피는 전통비빔밥의 선호도에 부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으나 독특한 비빔밥의 선호도는 독창적선택과 비대 중적선택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독창적선택과 유사성회피는 독특한 비빔밥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전통비빔밥의 선호도는 전통비빔밥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전통비빔밥의 선호도와 독특한 비빔밥의 선호도는 독특한 비빔밥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Purpose - Present study investigates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 that may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the character-attached products. And this study explores whether symbolic relevance and object relevance affect the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whether character attractiveness and character salience affect the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NS characters, animated characters, game characters, and traditional characters were used as experimental characters. And stationery as experimental product was used. 25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mpirical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hypotheses. Results - First, the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affecte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s positively, and the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also positively affected character identification; second, symbolic relevance had no positive impact upon character identification, while object relevance had positive influence on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third, character attractiveness and sa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 Conclusions -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progress of character theories. Marketers should find ways to increase consumers’ object relevance to characters and the level of characters' attractiveness and salience in order to promote the intent to purchase the products.
경영학자 Schmitt(1999)는 상품의 마케팅 활동에 있어 그 목적에 대해 고객 체험을 창조하는 것이라 강조하였으며, 기획의 출발점을 체험적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라 주장하였다. 이렇듯 체험의 가치가 높아지는 문화적 현상에 따라 최근 4차 산업 의 중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기술은 시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몰입도 높은 가상 체험을 제공한다는 장점으로 인해 체험형 마케팅의 주요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VR이 마케팅의 수단으로써 적용되었을 때, 이를 체험하는 고객의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의 변화를 연구하 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모 브랜드스토어에서 집행되었던 VR마케팅 사례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VR마케팅을 Schmitt의 체험 요소에 대입하여 그 속성을 분류하고 이를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 간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총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대상자 123명에게 조사하여, 그 결과 결측값을 제외한 94명으로부터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해 현재 VR 마케팅이 고객의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chmitt의 체험이론을 통해 체험마케팅의 일종으로써 VR기술 의 마케팅적 가치를 최초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모집단의 제한적 연령, 온라인 조사에 한정하여 현장 방문 후, 매체를 경험한 체험자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을 진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브랜드스토어의 VR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틀을 마련하며 체험요소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터넷의 등장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인하여 SNS 사용 인구가 증가하며 SNS를 통한 마케팅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SNS 마케팅 활용성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플라워샵의 SNS 마케팅 특성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SNS 특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화훼디자인 상품의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SNS 특성을 사용자의 관점으로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접근편의성, 신뢰성 4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SNS 특성이 화훼디 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정한 9개의 가설을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SNS의 이용실태에서는 SNS 의 사용여부를 묻는 질문에 91.2%의 응답자가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42.3%의 응답자가 1시간 미만의 SNS 사용시간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으로는 정보지식 습득 및 공유(36.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범주(정보제공성, 상호 작용성, 접근편의성, 신뢰성) 모두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 중 정보신뢰성과 접근편의성에 의하여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 되었을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훼장식품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플라워샵의 SNS에 서 게시하는 게시물의 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원하는 이미지와 정보를 보기 좋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들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신뢰 성(β=.354)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접근편의성(β=.319) 또한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디자인 상품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에도 신뢰성이(β=.456)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이 화훼 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성과 접근편의성 요인을 강화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 불만족이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성공적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G도에서 개최된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방문객 35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의 불만족 수준은 7점 Likert 척도를 기준으로 3.29점에서 3.85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둘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 불만족 요인 중 직원, 환경, 전시시설은 불평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원, 환경은 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 불만족 요인 중 전시시설만이 재방문의도 및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방문객의 불평행동 요인은 재방문의도 및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양레저전시이벤트 개최의 성과 지표인 안정적인 방문객 확보를 위한 서비스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market receives consumers’ great interests despite relatively few studies focused on consumers’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is paper examines what factors influence on consumers’ attitude and buying behavior on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In order to fi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s influence, this study adopts multiple regression metho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500 people with the systematic random sampling.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were influenced by taste, freshness, food safety,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promotion. In additi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as influenced by taste, food safety, environmental concern, and the promotion. Respondents recommend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when they believe that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had the values of taste, environmental concern, and promotion. Women are more active in buying and recommend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however, the price was not the statistically meaning factor.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data that was used for marketing and increasing the sale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Future research was advised to examine more thoroughl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motion efforts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occasions when the price becomes the issue in the buying decis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고양 국제 꽃박람회의 관람 후 만족도가 화훼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 관람객에게 설문하여 분석한 결과, 꽃박람회를 통해 체험한 전시내용과 꽃박람회 내에서 판매되는 화훼 상품의 만족도는 일반인의 향후 화훼 상품의 구매의도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유익하고 효과적인 꽃박람회의 개최를 통하여 화훼 상품의 소비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 의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 및 경기 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454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 10일부터 6월 5일까지 수집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건강관리행동에 있어 음주빈도는 '거의 안 마신다'(41.4%), '월 1-2회'(27.8%) 등의 순이었고, 흡연량은 '안 피운다'는 응답이 80.8%로 월등히 많았다. 운동빈도는 '거의 안
This study deals with shopping value and trust as the factors to influence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Utilitarian and hedonic shopping values, trus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re incorporated into the Value-Attitude-Behavior model to find out how differently shopping values and trust influence online shopp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they have different purchase experiences. Data are collected from survey of 187 subject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online purchase experiences : 97 shoppers with low online purchase experiences and 89 with high experiences. PLS(Partial Least Square) method is applied to estimate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7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 of the way how shopping value and trust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In the case of low experienced online shoppers, trust has the greatest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hedonic shopping value mediated by attitude. However utilitarian shopping values have a bigger impact on it for shoppers with high purchase experiences. In the latter, trus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at confidence level of 0.05. The results als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o build and manage their marketing strategies. Managers of online shopping mall should react to the different shopping value by shopper's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