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invesrigates the current state of English education/research institutes belonging to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Out of 102 institutes that ar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167 universities, 67 institutes responded the survey questionnaire.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foreign-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to help students meet the challenge of the internationalization era, many of which establisheà in the 1990s. Most of the institutes, however, were small in their size and focusing on short-term profit-making programs, neglecting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paper suggests that the institutes should strive to develop good program, improve its research efforts, and networking among similar institutes in different universities.
Despite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with increased automation in industry, the nursing professions are subject to great deal of potential occupational risks, including chemical exposure, occupation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stres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s(LBPs) among hospital nursing profession by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over 89% of nursing personnel answered had experienced work-related LBPs. Among these personnel, patient handling caused more than 78% of the incidents occurring at work. This study will thus contribute as a basic reference to the hospitals and ergonomic practitioners for nursing profession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acility and equipment redesign, and for guiding future research concerning prevention of this very important occupational health problem.
Comparing the rate of accident in 1999 with 1998, that has been increased about 0.06%. The 56 percentage of industrial accident had been occurred by new employer, who has been worked less than 1 year, in 1999, therefore safety training and education is required for those new employer. This study is present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safety training and educational situation and consider a counterplan.
본 연구에서는 6σ의 DMAIC, Ford의 8D 프로세스, 품질기술 분임조 개선활동, PDCA, S-PPM, 100PPM 개선활동, Feigenbaum, Juran 등이 제시한 다양한 문제해결 또는 품질, 공정, 경영혁신 등의 기법을 상호 비교하여 통합(Fusion), 공유(Sharing)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며, ISO 9001:1994, 2000에 의한 품질시스템, 품질코스트(COQ)와 의 통합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에너지에 대한 수요와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은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가스는 이용의 편리성, 저공해성, 열효율성 등으로 인해 1970년경 도입된 이래로 1997년도의 소비량을 보면 프로판가스(LPG)는 116.6배, 부탄가스는 326.9배, 도시가스(LNG)는 약 5.262배가 증가하였으며, 총에너지 소비중 가스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 소비량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가스소비 행태의 변화, 가스 사용처의 다양화 등은 빈번한 가스사고의 발생을 초래하고 있으며, 가스안전 진단기구의 설치 및 가스안전 관리대책의 시행, 관련 규제법규의 제정시행 및 교육홍보 제도의 활발한 시행에도 불구하고 그치지 않고 있고, 사고 발생시는 그 특수성으로 인해 대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가스소비 증가추세와 함께 안전관리제도 및 전담기구의 안전관련 업무내용을 검토해 보고, 또 가스사고의 원인별, 사용처별 사고실태 및 피해현황을 파악하고, 특히 프로판가스(LPG)의 시설별 사고실태 및 문제점을 사례별로 분석하였다. 한편으로는 일본의 가스안전 관리체계와 가스사고 실태를 파악해 보고 새로운 가스 안전대책과 개선동향을 파악하였으며, 우리나라 가스안전 관리대책의 개선과 안전성 향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온실의 경제적 고온극복 방안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96농가, 유리온실 75농가를 대상으로 하절기 온실의 활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유리온실 18.7%, 비닐하우스 24.0%, 전체 21.6%의 시설재배 농가가 휴경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경우도 매우 열악한 환경 하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고온 극복을 위한 저비용 기술의 개발에 관한 요구가 매우 높았다. 냉방 및 보조냉방 처리별 온실의 열환경을 비교 측정한 결과 자연환기만으로는 74.8%, 지붕살수시 58.2%가 35℃를 초과하여 작물재배가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기와 차광을 병행할 경우에는 26.9%만 35℃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약간만 개선하면 어느 정도의 고온극복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차광과 증발냉각의 일종인 에어쿨팬의 가동으로 자연환기 온실에 비하여 3.8~4.2℃의 냉방효과를 보였으며, 온실내의 기온을 대부분 35℃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발냉각시스템의 도입으로 고온극복이 가능하지만 확대보급을 위해서는 비용절감 및 체계화기술 개발이 과제로 남아 있다. 한편, 차광과 고효율의 환기로 어느 정도의 고온극복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시설비 투자가 적은 온실에 대하여는 환기시스템 및 차광방법 개선 등의 연구를 통한 경제적인 고온극복 방안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업에서 발생되는 손실 부분 중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산업재해로 인한 인적ㆍ물적인 손실이라고 할 수 있다.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각적인 노력을 기하고 있으나 현재 기업의 산업안전에 관한 실태를 살펴보면 인간중심의 안전관리보다는 기계중심의 안전관리가 더 우월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문명의 발달로 아무리 기계기구로 좋아졌다 하더라고 그것을 사용하는 인간이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안전성은 확보 될 수 없을 것이다.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편으로 기업 내에서 실시되는 산업 안전 교육부분에 대한 정확한 실태 조사를 통해 산업안전교육이 기업 내에서 효율적으로 자리잡아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많은 관광지에서는 극심한 교통혼잡과 주차난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대포항 교차로와 대포항 주차장의 기하구조 및 이용실태를 조사한 후, 현재 교차로와 주차장 진ㆍ출입로의 기하구조와 주차장 운영현황 및 그 이용실태의 문제점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실제 조사한 교차로의 도로조건과 주차장의 진ㆍ출입로는 조사된 그림(1. 대포항 교차로, 2. 대포항 주차장 구획도)으로 분석하고 주차자의 운영현황 및 이용실태는 현장조사를 토대로 누적주차대수, 주차회전율, 차량당 평균주차지속시간, 주변도로 혼잡영향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분석할 것이다. 분석결과, 주차장 인접 교차로에서는 버스정류장과 우회전 차로의 합류, 우회전 차로와 주차장 진ㆍ출입로의 합류 등의 기하구조상의 문제로 직진ㆍ우회전 차량, 주차장 진ㆍ출입 차량의 혼잡을 예상할 수 있었고, 주중에는 13시 51분에, 주말에는 10시55분에 이미 주차장은 포화상태를 보여 최초 대기차량이 발생하였으므로 주차공급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관광지라는 특성상 기후나 시기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을 감안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관광지 주차장의 조사는 여러 가지 측면에 더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Most of chemical plant are using toxic and dangerous materials, inflammable and poisonous. There are many accidental dangers by escaping of fire, explosive and poisonous materials in case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accidents lead to taking employer's and local people's life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erefore, 27 small-medium chemical plant, which size is 30∼200 employees out of safety management agent in the area of A was selected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and several countermeasures at the chemical plants was indicated through the analyzed data. Prior to this analysis, top managers' concerns, equipment maintenance for the safety management are needed. For the future, calamity prevention countermeasures by industrial disaster analysis are needed and active safety management programs are investigated for the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at the chemical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