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8

        16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자의 출현은 인류를 문명사회로 진출시켰고, 그것은 인류의 발전 과정을 증명하고, 각종 중요한 정보를 보존할 수 있게 되었으며, 후세에 평가할 만한 근거를 남겼다. 문자는 문화 발전과 사상 교류를 촉진하고, 인간의 정신세계를 풍요롭게 하여 인류가 편리하게 살 수 있도록 하였다. 갑골문, 금문에서 대전, 소전, 예서, 해서까지의 기호가 중화문명의 빛나는 성과인 한자로 이어졌다. 중국의 책 표지 디자인에서 한자 미학 디자인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한자의 표현방법 을 입수해 중국의 책 표지 디자인에서 창의 한자를 응용한 실례를 접목하고 창의 한자를 책 표지 디자인에서 응용한자의 득실을 분석하고 응용원칙을 제시해 중국 책 표지 디자인 창작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인지를 제시하다. 한자의 창의적인 방법을 분석하여 표지 디자인에서 한자의 창의적인 형식과 방법을 탐구하였으며 한자 아이디어 디자인에서 내포된 문화적 내포와 심미적 함의를 해부하였으며 크리에이티브 한자가 책 표지 디자인으로서의 문화적 요소를 획득했음을 나타냈다.
        162.
        2019.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 전통예술'을 시역(視域)으로 '애니메이션영화 캐릭터 디자인'을 투시한 이 글은 중국의 초기 애니메이션 작품인 ‘대요천궁(大鬧天宮)’을 예로 들며, 구체적인 시공간적 상황 속에서, 전통희곡(傳統戲曲)예술, 회화예술, 전지예술(剪紙藝術)및 민악예술의 관점에서 접점을 만들어 보고, 전형적인 캐릭터를 분석하면서 '민족화(民族化)'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디자인 핵심을 탐구한다. 또한 애니메이션 영화와 중국전통예술을 결합한 것은 살아있는 전승보호체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조치중 하나이며, 산업육성, 홍보등을 통해 전통예술의 생명력과 영향력을 어느 정도 강화할 수 있다.
        16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자는 오늘 까지 발전 해오면서 정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언어 기호만이 아니고 거대한 생명력과 감화력이 지니는 디자인 요소로 인식된다. 그 독특한 장식성, 상징성과 조형연구 가치는 이미 기록하고 언어를 전달하는 기호 기능을 초월하여 예술 이 되었고 시각디자인 분야에 널리 응용된다. 본 논문은 시각 문화적인 차원에서 연구하여 한자의 조자(造字) 법칙 ‘육서’ 로 한자 시각전달 디자인에 관한 응용방식과 사유를 해석하고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중의 한자 조형미를 탐색한다. 중국한자의 조형성을 시각디자인의 차원으로 파악하고 육서 이론으로 한자의 시각적인 표현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한자 의 시각적 표현성을 활용하여 시각디자인 분야에 활용할 수 있고 형식적인 한자그래픽 도형을 창작하는 게 아니라 다양한 한자구성으로 디자인 표현을 뻗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자디자인 국제적으로 많은 발전을 꾀하고 있으며 이런 발전 추세 는 중국 문화 스타일을 살리는 것을 요구하고 있기에 한자로 디자인한 작품은 더욱 글로벌 디자인 수준이 되는 한자 시각 디자인 이미지를 드러낸다.
        164.
        2017.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교육용 한자 제정을 위한 기본 사항에 관한 연구이다. 기금까지의 기초한자 1800자는 제정 과정에서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학생들의 어휘력 신장이라는 측면에서는 부족한 면이 많았다. 본고는 이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어 휘의 빈도를 조사하여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기초한자에 설정되어 있지만 국어 교과서에는 나타나지 않는 한자가 있었으며(佳, 却, 甘, 鋼, 皆, 慨, 更), 반면에 기초한자에는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빈도수가 높게 나타나는 한자(匣, 葛)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한자어도 발견할 수 있었다.
        16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교육용기초한자 자소표 制定을 위한 試案 연구」(2015)에서 제시한 ‘試案’과 현재 중국 교육부에서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現代常用字部件及 部件名稱規範」(2009)과의 상호비교를 통하여, 兩者 간의 得失을 따져 보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試案’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試案’에서 제시한 310개 組 453개 기초자소와 중국의 441개 組 514개 部件을 서로 비교하여 일차적으로 아래와 같은 兩者 간의 차이를 가려내었다. 1. 양자가 동일하게 선정한 자소: 343개 2. 前者에서 따로 설정한 자소: 110개 3. 後者에서 따로 설정한 자소: 171개 본고는 위의 3과 4를 중심으로 하여 양자 간에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 그 원인은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비롯된 것임을 적출 할 수 있었다. 1. 楷書體와 簡體字 간의 乖離 2. 對象 字數의 차이 3. 문자의 系統性과 現實性에 대한 인식차이 4. 層次分析 방법의 채택여부 5. 기타 이상의 비교작업을 통하여 양자 간의 得失을 糾明해 본 결과, 양자 모두 각 각 설정한 ‘자소추출원칙’을 일관되게 지키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게 확인되 었고, 疏漏한 부분 역시 적지 않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작업을 통하여 전자 의 문제점을 다시 검토하고 보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으 며, 자소 數의 增減 、分組(組 나눔) 등의 문제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修訂 해야 할 부분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판단되었다. 이외에 도, 본고의 작업결과는 한자문화권에서의 한자공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 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韓中 양국에서 각각 公式字形으로 사용하고 있는 楷書體와 簡體字간의 互換原理를 파악하는데 있어서의 중요 한 학습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166.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자는 표의문자로 그 깊고 풍부한 문화내포와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자의 구성에 많은 영양을 준다. 그리고 한자는 각 글자마다 하나의 독체자(独体字)로서의 독립적인 메시지와 문화내포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로 한자기호의 시각적 유희성을 연구하였다. 즉 한자의 시각 표현은 유희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한자의 시각적 표현 유형을 제시하며 그 유형에 따라서 모리스 기호학 3분할법 이론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 기호학 방법론에 의하여 한자의 유희적 시각 표현에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고 한자의 의미성도 깊고 뚜렷하게 발견할 수 있다. 중국한자의 시각 조형성을 유희적으로 파악하고 시각적 유희 이론으로 한자의 시각적 유희의 표현 유형을 정리하여 제시하 였다. 한자의 시각적 유희성을 활용하여 시각디자인 분야에 활용할 수 있고 단일한 한자그래픽 도형을 창작하는 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를 뻗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 중국은 국제적으로 많은 발전을 꾀하고 있으며 이런 발전 추세는 중국 스타 일의 브랜드 이미지를 요구하고 있기에 한자로 디자인한 작품은 더욱 글로벌 디자인 수준이 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16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한자의 구형분석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은 구형단위의 설정이고, 그 구형단위를 어떤 기준으로 설정하느냐가 큰 문제로 대두된다. 특히, 簡化 이후의 한자를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는 현대한자학의 입장에서는, 고문자계통의 자형 및 예변 이후의 해서체 자형과의 괴리 현상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계통성과 현실성 문제로 인한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인해, 현대한자학에서는 전통적으로 없었거나 사용하지 않던 새로운 개념과 용어들이 속속 등장하게 되었고, 중국의 어문정책을 관장하는 국가기관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수용하여 각 종 ‘규범’들을 제정하여 공포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구체적인 구형분석과 관련된 내용들을 수록하고 있는 규범성 문건은 모두 4개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규범’에서 수록하고 있는 내용들과 구형분석결과가 ‘규범’에 따라 相異하게 제시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비교、분석하여 그 得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用語와 관련해서는 結構理據(字理)、部件、拆分 등의 새로운 용어들이 규범용어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4개 규범에서 서로 다르게 제시하고 있는 5개의 부건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아래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규범의 제정목적에 따라 도출되는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둘째, 각각의 규정제정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학문적 견해의 차이로 인한 분석결과의 異同 역시 작은 문제가 아니다. 셋째, 동일한 인원들이 참여하더라도 제정원칙 또는 세부규칙 중의 일부만 수정되더라도 그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차 우리 정책당국 및 학계에서 한자교육을 위한 관련 규범화 작업을 시도할 때 소중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68.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중국 게임시장에서 인기 있는 온라인게임의 전통예술 표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통 중국문화의 미적 특징에 대한 플레이어의 심리 선호도를 반영하는 MMORPG 캐릭터를 디자인함으로써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기는 동시에 시각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전통문화를 배경으로 제작한 중국 온라인게임은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지만, 외국게임업계의 중국 게임시장 진입에 따라 더욱 다원화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의 중국 온라인 게임 환경을 고려하여 중국 MMORPG 중에서 고유한 전통예술 표현을 활용하는 전통 신화 무협 게임을 선택하고, 개인 플레이어를 반영하는 이상적인 캐릭터 조작이나 사회성 등을 분석하여 전통인물의 형태, 복식, 색, 주거환경을 반영한 표현기법, 캐릭터의 이상적인 형태나 전통 신화의 제한된 주제의 재구성, 캐릭터의 독창성이나 개성이 강조된 집합체 캐릭터 특징을 파악하였다. 중국 MMORPG 역사가 길지 않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국의 전통 문화 예술과 관련된 신화 무협 MMORPG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플레이어로 하여금 더욱 효과적인 온라인게임의 이해와 만족감을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 본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