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

        161.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내에서 사육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S)을 유기염소계 살비제안인 dico-fol을 공시하여 인위적으로 도태선발하여 저항성 발달과 저항성 유전을 조사하고, 교차저항성 유무를 검토하였다. Dicofol을 150회 처리하여 얻은 선발계통({{{{ { R}_{d } }}}})은 감수성계통에 비하여 {{{{ { LC}_{50 } }}}}값이 27.5배증가하였다.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의 상호교배에서 얻어진 {{{{ { F}_{1 } ({ R}_{♀ }X{ S}_{♂ },{ R}_{♂ }{ S}_{♀ })}}}}의 우성도는 암컷성충에서 각각 -0 .2 9, -0.72, 수컷성충에서 각각 -0.42, -0.93로 나타났다. 따라서 dicofol 저항성 유전자는 불완전열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 R}_{d } }}}}계통 은 아미트라즈계인 amitraz에 대해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pyethroid 계 살비제인 acrinathrin, bifenthrin에 대해서도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chlofenson, clofente-zine, cyhexatin, fenbutation oxide, fenpyroximate, hexythiazox, monocrotophos, propargite, tetradifon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기주석계인 azocyclotin과 fenbutatin oxide에 대해서느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162.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 알에 대한 긴털이리응애의 전반적 채식행동을 연구하였다. 먹이가 충분히 존재할 때, 긴털이리응애는 섭식-섭식후이도.휴식-탐색 등 일련의 과정을 반복햇을며, 각각의 시간 소비(평균표준편차)는 6.831.73, 3.001.33, 93.5730.19 분이었고 탐색시간은 9분에 가가웠다. 섭식후이동은 이동 속도가 느리고 (초속0.09mm)한쪽 방향으로연속하여 회전하는 범위제한적 탐색행동을 보였으며 이탕행동은 속도가 빠르고(초속 0.31mm) 반응면적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 특징을 보였고, 탐색행동은 중간의 특징을 보였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의 섭식위치는 집중분포를 따랐다.
        4,000원
        163.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계통 점박이응애에 대한 amitraz와 bifenthrin, propargite, fenbutatin oxide, dicofol을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연합독작용을 시험한 결과, 살비제 혼합에 의한 협력작용은 살비제 조합 또는 그들의 혼합비율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모든 약제조합에서 협력작용이 나타나, amitraz와 bifenthrin의 혼합에서 2:8, amitraz와 fenbutatin oxide의 조합에서 8:2, amitraz와 propagite의 혼합에서 4:6 그리고 amitraz와 dicofol의 조합에서는 6:4의 비율에서 최대의 협력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64.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에 대한 몇가지 살비제들의 각 발육단계에 다른 살란.성충효과를 조사하였다. fenpyroximate는 발육 전단계에 걸쳐 높은 효과를 보였다. Fenpyroximate 의 산란억제효과는 cyhexatin보다 훨씬 좋았다. 100ppm 농도 수준에서 약제잔효로 인한 산란억제효과는 fenpyroximate경우 85% 수준으로 25일동안 지속한 반면 cyhexatin의 효과는 점차 감소하여 처리 25일 후 40% 정도 감소했다. 또한 100ppm 농도 수준에서 fenpyroximate의 속효성은 3시간만에 100%의 살성충력을 보였지만 cyhexatin은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91%정도의 살성충력을 보여주었다. 공시된 대부분의 살비제가 침투이행성을 보여주지 않았지만 metasystox는 800ppm 농도 수준에서 처리 후 24시간에 100% 살성충효과를 나타냈다. 각기 다른 온도에 대하여 fenpyroximate는 다른 살비제와 비교했을 때 안정된 약효를 보였다.
        4,000원
        165.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ncae)의 알밀도(10~80), 공간분포〈집중 빛 균일분포) 및 서석면적크기 (3, 9, 16 )에 따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longispinosus)의 가능반응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긴털이리웅애의 점박이응애 발견효율은 밀도와 공간분포의 영향을 받았으나, 면적의 영향은 없었다. 포식량과 피식자간의 거리와는 매우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강.85, p=0.0001). 포식반응은 제2형의 기능반응을 보였다. 긴털이리응애의 기능반응은 random predator equation으로 잘 설명되었으며, 탐색률은 피식자의 집중분포하에서 반응면적에 따라 0.1030 - 0.1504였고 균일분포하에서는 0.0546~0.0276였다.
        4,000원
        166.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한 독성시험방법을 비교하고, 감수성계통을 누대도태하여 in vivo에서 저항성 발달수준과 in vitro에서의 AChE insensitivity의 관계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박이응애의 살비제 저항성 수준결정의 독성시험방법중 slide dip법 (CV=8.7%)은 leaf dip법(CV=12.2%) 이나 leaf disc법(CV=13.6%)보다 변이가 적고 정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처리방법이 간편하고 한가지 농도에 대하여 여러 계통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처리 후의 조건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기주식물 없이 시험이 가능하였다. topical application법(CV=8.1%) 역시 정확도는 높았으나 시험 조작이 어렵고 필요한 장비의 구입 비용이 더 들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두 유기인제에 의한 누대도태결과 22세대 carbophenothion 도태개체군은 동일약제에 156배의 저항성이 발달하였으며, ethion에 대하여 128배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24세대 ethion 도태개체군은 동일약제에 64.1배의 저항성 발달이 되었으며, carbophenothion에 대하여도 65배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도태개체군의 AChE 활성저해도를 보면 감수성계통에 비하여 carbophenotion 누대계통은 carbohenothion은 3.3배, ethion은 2.7배의 활성저해도를 보였다. 또한 ethion 도태개체군에 대해서는 ethion은 2.6배 carbophenothion은 3.0배의 활성저해도를 나타냈다. 위와 같이 in vivo에서의 저항성 발달 수준과 in vitro에서의 AChE 저해도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유기인계 살비제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저항성 발현에는 AChE의 insensitivity가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circC와 로 추정되었다. 영기수는 온도에 상관없이 최빈치 7회를 나타냈지만, 온도의 상승에 따라 7회 이상 탈피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비는 온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에서 조리사는 직무자체, 급여와 동료들에 만족도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비롯한 다른 연구에서 학교급식에 종사하는 급식종사원의 급여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급식종사원은 급식에 대한 긍지와 자부를 느끼며 학교급식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보다 질 좋은 급식을 아동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사려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전국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하겠다.지점의 특성에 따라 가장 경제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장비구매 설치 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차후 장비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소지가 있어 가능한 우수한 제품을 선택하되 동일 제품 사용을 권장한다. 따라서 위의 망구축이 이루어져 현재 기상청이 설치 운영하고 있는 측정 장비에 의해 취득한 기상자료를 공동 활용하여 표출하면 더욱 상세한 자료의 획득과 활용이 기대되어 진다. 또한, 금번 논문에서는 산불위험지역의 격자점(15km)내에 최소한 1대의 AWS 설치방안을 제시하였지만, 금후에는 15km내에서도 능선, 계곡 등 구체적인 위치확정을 위한 선행연구가 실시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의해 원고는 결과발생지인 미국법원의 재판관할을 강제할 수 없을 것이다. 지적재산권을 둘러싼 분쟁에 관한 재판관할과 국제법상의 판결의 승인 및 집행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2001년 1월 세계지적재산권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
        4,000원
        167.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살비제저항성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서, 유기인계 carbophenothion과 ethion, 유기염소계 dicofol, 유기주석계 cyhexatin 및 합성 pyrethroid계 biphenthrin으로 누대도태한 각 저항성계통과 감수성계통을 공시하여,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 차이점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을 비교한 결과, carbophenothion 저항성계통은 감수성계통에서 나타나지 않은 Est. 1, Est. 3이 검출되었고, ethion과 cyhexatin 저항성계통에서는 각각 Est. 3이, dicofol 저항성계통에서는 Est. 1, Est. 3, Est. 7이, biphenthrin 저항성계통은 Est. 3, Est. 7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영동대와 기질분해량의 차이점으로 미루어 보아 공시살비제들의 저항성발달에는 esterase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8.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나무 응애류의 월동밀도와 사과응애난의 부화시기와 부화율 그리고 응애류의 발생소장을 '87년부터 '89년사이에 경북지방 사과원에서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애류의 월동밀도는 사과응애난은 군위, 안동, 칠곡지방에서는 모두 높았으나 남쪽지역인 경주지방에서는 아주 낮았다. 점박이응애의 월동성충은 조사지역 공히 밀도가 높았으며 주로 사과나무 내부조피에서 월동하고 있었다. 사과응애의 지역별 부화시기 및 부화율을 보면 부화개시일은 4월 14얼이었으며 부화종료일은 5월 3일이었다. 부화율은 지역간 차이가 없었으며 평균 89.3%였다. 응애류의 발생소장 조사결과 사과응애(Panonychus ulmi) 사과잎이 전개되면서 부화하여 5월 상순부터 7월 중순까지 우점하였으며,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cae)는 6월 중순부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7월 이후에는 점박이응애가 우점종 이었다.
        4,000원
        169.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感受性系統에 대하여 有機燐系 殺婢劑인 ethion, 有機濾素系인 dicofol과 有機朱錫系인 cyhexatin 및 合成pyrethroid系인 biphenthrin 등으로 交互累代潔凉를 實施하여 각 殺婢劑의 抵抗性發遠 差異와 複合抵抗性의 有努 및 程度를 試驗.調宜하었다. Ethion/dicofol(13-13世代) 洵流系統은 ethion에 대하여 49.4浩, diceo떼 대하여 18.1倍의 抵抗營,이, othiohjcyhexatin(9-9世代) 洵淪系統은 ethion에 대해서 28.1倍, cyhexatin에 대해서 5借의 抵抗性이, ethionjbiphenthrin(10-10世代) 海治系統은 ethion에 대하여 39,8倍, thrin 에 대하여 19.2倍의 抵抗性이, ficofoljcyhexatin(9-9世代) 海流系統은 dicofo떼 대해서 11.3倍,cyhexatin에 대해서 4.9倍의 抵抗性이, ficofoljbiphenthrin(12-12世代) 海流系統은 diceof 에 대하여 11.2借, biphenthrin에 대하여 9.4倍의 氣抗性이, oyhexatinjbiphenthrin(9-9代代) 海流系統은 cyhexatin에 대하여 3.7倍, biphenthrin에 대해서 7.7倍의 抵抗性이 發達하여 海流親婢劑의 組合에 따라 抵抗性發連 水準의 差異가 있었다. Ethion/dicofol 抵抗性系統은 洵流에 駱與하지 않은 biphenthrin에 대하여 率度의 複合抵抗性을 나타내었고, jcyhexatin, ethionjbiphenthrin 抵枕性系統들은 각각 biphenthrin과 dicofe떼 대해서 비교적 낮은 水準의 複음抵抗性을 보펄으며, Oicofaljcyhexatin, Oicofoljbiphenthr운 그리고 cyh訓stinjbiphenthrin 海社系統들은 모두 ethion에 대하여 각각 高虜의 複合抵抗性을 나타내었다.
        4,000원
        170.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에 대하여 유기찬계 살충제인 carbophenothion, ethion과 유기소계인 dicofol, 유기주석계인 cyhexatin 및 합성 pyrethroid계인 biphenthrin등으로 단제루대도태를 실시하여 각 살충제의 저항성발달 차이와 약제상호간의 교우저항성의 유무 및 정도를 시험.조사하였다. carbophenothion과 ethion은 22세대와 24세대 도태에 서 각각 156배와 64.1배의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ofol은 28세대 도태에서 39.7배로 biphenthrin은 24세대도태에서 13배로 화학적계통이나 동일계통내에서도 약종에 따라 저항성유발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Carbophenothion 도태계통은 도태에 관치하지 않은 ethion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dicofol과 biphenthrin에는 낮은 수준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고, ethion 도태계통은 carbophenothion에 대해서 고도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ofol이과 biphenthrin 도태계통들은 모두 carbophenothion과 ethion에 대해서 중도의 교우저항성을 보였으며, cyhexatin 도태계통은 ethion과 carbophenothion에 대하여 고도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 었다.
        4,000원
        171.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對)한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水準)의 결정방법(決定方法) 개선(改善)을 위한 시험(試驗)과 benzomate, dicofol 및 cyhexatin 에 대(對)한 과수원(果樹園) 계통별(系統別) 응애에 대(對)한 관용약제(慣用藥劑)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 1. 점박이응애계통(系統)을 치(植)로 비교(比較)할 때 benzomate 에 대(對)하여 금천계통(系統)이 광주감수성계통(光州感受性系統)에 비(比)하여 slide dip법(法)으로는 75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69배(倍)이며,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으로는 38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35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나타냈으며, 이 두 방법간(方法間)에는 t-test (P>0.05) 에서 유의(有意)하지 않았다. 2. Dicofol에 대(對)하여는 금천계통(系統)이 slide dip법(法)으로 71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74배(倍)이며,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으로 24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 는 23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보여 두 방법간(方法間) 역시 t-test (P>0.05) 에서 유의(有意)하지 않았다. 두 방법(方法) 중 slide dip법(法)이 더 정확(正確)하고 시험오차(試驗誤差)가 더 적으므로 응애류(類)의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결정(水準快定)에는 이 방법(方法)의 이용(利用)이 바람직스럽다. 3. Cyhexatin에 대(對)한 비아, 금천 및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에 의하여 각각(各各) 19, 18 및 9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나타냈다.에서 의 증가율(增加率)을 보여 산란수(産卵數)의 증가(增加)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6. Pot시험(試驗)에서, 약제처리(藥劑處理) 후(後) 조성(組成)된 벼멸구 차세대개체군밀도(次世代個體群密度)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모든 처리(處理)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증가(增加)되었는데, 특히 diazinon 과 decamethrin 처리(處理)에서 높은 증가율(增加率)을 보였다. 7. 약제처리(藥劑處理) 후(後), hopperburn발현도(發現度)는 약제(藥劑)의 종류(種類) 및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큰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hopperburn발현(發現)은 diazinon, decamethrin 처리(處理)에서 크게 촉진(促進)되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적(綜合的)으로 볼 때, diazinon 과 decamethrin의 처리(處理)는 포장(圃場)에서 벼멸구의 산란력(産卵力)과 성충수명을 증대(增大)시키고, 식이활동(食餌活動)을 촉진(促進)함으로서 벼멸구의 resurgence를 유발(誘發)하고 아울러 수도체(水稻體)의 hopperbun을 가속화시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점차 약하여 졌으나 catalase, invertase는 그 활성도가 일단 숙성중기에 높아졌다가 낮아졌다.n 이 pH 4.2이고 temperature는 이었다. 그리고 5'-phosphodiesterase 생성에서 최적 탄소원은 sucrose이고 질소원은 이고 corn steep liquor나 혹은 yeast extract를 각각 0.01%씩 첨가한 구는 첨가하지 않은 control 구보다 20%의 5'-phosphodiesterase 생성 증가를 나타 내었다. 이 균이 생성한 5'-phosphodiestrase
        4,000원
        172.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olved determination of resistance levels of spider mites ta argano-phosphates using topical application and slide dip techniques, laboratory serening tests of alternative acaricides using an O/P resistant strain and a field trial of the screened materials. 1. Strains of Tetranychus were from Timaru(TR), Havelock Narth (HNR), Lincaln (LN). Germany (GR, GN). Comparisons of the resistant strains and normal strains at the LD50 and LC50 levels were as follows : (a) Using the topical application tochnique, with Parathian. resistant levels of the GR. TR and HNR strains of T. urticae were respeativuly, 1035. 484 and 452 times as resistant' as the LN strain. (b) Using the slide dip technique, with Phosdrin, resistant of GR, TR and HNR strains of T. urticae were 635, 274 and 266 times greater respeativuly, than the GN strain. 2. The laboratory sereaning tests were carried out far their contact plus stomach and residual effect to assess the toxicities of eleven alternative materials which would be used far control of O/P resistant strain of T. urticae. The acaricide groups represented were 3 organo-chlorines (Spidex, Kelthane and C 8514), 2 nitrophenyls (UC 19786 and Morocide), 2 cyclic carbonates(Eradex and Morestan). I carbamate (UC2004 7A), 1 mixture of carbamate and orano-chlorine and 2 other chemicals (C 8677 and M2527). From all acaricide tested. Kelthane and Morocide were the most effective, folowed by Spidex and M2527. Morestan, C8514. C8677 and RS 143 were intermediate, but Eradex, UC 19786 and UC 20046A were poor. 3, The number of sapmles required for estima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field evaluation of acaricidal effects was one giving the highest practical precision. It was decided, after preliminary sampling trials. to use samples of 30 leaves per replicate which gave a standard error. 4. In the field trials, Morocide applied at the a. i. conc. to black currant trees gave excellent control of O/P resistant population of T. urticae for about 12 days, but Morocide 0.025 and Kel thane a. i. cone. gave efficient control for about 6 days. In other words. first applications of Kel thane ane Moroeide gave very high degrees of control of O/P resistant population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However, the results indicate that secondary application would sometimes be necessary. There was no foliage damage of black Currants and strawberries by either acaricides at the concentrations used. Acknowledgment ... The authors are grateful to: Dr. R. P. pottinger, Senior Lecturer in Agricultural Zoology. Lincoln college. New Zealand. for his helpful assistance in aiding with the organization of thd field work. Department of agriculture officers for mite colonies. Mr. D. A. Slade, Technical Advisor. Fruitgrowers' Federation (now at Massey University) for his assistance and provision of mites for testing. Mr T. McRae of Timaru for permission to use his crops for field tests. The following chemical companies and I or their New Zealand agents for so readily supplying samples of acarides, Ivan Watkins-Dow Limited. Fruitgrowers Chemical Company Limited. Henry H. York & company (New Zealand). Shell Oil (New Zealand) Limited.
        4,500원
        173.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gainst extracts of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Camellia sinensis, Cinnamomum cassia, Lantana camara and their mixtures was evaluated. The plant extracts tested were much less toxic to P. persimilis than to T. urticae. The plant extracts tested had little effect on the survival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Moreover, reproduction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and eclosion of eggs deposited by treated predators were not seriously affected. The treatments of the plant extracts tested showed no serious toxic effect on P. persimilis eggs and exhibited 84∼100% hatchability. The treatments with mixtures 3 and 1 were effective against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and yielded 76.0% and 72.7% adulticidal activity at 7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The treatment of mixture 2 revealed 63.3% adulticidal activity. Generally, the acaricidal activity of the individual treatment of each plant extract was lower than the mixtures.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treated with mixtures 3 and 1 produced only 29.5∼31.3% as many eggs as the control females did. All the plant extracts tested exhibited no noticeable toxic effect to the eggs of T. urtic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tures 3 and 1 might be used for the control of T. urticae, and expected to be promising candidates for use in integrated mite management program with P. persimilis.
        17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usceptibility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to extracts of Melia azedarach, Piper nigrum, Syringa velutina and their mixtures was evaluated in laboratory bioassays. Treatments of mixture 1 and 2 were effective against adult females of T. urticae and yielded 73.3 and 70.7% adulticidal activity at 7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Treatment of mixture 3 revealed 62.7% adulticidal activity. However, M. azedarach, P. nigrum and S. velutina had lower adulticidal activity than the other treatments. Adult females of T. urticae treated with mixture 1 and 2 produced only 11.1-16.7% as many eggs as control females did. All the plant extracts tested were ineffective to against the eggs of T. urticae. Plant extracts tested had little effect on the survival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Moreover, reproduction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and eclosion of eggs deposited by treated predators were not seriously affected. Treatment of plant extracts tested showed no toxic effect on P. persimilis eggs and produced 100% hatch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ture 1 and 2 might be used for the control of T. urticae, and expected to be promising candidates for use in integrated mite management program with P. persimilis.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