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162.
        200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observations have shown that coronal magnetic fields in the northern (southern) hemisphere tend to have negative (positive) magnetic helicity. There has been controversy as to whether this hemispheric pattern is of surface or sub-surface origin. A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on clarifying the effect of the surface differential rotation on the change of magnetic helicity in the corona. Meanwhile, recent observational studies reported the existence of transient shear flows in active regions that can feed magnetic helicity to the corona at a much higher rate than the differential rotation does. Here we propose that such transient shear flows may be driven by the torque produced by either the axial or radial expansion of the coronal segment of a twisted flux tube that is rooted deeply below the surface. We have derived a simple relation between the coronal expansion parameter and the amount of helicity transferred via shear flows. To demonstrate our proposition, we have inspected Yohkoh soft X-ray images of NOAA 8668 in which strong shear flows were observed.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expansion of magnetic fields really took place in the corona while transient shear flows were observed in the photosphere, and the amount of magnetic helicity change due to the transient shear flows is quantitatively consistent with the observed expansion of coronal magnetic fields. The transient shear flows hence may be understood as an observable manifestation of the pumping of magnetic helicity out of the interior portions of the field lines driven by the expansion of coronal parts as was originally proposed by Parker (1974).
        4,000원
        164.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멤브레인 여과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 처리에 간단한 수치해석을 적용하여 삼투압(osmotic pressure) 과 구배확산계수(gradient diffusion coefficient)를 도출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삼투압과 구배확산계수는 이론 및 실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없는 물리적 특성치로서 멤브레인 여과의 특성 규명에 중요하다. 모델 라텍스 콜로이드의 여과시간에 따른 투과플럭스(permeate flux) 값과 이에 대한 수치적분과 수치미분 데이터로부터 분산된 입자농도의 함수인 삼투압 관계식을 구했다. 이로부터 계산된 열역학적 계수(thermodynamic coefficient)는 입자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거동을 보였고, 여기에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수력학적 계수(hydrodynamic coefficient)를 도입하여 구배확산계수를 산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계산된 입자농도에 따른 구배확산계수의 결과와 동일한 멤브레인과 라텍스 콜로이드의 여과에 대해서 기존에 통계역학적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4,000원
        166.
        200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studied the long-term X-ray light curve (2-10 keV) of the luminous Seyfert 1 galaxy MCG-2-58-22 by compiling data, from various X-ray satellites, which together cover more than 20 years. We have found two distinct types of time variations in the light curve. One is a gradual and secular decrease of the X-ray flux, and the other is the episodic increase of X-ray flux (or flare) by a factor of 2-4 compared with the level expected from the secular variation. We detected 3 such flares in total; a representative duration for the flares is ~2 years, with intervening quiescent intervals lasting ~6-8 years. We discuss a few possible origins for these variabilities. Though a standard disk instability theory may explain the displayed time variability in the X-ray light curve, the subsequent accretions of stellar debris, from a tidal disruption event caused by a supermassive black hole in MCG-2-58-22, cannot be ruled out as an alternative explanation.
        4,000원
        167.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러그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폐쇄형 묘생산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묘소질이 우수한 청장계 오이 플러그묘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적정 광환경 조건을 확립하고자 오이묘의 생장에 미치는 4수준의 광주기(18/6 h, 12/12 h, 9/15 h, 6/18h)와 4수준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200, 300, 400, 500μmo1. m-2 .s-1)의 영향을 구명하였다. 인공광하에서 오이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광주기의 영향은 광합성유효광량자속에 비해서 더 크게 나타났다. 폐쇄형 묘생산 시스템에서 생산된 오이묘의 줄기 직경, 지상부와 지하부 건물중, 엽수, 엽폭, 엽장 및 엽록소함량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배축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성이 인정될 만큼 짧게 나타났다. 6/18h의 광주기와 200μmol. m-2 .s-1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에서 생산된 오이묘의 생장 특성은 자연광하에서 육묘된 경우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단일 식물인 오이의 특성을 고려할 때 상기 결과는 짧은 명기와 낮은 광량에서 묘소질이 균일한 청장계 오이 플러그묘의 생산이 가능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인공광하에서 식물묘를 생산할 경우 소비전력의 60~70%가 조명기구에 소요됨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인공광형 묘생산 시스템을 이용한 오이 플러그묘의 생산에서 소비전력의 절감 방안에 해당하는 것이다.
        4,000원
        168.
        200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uggest a possible scenario of an astrophysical black hole with non-vanishing electric charge and magnetic flux. The equilibrium charge on a rotating black hole in a force-free magnetosphere is calculated to be Q ~ BJ with a horizon flux of ~ BM2, which is not large enough to disturb the background Kerr geometry. Being similar to the electric charge of a magnetar, in sign and order of magnitude, both electric charge and magnetic flux are supposed to be continuous onto a black hole.
        3,000원
        169.
        200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investigated one dimensional steady flow model of a typical magnetic flux tube in the solar transition region constrained to observed Differential Emission Measure (DEM) for the average quiet-Sun deduced by Raymond & Doyle (1981) with a flux tube geometry conforming to Doppler shifts of UV lines measured by Chae, Yun & Poland (1998). Because local heating and filling factor in the transition region are not well known, we considered two extreme cases, one characterized by the filling factor= 1 ('filled-up model') and the other set by local heating=0 ('not-heated model'). We examined how much the heating is required for the flux tube by recomputing a model through adjustment of the filling factor in such a way that 'not-heated model' accounts for the observed DEM.
        4,000원
        17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묘의 생장 및 형태형성 제어용 인공광원으로서 조합광 LED 모듈을 제작하여 조합광 LED모듈의 광전기 특성을 분석하고, 광량자 센서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LED 모듈로부터 조사된 광량자속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청색과 적생의 단색광 LED로부터 조사된 광량자속을 광량자센서로 측정한 값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수치적으로 적분한 값을 qly한 결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량자센서로서 측정이 불가능한 원적색광 LED로부터의 광량자속 정량화에 분광광도계를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적생광에 원적색광을 조사하는 LED스틱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조합광 LED 모듈의 광량지속은 원적색광을 조사하는 LED 스틱이 증가할수록 조합광 LED의 광량자속이 조금씩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위에너지당 조사된 광량지수는 파장에 비례해서 증가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밖에 적색과 원적색광 LED 스틱의 조합 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조합광 LED 모듈의 조도는 비시감도가 매우 낮은 원적색광이 차지하는 비율이 클수록 낮게 나타났다. 한편 적색광과 원적생광의 혼합 정도가 조합광 LED의 복사조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1.
        2000.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developed a near real-time flare alerting system which (1) downloads the latest GOES-l0 1-8 Å X-ray flux 1-min data by an automated ftp program and shell scripts, (2) produces a beep sound in a simple IDL widget program when the flux is larger than a critical value, and (3) makes it possible to do a wireless alerting by a set of portable transceivers. Thanks to the system, we have made successful Ha flare observations by the Solar Flare Telescope in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This system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ground-based flare observers.
        3,000원
        173.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투과증발공정에서 polydimethylsiloxane(PDMS)막에 대한 용매의 수착특성과 투과 플럭스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chloroform, toluene, methoanol, n-butanol의 수착량과 투과 플럭스를 계산하였으며, 계산값과 실험값을 비교하였다. 팽윤을 촉진시키는 정용매(good solvent)인 toluene과 chloroform의 경우 계산된 수착량과 투과 플럭스는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다. 막의 밀도가 작을수록 수착량과 투과 플럭스는 증가하였다. 팽윤을 억제시키는 부용매(poor solvent)인 methanol, n-butanol의 경우는 실험값과 상당한 오차가 있었다. 따라서, 본 미케니즘에 의해 PDMS막에 대한 정용매의 수착량과 투과 플럭스는 실험에 의하지 않고도 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000원
        175.
        199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made semi-analytical studies to investigate the configurations of caustics and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flux factor K for the binary microlensing including external shears. A parametric equation of critical curve is derived in a 4th order complex polynomial. We present the topological dependencies of the caustics for selected gamma parameters (0, 0.3, 0.6, 1.3, 2.0, and 2.5) and convergence terms (0., 0.4, 0.8, 1.2, 1.6, and 2.0).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efficiency of High Amplification Event (HAE) on each caustics, we examin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flux factor by a Monte Carlo method. Changing the separation of the binary system from 0.8 to 1.3 (in normalied unit), we examin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K-values in various gamma parame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gamma parameters, seperations and their probabilties of the flux factor K have been studied. Our results show that the relatively higher K values (K>1.5) are increased as increasing the separation of the binary system. We therfore conclude that, in the N-body microlensing, the probabilities of higher HAEs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tar density as well. We also point out that the present research might be used as a preliminary step toward investigating heavy N-body microlensing simulations.
        4,200원
        176.
        199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자의 정밀여과에 있어 임계플럭스의 이론치를 계산하기 위해 확산(diffusion), 횡방향이동(lateral migration), 전단유도확산(shear induced diffusion), 그리고 입자의 정전기적 반발력에서 기인하는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이동(interation enhanced migration) 등의 입자의 역전달 이동을 고려하였다. 보통의 여과조건에서 제타전위의 절대치가 20~40mV이고 직경이 0.1μm~10μm인 입자의 경우 상호작용에 의한 이동이 가장 중요한 역전달 메카니즘이었다. 입자크기에 따라 계산된 임계플럭스값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구형인 적철광(hematite)입자를 합성하여 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치는 역전달 이론에 의해 예측된 플럭스의 이론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4,000원
        177.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800원
        178.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suming that particles can be accelerated to high energies via diffusive shock acceleration process at the accretion shocks formed by the infalling flow toward the clusters of galaxies, we have calculated the expected spectrum of high-energy protons from the cosmological ensemble of the cluster accretion shocks. The model with Jokipii diffusion limit could explain the observed cosmic ray spectrum near 10 19eV with reasonable parameters and models if about 10-4 of the infalling kinetic energy can be injected into the intergalactic space as the high energy particles.
        179.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obtaining estimates of a total magnetic flux, we propose to use measurements of ∂I/∂⋋. obtained by a modulation method which is formally identical to Stokes V-parameter measurements. In this case the polarization is not analyzed. It is advisable to use in measurements two parts of the spectral line wing.
        180.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re is an excess gamma flux from the general direction of the Galactic North Pole compared with that from the south when allowance is made for the contribution from CR interactions with the HI gas (Osborne et al., 1994). The extent to which it is in accord with the predictions of Wdowczyk and Wolfendale (1990 a,b) for gamma rays secondary to very high energy CR escaping from the VIRGO cluster is examined and it is claimed that the observations may well be of the order of those exp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