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중국어에서 ‘也’는 활용도가 비교적 높은 단어이며, 부사와 접속사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다른 부사나 접속 표현 등과 결합하여 강조의 관용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也’는 학습이 쉬운 단어로 인식되고 있으나, 초중급 단계가 지나면서 단어의 쓰임에 있어서 적지 않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어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원인이라고 본다. 모든 단어는 생성 기원과 변화 과정을 가지고 있 다. 그러므로 고대중국어 조사 ‘也’가 어떻게 부사로 품사 변화를 하였는지 우선 살 펴볼 필요가 있다. 대체로 학계에서는 빈도 혹은 중복부사로 ‘也’를 분류하고 있지만, 일부 범위부사 혹은 관련부사 등으로도 분류되기도 한다. ‘也’의 하위분류에 대한 의 견이 일치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고대에서 현대까지 ‘也’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단어의 쓰임과 의미에 주목하여 ‘也’의 품사적 특성을 이해해보고 자 한다. 이를 통해 부사 ‘也’의 하위분류를 재설정해본다. 이를 통해 ‘也’에 대해 더 욱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6,1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BCC 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 미각어 용례 연구로 미각어 ‘甜’과 ‘苦’에 후 행하는 품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BCC 코퍼스를 활용한 미각어 ‘甜’과 ‘苦’ 각각의 연구 방법과 비교 분석을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고는 기존 미각어 연 구에서 볼 수 없었던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BCC 코퍼스 내의 코퍼스 분석 도구 를 활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양적인 면에서의 미각어 ‘甜’과 ‘苦’에 후행 하는 용례를 고찰하고자 한다.
        5,400원
        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화자가 청자에게 전달하는 구문 내용은 크게 ‘사건정보’ 와 ‘화자정보’로 나누어지며, 청자가 두 가지 정보를 모두 이해하면서 완전한 의사소 통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또 ‘능원동사(조동사)’가 표현하는 의미에는 ‘화자정보’의 요소가 더 많이 함유되어 있기에, ‘사건정보’를 중심으로 한 어법기능이나 품사분류 에서 모호한 성분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사건정 보’를 기반으로 한 어법관계를 통해서 능원동사의 어법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또 양태의미를 통한 의미영역의 분석에서도 개별 능원동사의 ‘다의성(多义性)’만을 제시 했을 뿐이다. 그래서 본문은 ‘사건정보’보다는 ‘화자정보’의 측면에서 능원동사의 의 미정보가 서로 다른 언어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5,8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現代漢語詞典』의 해석을 중심으로 ‘快’와 ‘快要’의 의미, 품사, 어법단위를 논의한 결과 ‘快’ 는 어떠한 문맥에 쓰일지라도 ‘움직이는 동작이나 일의 정황이 시간적으로 빠르다’를 의미하는 형용사로 관통되어 주로 술어, 보어, 부사어로 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명사로서 ‘성씨’를 의미하기도 한다. 고대에는 ‘捕快’와 ‘馬快’와 같이 명사로서 ‘옛날에 체포하는 부역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고대중국어의 단음절어 ‘快[기쁘다]’의 형태가 현대중국어에서는 비자립형태소로 쓰임도 확인하였다. 『現代漢語詞典』에 부사로 등재된 ‘快要’는 실제 언어 환경에서는 ‘속도가 빠르거나 길을 걷거나 시간이 짧음’을 의미하는 형용사 ‘快 [빠르다]’와 ‘~하기를 원하다’를 의미하는 동사 ‘要’가 연접되어 ‘빨리(곧) ~하려고 하다’의 문맥 의미를 형성한다. ‘快’는 동사나 형용사 술어 이외에도 수량사 술어 앞에도 쓰여 문맥상 ‘빨리(곧)~하려고 하다’라는 문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현대중국어의 실제 언어 환경에서는 수량사 앞에는 ‘快’, 동사술어나 형용사술어 앞에는 ‘快要’가 주로 쓰임도 확인하였다. ‘快 要’는 ‘快[빠르다]’와 ‘要[~하기를 원하다]’ 두 단어의 연접으로 쓰인다고 여긴다.
        4,900원
        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rt of speech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in 66 Korean textbooks used in major Korean language institutes. Since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with instrumental motiva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t becomes a very important issue to evaluate their Korean proficiency levels measured through the official assessment of Korean Proficiency Test (TOPIK). Language teaching is subject to certain target learners, and it is necessary to proceed along with studies on them by considering the utilization of their research results. With regard to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parts of speech throughout the proficiency levels, 593,100 nouns accounted for 47.86% of the total, 267,334 verbs accounted for 21.57%, and 108,593 adjectives accounted for 8.76%. Other than these three major parts of speech, those that modify other elements of a sentence show a comparatively high percentage. Although many parts of the textbooks contain dialogues or conversational sentence examples, the percentage of abbreviated words or exclamation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were not very high.
        5,200원
        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被字句”는 현대 중국어에서 가장 전형적인 피동문 형식이다. “被字句”의 주요 성분 “被”는 의미상, 통사상의 특징으로 인해 그 품사적 성격에 대해 많은 이견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被”는 피동문에서 동작의 행위주를 이끄는 성분으로 인정되지만 실제 운용에 있어 그 의미 기능에 근거하면 “被”의 품사적 성격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피동문의 형식이 요구하는 바에 따라, 또한 구성 성분의 구비 조건에 따라 “被字句”는 두 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피동의 의미를 표현하는 경우이며 또 다른 한자기는 피동의 의미를 표시하지 못하고 원인의 의미만을 표현하는 경우이다. “被字句”가 피동의 의미를 표현할 때 문장 내 “被”는 피동동사로서주어에 의미역을 부여해줄 수 있으며 “被字句”가 피동을 표현하지 못하고 원인을 표시할 경우 “被”는 전치사로 후치하는 성분에만 의미역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5,800원
        7.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학자들이 서구 어학 이론으로 漢文의 語學的특성을 구명하기 시작한 것은 1908년 元泳義의 初等作文法을 시작으로, 1916년에 辛在英이 漢文義讀自解를, 1917년에는 姜邁가 漢文法提要를, 1921년에는 永昌書館에서 實地應用作文大方등이 발간된 후 약 40 년간 공백기를 두고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발간된 문법서는 1960년 丁南洙의 漢文解釋을 시작으로 1971년 6월 許世旭의 漢文通論, 7월 權重求의 漢文大綱, 1973년 文璇奎의 漢文敎疑書,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 1976년 洪寅杓의 漢文文法, 1977년 박지홍의 표준 漢文法등이 발간되었다. 본고는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의 문법이론 분석에 이어서 1976년 洪寅杓의 漢文文法에 수록된 品詞理論을 분석하려 한다. 특히 초기에 간행된 한문 문법서의 문법 이론이 40년간의 공백기를 거친 후 다시 발간된 한문 문법서에 어 떻게 수용․변모 되었는가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이후 발행된 한문 문법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도 거론될 것이다. 漢文文法에서는 단어의 종류를 單詞와 複詞로 나누었는데 크게 5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詞의 種類’에서는 音節數에 의해 분류되는 ‘衍聲複詞’와 두 개의 품사가 연결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合意複詞로 분석될 것이다. ‘品詞의 分類’ 에서는 實辭와 虛辭의 종류와 개념을 설명하고, ‘品詞의 結合’에서는 聯合關係, 組合關係, 結合關係등이 서구 이론의 입장에서 분석될 것이다. 저자는 ‘品詞의 等級’에서 甲級, 乙級, 丙級으로 나누었는데 이는 어떤 품사가 주로 문장의 성분 으로 쓰이는가를 논한 것이다. ‘品詞의 活用’은 品詞의 轉成을 설명한 것으로 제 시된 예문을 통해 統辭的機能에 의해 품사가 변하는 것과 造語的側面에서의 품사가 변하는 것으로 분석될 것이다.
        7,000원
        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서구의 문법이론을 기초로 한 한문문법의 연구는 1908년에 시작된 이래 1921까지 4권의 한문문법서가 간행되었다. 그러나 이후 40년간 한문문법서의 간행이 없다가 1960부터 다시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본고는 1960년부터 1975년까지 간행된 4권의 문법서에 수록된 形態論의 이론 중 品詞에 대한 연구이다. 초기간행문법서(1908-1921)에는 11가지로 品詞가 분류 되었는데 實辭(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와 接續詞와 感歎詞등의 品詞는 名稱은 동일하였고, 槪念定義도 언어적 표현을 달랐지만 공통성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분류에는 造語的방법이 수용되어 과도기적 현상이 나타나 있고, 동일한 하위분류도 저자에 따라 각기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혼동을 초래하였다. 심지어 文의 性質上분류인 假定文, 反語文, 漸層文등을 轉詞란 품사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특히 虛辭 (助詞, 助動詞. 介詞)는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 특성이었다. 그 후 40년간의 공백기를 두고 60년대에 들어와 발간된 문법서들이 초기에 간행된 한문문법서에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고 발전시켰는가를 究明하는 것은 漢文 文法書硏究史에 필수적이라 본다. 이러한 검토가 있은 후에야 품사분류와 하위분류에 합리적인 기준이 제시되리라 생각된다. 본고는 ꡔ漢文解釋(1960)ꡕ, ꡔ漢文大綱(1971)ꡕ, ꡔ漢文敎疑書(1973)ꡕ, ꡔ漢文通釋(1975)ꡕ을 대상으로 품사를 검토하였다, 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 接續詞, 感歎詞등은 品詞의 名稱이 동일하고, 槪念定義는 표현적인 차이가 다소있으나 내용은 일치하였다, 품사의 下位分類도 초기문법서와는 달리 용어나 하위 분류에서 상당히 합리적으로 대부분의 분류와 명칭이 후대문법서에 수용되고 있다. 그러나 助詞, 終尾詞, 終結助詞, 助動詞, 補助詞, 前置詞, 後置詞, 介詞, 前後置詞등은 품사의 명칭도 다르고, 개념 정의도 차이가 있으며, 하위분류는 상당한 부분이 견해를 달리하고 있어 여전히 과도기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10,100원
        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漢文의 品詞분류기준과 名稱에 대한 연구다. 漢文科에서 品詞연구는 중국의 馬氏文通에서 實詞와 虛詞를 통하여 품사를 분류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이후 많은 문법학자들이 품사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다. 學校文法은 學問文法이론의 체계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학자들이 문법에 대해 많은 분류기준과 명칭을 제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자에 따라 분류가 달라 품사이해에 혼란을 야기 하고 있는데 이는 인구어 문법에서 도입한 품사론을 직접한문에 대입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품사분류는 의미와 형태기능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한문에서는 형태변화가 없어 형태를 기준으로 삼기 어렵고 의미를 기준으로 할 경우는 虛詞에 있어서 모순으로 보이며, 기능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 있어서는 실사에 있어서 모순을 보이고 있어 단일 기준으로 품사분류 하기 어렵다.그러므로 한문의 품사분류는 한문의 특성을 고려하여 實詞와 虛詞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류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기존의 실사와 허사의 구분기준이나 개념이 분명치 않아 실사와 허사를 기준으로 삼기에도 모순이 있었다. 따라서 실사와 허사의 변별기준을 기존에 의미를 기준으로 한 것에서 문장 출현에 있어서 자립적으로 문장성분을 이루느냐의 여부에 따라 품사분류를 하면 명료하고 체계적인 설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漢文科 學校文法의 기준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첫째로, 漢文科에서 品詞는 實詞와 虛詞를 기준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한다. 實詞는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며 자립적으로 의미를 실현하여 문장성분을 이루는 자립성분이며, 虛詞는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지 않으며 실사에 의존적으로 출현하여 문장성분을 이루는 의존성분이다. 즉 虛詞는 실사와 실사를 이어주고 실사의 의미실현을 돕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實詞는 다시 語詞의 의미에 따라 名詞代名詞動詞形容詞副詞로 분류하며, 虛詞는 문법기능에 따라 介詞接續詞助詞感歎詞로 분류하여 9품사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로, 품사 명칭문제에 있어서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는 代名詞, 介詞, 接續詞, 助詞, 感歎詞를 중국학자와 우리나라 학자들의 견해와 국어문법과 관련하여 타당성, 적합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學校文法에서 代名詞는 명사를 대신하는 말로 공통적으로 쓰고 있는 명칭이나, 漢文科에서도 명사를 지칭할 뿐 만 아니라 다른 語詞나 語句語節 등도 대신 지칭하여 그 의미범위가 넓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혼란을 줄이는 입장에서 代名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介詞는 우리 국어에 없는 명칭이나, 介詞의 개념과 前置詞의 명칭상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어 중국학자들의 명칭에 따라 介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接續詞는 타 교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接續詞의 개념과 같이 하고 있으므로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接續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助詞는 국어문법에도 있는 명칭으로 국어와 관련하여 학습자에게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助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感歎詞는 정서감정을 소리로 표현하는 품사로 感歎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6,700원
        10.
        2019.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육과정의 범위 안에서 어휘 교육 시 해당 어휘의 품사 정보를 학습 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특히 이른바 양용용언으로 구분되는 동사 및 형용사들과 명사-부사 통용어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과 교재 내에서 제시되는 문법항목과의 결합에서 품사 정보의 부족에 기인하는 오용 사례를 살펴본다. 또한 수업에서 전달되는 품사 정보의 구 체적 제시와 어휘 확장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결합 오류 감소와 어휘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정리한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어휘 교육 시 의미적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어휘의 품사 정보가 풍부하고 정확하게 학습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1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on identification and definition of parts of speech or word classes began from Greek/Latin tradition in early days. Most approaches on parts of speech were based on semantic criteria. As time passes, it has changed into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words in a sentence, and on function and form. The approaches, however, have not fully gained appreciation among scholars. Even though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et up proper parts of speech systems, the clear classification of them has been known to be far from perfection.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parts of speech or word classes and diverse parts of speech systems of some languages, and suggests that typological approaches to parts of speech classification depending on the syntactic properties of languages are the ideal way.